[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이양헌 미술평론가는 ‘쇠퇴와 구원 사이에서’라는 글을 통해 모더니즘 미술사의 죽음과 종말에 대한 가설을 소개했다. 그중 하나가 사진의 등장이다. 이 평론가는 “렌즈 기반의 예술서 가장 앞에 놓인 사진은 자신의 생일을 기억하는 최초의 장르이자 이미지를 해방시킨 계기이며 명징한 지표성으로 현실과 가상을 이중매개하면서 미술사의 순혈주의를 문란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고 말했다.
송은 아트큐브는 재단법인 송은 문화재단이 송은 아트스페이스와 함께 운영하는 공간이다. 신진 작가들의 전시 개최를 지원하면서 창작 의욕을 고무하기 위한 작가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2002년 1월 개관한 이래 매년 공모를 통해 작가를 선정하고, 전시공간과 제작을 후원하는 등 작가들의 전시활동을 돕는다.
예술의 가치
2018-2019 송은 아트큐브 전시 지원 공모 프로그램에 선정된 사진작가 박희자가 개인전 ‘다중노출’을 선보인다. 박희자는 기술과 예술의 경계서 예술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이번 전시에선 서울 을지로 상가를 배경으로 제조업서의 생산과 예술서의 창작의 경계를 탐구한다.
‘경치의 오브제’ 시리즈에 등장하는 사물과 대상은 공통적으로 한 공간서 계속 사용되면서 그 나름의 역사와 기능을 지니고 그것만의 존재 의미를 생성한다. 그것이 원래 그 자리에 있던 것인지 누가, 언제, 어떤 이유로 현재의 풍경을 만든 것인지는 알 수 없다.
그저 매일의 일상이 덧입혀져 사물은 마치 스스로 그 자리를 찾아 그곳에 꼭 들어맞게 놓인 듯하고, 이제는 각각의 사물들이 놓인 그 상태 그대로 완전하게 풍경과 스토리를 완성한다.
을지로 일대 배경
제조업 생산 주목
을지로의 상가서 쉽게 볼 수 있는 ‘생산자’의 행위를 재현한 ‘퍼포머’ 시리즈도 주목할 만하다. 퍼포머는 진지한 표정으로 생산자의 장갑을 끼고 수레, 집게, 의자, 철사 등을 사용해 일상적이고 반복적이면서도 그 의미를 알 수 없는 행위를 선보인다.
분명 생산자의 행위를 하고 있지만 예술성을 획득한 퍼포머의 모습을 통해 작가는 관객에게 생산과 창작의 경계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박희자는 “이번 전시의 키워드는 예술과 생산의 경계 그리고 창작의 유희”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작업 ‘Art School Project’를 진행하면서 그리고 이후 다른 작업들을 지속하면서 창작의 즐거움을 느끼는 동시에 이것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며 “그래서 다년간 그것이 가진 의미, 가치, 선택과 비선택, 효율의 정도를 매기는 것이 가능한지, 가치를 잃은 무엇에 새로운 의미를 더하면 그것이 되는가를 고민해왔다”고 설명했다.
노동자를 재현한 예술
경계에 대한 화두 던져
이번 작업은 창작에 대한 작가의 근본적인 물음서 시작됐다. 그는 답을 찾기 위해 창작과 생산이 이뤄지는 현장을 기록하고 그곳서 창작을 시도했다. 산업현장서의 생산물과 그곳서 반응하는 작가의 생산물, 이 과정을 통해 그는 예술과 산업의 구분과 경계를 고민하는 동시에 창작 과정에서의 유희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했다.
박희자는 “이번 전시는 만드는 것 혹은 창작과 생산의 경계에 대한 고민을 드러내는 자리”라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전시된 이미지는 국내 모든 제조업이 모여 있는 을지로 일대 특히 대림상가와 세운청계상가를 중심으로 기록됐다”며 “이미지의 대상은 창작물이기도 하고 창작자이기도 하고 때론 아무 것도 아니지만 창작물처럼 여겨지는 것들”이라고 소개했다.
작가가 창조한 이미지는 보여주기 방식서 다시 한 번 창작된다. 박희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재구성된 이미지가 변형의 과정을 거치는 창작의 순환을 관객들에게 선사하고자 했다.
이양헌 평론가는 “오랫동안 회화를 욕망해왔고 리얼리즘의 적자였으며 20세기 미술을 보존하는 기억의 대리자로서 공고했던 사진은 이제 최초의 피사체들처럼 쇠락해가는 매체가 됐다”면서도 “사진은 사물의 운명과 관계 맺으며 구성과 배치를 조율하고 조형성을 실험하면서 여전히 인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의 변형
이어 “이는 사진을 과거의 매체로 확증하지 않으면서, 지난 시간들을 회고적으로 소환하고 동시에 나아갈 미래를 개방하는 예언적 차원을 예비하고 있다”며 “최초의 사진들로부터 해방된 이미지의 세계로 이행하는 찬란한 노정을 경험한다면, 우리는 오직 쇠퇴의 순간에만 구원이 가능하다는 작은 환희로 안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jsjang@ilyosisa.co.kr>
[박희자는?]
1982년 출생
▲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전문사 졸업(2017)
Academy of Fine Arts in Prague, Studio of Prof. Jojef Dabering 수료(2015)
서울예술대학교 디자인학부 사진전공 졸업(2006)
▲개인전
‘사물이탈’ 공;간극, 서울(2018)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양주시립미술창작스튜디오 777레지던스 갤러리, 경기(2016)
‘The Women of Island’ 갤러리가비, 서울(2013)
▲수상
제11회 퍼블릭아트 뉴히어로 선정(2017)
제9회 KT&G 상상마당 한국사진가 지원 프로그램 올해의 작가 선정(2016)제15회 사진비평상 작품상 부문 수상, 포토스페이스(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