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둘이 동시에 반응했다.
“그런 경우를 제외하고는 달리 방법이 없소.”
“무슨 의미입니까?”
“나이 어린 화랑이 선두에 서서 백제군에게 희생을 당해야 우리 군사들의 부성(父性)이 발현되어 사기가 충전될 것이오.”
두 사람이 곰곰이 유신의 말을 되새기다가는 길게 한숨을 토해냈다.
“대장군의 뜻이 그러하다면 당연히 따라야지요.”
마치 체념한다는 듯이 품일이 입을 열고는 흠춘을 바라보았다.
흠춘 역시 무겁게 고개를 끄덕였다.
관장 출격하다
“그러면 제 아들을 먼저 보내도록 하지요.”
“아니오, 소장의 아들 반굴이 관장보다 나이가 위이니 제 아들을 먼저 보내도록 하겠습니다.”
흠춘이 힘을 실어 이야기하자 품일이 뒤로 물러섰다.
“장군들의 어려운 결정에 반드시 보답할 것이오.”
돌아 나서는 흠춘과 품일의 뒤로 유신의 말이 다가왔다.
날이 밝기 무섭게 흠춘이 아들 반굴을 불렀다.
“신하된 자로서는 충성이 으뜸이요 자식으로서는 효도만한 것이 없다. 위급함을 보고 목숨을 바치면 충성과 효도 두 가지 모두를 갖추게 된다.”
“아버지, 바로 말씀하여 주십시오.”
“우리 신라군의 사기를 위해 네 목숨을 빌려야겠다. 그래 주겠느냐?”
잠시 생각에 잠겨 있던 반굴이 그 말의 의미를 알아챈 듯 자세를 가지런히 하고 흠춘에게 큰 절을 올렸다.
“이 몸은 신라와 아버지의 소유입니다. 삼가 분부 받들겠습니다.”
흠춘이 반굴을 데리고 유신을 찾았다.
비록 공적으로는 대장군과 일개 화랑의 사이였지만 사적으로 유신은 반굴의 큰 아버지요 장인, 유신의 첫 부인인 영모 사이에서 낳은 딸 영광의 남편, 이었던 때문이었다.
반굴이 유신에게 큰절로 이별을 표하자 유신이 굳은 표정으로 반굴의 손을 힘껏 잡아주었다.
“내가 자네에게 크나큰 죄를 짓는구나.”
“아니옵니다. 다만, 제 아내를 부탁드릴 뿐이옵니다.”
간단하게 말을 마친 반굴이 유신이 막 뭐라 말을 하려는 중에 급하게 말에 올라 백제 진영으로 달려갔다.
“나 신라의 화랑 반굴이다. 백제의 계백은 어서 나와 자웅을 겨루자.”
병사로부터 그 소식을 접한 계백이 진루에 올라서 반굴을 바라보고는 아연한 생각에 빠져들었다.
지속적으로 외쳐대는 반굴의 소리를 들으며 유신의 의중을 간파한 계백이 한숨을 내쉬었다.
“장군, 어찌할까요?”
곁에 있던 부장 병록이 창을 굳게 쥐었다.
“원대로 해주어라.”
말을 마친 계백이 다시 자신의 막사를 향해 걸음을 옮기자 병록이 창을 들고 진을 나섰다.
그를 살피던 반굴이 무모하게 덤벼들었고, 어렵지 않게 병록이 창으로 반굴의 목을 관통시켰다.
멀리서 그를 바라보던 품일이 아들 관장을 불렀다.
“저 모습을 보고 일어나는 마음이 없느냐?”
“소자도 싸우다 죽을 수 있도록 허락하여 주십시오.”
이미 품일의 의도를 파악했는지 관장이 담담한 표정을 지었다.
대견스럽게 그를 바라보던 품일이 아들 관장을 데리고 신라 진의 선두에 자리했다.
“내 아들 관장은 나이 겨우 열여섯이다. 그러나 의지와 기백이 자못 용감하니 내 아들을 보내 계백과 자웅을 겨루게 하여 반굴이 이루지 못한 일을 이루어 신라군의 모범이 되게 할 것이다!”
모두의 시선을 받은 관장이 즉각 말위에 올라 박차를 가했다.
오래지 않아 백제 진지에 도착한 관장이 창을 들고 계백 나오라 외쳐댔다.
막사에서 보고를 접한 계백이 죽이지 말고 생포해 오라 지시했다.
지시에 따라 병록이 다시 창을 들고 관장을 맞이했다.
방금 전보다 훨씬 수월하게 제압하고 관장을 생포하여 막사로 돌아갔다.
막사에서 나와 상황을 살피던 계백이 자신 앞에 꿇린 관장을 주시했다.
“투구를 벗겨라.”
관장의 투구를 벗기자 솜털이 듬성듬성한 미소년이 모습을 드러냈다.
“몇 살이냐?”
“나이가 무어 그리 중요하오. 나는 신라 화랑 관장이오. 전쟁에서 패했으니 아무 말 말고 어서 죽여주시오.”
김유신, 사기 위해 반굴·관장 출격시키다
계백 마지막 항전…김유신 활에 심장 관통
뚫어져라 외모를 살피던 계백이 가볍게 혀를 찼다.
“네 아비가 누구냐?”
“신라의 장군 품일이오. 그러니 이만 죽여주시오.”
계백이 혀를 차면서 하늘을 바라보았다. 유신의 간계가 눈에 선하게 그려졌다.
“말에 태워 신라 진영으로 돌려보내라!”
“네, 돌려보내라고요?”
계백이 답을 하지 않고 막사 안으로 들어가자 병록이 관장을 포박한 채로 말에 태워 신라 진영으로 돌려보냈다.
신라 진영에 도착한 관장이 포박을 풀고 품일에게 다가갔다.
품일이 유신이 저만치서 자신을 주시하고 있는 모습을 살피며 아들을 맞이했다.
아들을 바라보는 품일의 눈동자가 흔들렸다.
차마 나이 어린 아들에게 다시 가서 죽으라는, 두 번 죽으라는 말을 할 수 없었다.
그를 간파했는지 유신이 크게 헛기침했다.
착잡한 심정으로 관장을 바라보기를 잠시 아버지의 속마음을 읽었는지 관장이 냉수를 마시고는 다시 말위에 올라 백제 진영으로 쏜살같이 달려갔다.
병록에 의해 다시 전과 같은 상황이 재현되었다.
“장군, 다시 돌려보낼까요?”
계백이 물끄러미 관장을 주시했다. 참으로 기구한 운명이었다.
싸우려는 의미가 아니라 반드시 죽으리라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었다.
이곳에서 죽으리라는 자신의 처지와 조금도 다르지 않았다.
“목을 쳐서 수급을 신라 진영으로 돌려보내라.”
계백의 명에 따라 병록이 관장의 목을 쳐 수급을 말에 매달아 신라 진영으로 돌려보냈다.
몸이 없는 머리만 돌아온 아들의 모습을 살피던 품일이 목을 놓아 울기 시작했다.
그 처절한 울음소리에 신라 병사들 역시 눈물을 흘리기 시작했다.
“신라 병사들이여. 여러분의 자식 같은 관장이 저 극악무도한 백제군에 의해 목이 잘렸다. 이를 두고 볼 것인가!”
유신의 외침에 여기저기서 “아니오!” 소리가 일어났다.
“그렇다면 어찌해야 하는가!”
무너진 계백
이어지는 유신의 외침에 고함과 북소리가 울려 퍼지고 신라의 전군이 본능적으로 움직이듯이 백제 진영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
멀리서 그를 바라보던 계백이 때가 되었음을 직감하고 백제군 앞으로 나섰다.
“우리가 누군가!”
“오천 결사대입니다!”
“백제 병사들이여, 우리가 죽어 백제의 혼을 영원히 살리도록 하자!”
계백의 피가 끓는 외침에 오천 결사대가 일률적인 반응을 보였고 계백을 선두로 다가오는 신라군을 향해 달려 나가기 시작했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