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전하!”
아련하게 들려오는 소리에 의자왕이 서서히 눈을 떴다.
“무슨 몹쓸 꿈이라도 꾸셨는지요?”은고가 이마를 만지고 있었다. 그를 확인하고 고개를 옆으로 돌려보았다. 광란의 흔적이 곳곳에서 묻어나왔다.
“무슨 꿈을 꾸셨느냐 묻지 않습니까?”
불길한 꿈?
의자왕이 답을 하지 않고 가볍게 한숨을 내쉬자 이마에서 놀던 은고의 손이 가슴을 쓸기 시작했다.
그 상태에서 잠시 자신의 가운데를 바라보았다.
방금 전일 듯한 그 순간의 위용은 온 데 간 데 없이 수축되어 있었다. 그 모습을 살피며 천천히 일어나 앉았다.
“오석산 한 봉 더 주구려.”
은고가 눈을 동그랗게 뜨고 천천히 자리에서 일어났다.
자리에서 일어나 오석산을 가져오는 짧은 움직임이 편치 않아보였다.
의아한 표정을 지으며 은고의 가운데를 주시하다 이내 주위에 널브러져 있는 군상들의 모습을 살피며 미소를 보냈다.
의자왕의 마음을 읽었는지 은고가 급하게 봉지를 뜯어 마치 아기에게 약을 먹이듯이 의자왕을 조그마한 가슴으로 안고 오석산과 이어 술 역시 따라주었다.
술 한 잔으로 오석산을 넘기고 나자 손이 짜릿해지면서 서서히 온 몸에서 전율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부인이 죽는 꿈을 꾸었네.”
“제가요? 그러면 좋은 꿈인데.”
“좋은 꿈이라고?”
“꿈에서 죽으면 오래 산다는 말도 있지 않습니까.”
막 꿈 이야기를 하려는 순간 은고의 팔이 목을 휘감자 다시 몸에서 뜨거운 기운이 솟구쳤다.
“그래야지, 자네와 나 이렇게 영원히 살아야지.”
“당연하옵니다, 전하.”
다음날 의자왕이 의아한 마음이 들어 점쟁이를 대동하고 꿈에서 성충이 은고를 죽였던 지점으로 갔다.
그곳에 도착하자 마침 거북 한 마리가 배회하고 있었다.
하도 기이하여 자세히 관찰해보니 등껍질에 흡사 글자가 씌어 있는 듯했다.
이리저리 살피자 ‘백제는 둥근달이요, 신라는 초생달이다’(百濟之月輪, 新羅之新月)라는 듯했다. 그를 살피며 점쟁이에게 그 의미를 물었다.
이리저리 둘러보던 점쟁이의 표정이 어둡게 변했다.
“무슨 의미이기에 그러는가?”점쟁이의 표정이 더욱 곤혹스럽게 변할 뿐 답을 하지 못했다.
“어서 아뢰지 못하겠느냐!”
재차에 걸쳐 목소리를 높이자 점쟁이가 맨땅에 부복했다.
“둥근달과 같다는 것은 가득 찼다는 의미입니다. 아울러 가득 차면 기울 것입니다. 초생달과 같다 함은 아직 차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차지 않으면 점점 가득 차게 될 것입니다.”
“뭐라! 그러면 백제는 망하고 신라는 흥한다는 말이냐!”의자왕이 잠시 말의 의미를 되새기다가 목소리를 높였다.
“송구하옵니다만 그러하옵니다.”
의자왕의 얼굴이 순식간에 분노로 일그러졌다.
“여봐라, 당장 이 놈의 목을 베어라!”
의자왕의 고함에 호위하던 병사들이 점쟁이를 데리고 나가자 은고가 다가왔다.
“전하, 무슨 일이옵니까?”
순간 의자왕의 뇌리에 은고가 무녀 출신이란 사실이 스쳐지나갔다.
“부인, 잘 왔소. 이리 와서 이 글을 보오.”
은고가 의아한 표정을 지으며 다가가 거북의 등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전하, 감축 드리옵니다.”
“무슨 의미요?”
“백제가 둥근달과 같다 함은 백제의 기운이 왕성하다는 의미고 신라가 초생달과 같다고 함은 백제의 융성함에 반해 그 힘이 미약함을 의미하지요.”
“암 그래야지. 그래야하고 말고.”
불안한 의자왕, 꿈풀이 점쟁이 목을 베다
움직이는 연개소문 “뿌리를 찾아야 한다”
의자왕이 남의 시선 아랑곳하지 아니하고 얼굴 가득 미소를 머금고 은고를 품에 안았다.
“역시 내 부인, 아니 백제의 국모요, 국모.”
“당연하옵니다, 전하. 이런 일에는 그만 신경 끄시고 어서 자리를 옮기시지요.”
은고가 눈초리를 살짝 치켜 올리며 가녀린 몸으로 의자왕의 한쪽을 차지했다.
선도해를 보내고 잠시 실의에 빠져 있던 연개소문에게 백제와 신라의 상황이 속속 전해지고 있었다.
두 나라의 상황을 접하던 연개소문이 한 날 둘째 아들 남건을 앞세우고 집을 나섰다.
집을 나서자 서서히 빛을 잃어가고 있는 늦가을의 정취가 온 세상에 번져 있었다.
“남건아!”
“예, 아버지.”
“단풍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느냐?”
길가에 빨갛게 물든 단풍을 바라보며 말을 건네자 남건이 멀뚱히 연개소문을 주시했다.
“나무가 자신의 몸에서 스스로 물을 빼면서 나타나는 현상인 게야.”
“물을 빼요?”
“추운 겨울에 얼어 죽지 않기 위해 몸에 있는 물을 땅으로 보내는 게지.”
“물이 없으면 죽…….”
“당연히 죽지. 그러기에 나무는 자신이 살만큼만 물을 지니고 나머지는 땅으로 돌려보내 자신을 지탱해주는 땅이 마르지 않도록, 자신의 일부를 죽이며 자신의 근간인 땅을 보전하는 게야.”
“그래서, 나뭇잎이…….”
“본체만 살리고 땅을 살리고 그리고 봄이 되면 다시 땅에 빌려준 물을 공급받아 새롭게 잎을 틔우는 거란다.”
“땅과 나무가 하나라는 말씀이시네요.”
“바로 그런 의미야.”
“그런데 왜 갑자기 그런 말씀을.”
연개소문이 답에 앞서 하늘을 바라보며 가볍게 한숨을 내쉬었다.
“남건아!”
“말씀하세요, 아버지.”“이즈막 들어 이 아비의 마음이 가라앉고는 하는구나.”
“아버지 마음 충분히 이해해요.”
남건이 연개소문과 선도해의 관계를 훤히 알고 있었고 아버지의 상심의 깊이를 헤아리고 있었던 터였다.
“아비와 선도해 책사 사이에 공유했던 부분이 있었다.”
“무엇인데요?”
“우리의 뿌리 즉 근간을 찾자는 이야기지.”“나무처럼 말이지요.”
“그래. 다소의 우여곡절이 있을 수 있으나 뿌리만 건강하면 언제고 새로운 싹이 돋아나고 다시 푸르러지지.”
남건이 그를 되새기는지 잠시 침묵을 지켰다.
“그런데, 아버지.”
“말해보거라.”
“오랜 시간 두문불출하시다 왜 궁궐에 들어가시는지요?”
연개소문이 답을 하지 않고 미소만 보였다.
연개소문 움직이다
“하면 지금 말씀하신 그 뿌리 찾는 일과 관련…….”
“그 때문이란다. 이 아비가 천년만년 영원히 살 것도 아니고 그런 차원에서 왕과 이야기해야 할 듯해서.”
말을 마친 연개소문이 침묵을 지키며 걸어가기를 잠시 저만치에 안학궁의 모습이 보였다.
그 자리에서 멈추어 궁의 모습을 살피던 연개소문이 남건에게 몇 마디 지시하고 홀로 궁으로 들어갔다.
궁에 들자 보장왕 역시 늦가을의 정취를 즐기다 맞이했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