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말씀만으로도 힘이 절로 납니다.”
“그러니 나를 두고 먼저 갈 생각일랑 추호도 하지 마오.”
“당연히 그리해야 할 일입니다. 그런데 만에 하나 그를 지키지 못한다면 후사를 부탁하고자 합니다.”“허허, 자꾸 나약한 소리를.”
연개소문이 선도해를 찬찬히 주시했다.
얼굴에 공허한 미소를 머금고 있는 선도해의 눈가에 죽음의 그림자가 서서히 밀려오고 있다는 느낌이 강하게 가슴을 압박했다.
“대감, 앞으로의 일인데 말입니다.”
“길게 보자”
“말해보시오.”
“지금 당이 조용하게 처신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야 정권이 바뀌고 보위에 앉은 왕이 아직 어리니 그런 게지요.”
“그 이야기인즉 이제는 저들이 서서히 침공을 감행할 것이라는 이야기로 들립니다.”
“전례를 보아 그렇다는 이야기요.”
당나라 이전의 수나라의 침공을 의미했다. 수나라의 문제가 고구려 정벌에 실패하자 그의 아들인 양제가 다시금 전력을 편성하여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결국 종말을 맞이했었다.
“반드시 전례만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하면?”
“수나라나 당나라의 입장에서 살피면 우리 고구려는 그야말로 눈에 가시지요.”
“눈에 가시라!”
“일개 오랑캐 민족인 그들이 중원을 차지했는데, 우리 고구려 역시 그를 이루지 못하란 법이 없지 않습니까?”
“그래서 그 사실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당이 반드시 고구려를 정벌할 것이라 이거죠?”
“가장 강력한 나라인 고구려의 존재는 언제고 저들에게 위협적으로 비쳐질 수 있지요. 특히 대감 같으신 분이 존재하고 있으니.”
“너무 과찬이오. 다 책사의 공이오.”
연개소문의 말에 선도해가 가벼이 미소를 머금었다.
“그래서 대감께 한 가지 부탁드리려 합니다.”
“부탁이라니요. 그저 해라만 하면 되오.”
“아닙니다. 진정으로 부탁드리는 바입니다.”
“여하튼 말해보시오.”
“우리 손으로 반드시 중원을 공략해야 하는데 그게 어쩌면 여의치 않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비록 우리 때가 아니더라도 우리의 후손들이 그를 이룰 수 있도록 조처 부탁드립니다.”
“그 이야기는?”
“솔직하게 말씀 드리지요. 요즈음 가끔 불안한 생각이 들고는 했습니다. 대감께서 그 일을 이루지 못한다면 누가 그 일을 떠맡을 수 있을까 생각하였지요.”
연개소문이 잠시 선도해를 주시했다가 공허하게 하늘을 바라보았다.
“그러니 책사가 오래 살아 함께 일을 이루어내야지요!”
힘주어 말을 하고 선도해의 손을 굳세게 잡았다.
“반드시 그리해야 하건만…….”
선도해가 말꼬리를 흐리자 연개소문의 가슴에서 울컥하는 기운이 치솟았다.
“결국 길게 보자는 말이로구려.”
“대감께서 항상 이야기하시던 역사의 문제입니다.”
궁에 들자 보장왕 역시 시름에 빠져 비통한 심정을 술로 달래고 있었다.
“어서 오시오, 막리지 대감.”연개소문을 반기는 보장왕의 눈가에 희미한 물기가 감지되었다.
“상심이 크시겠습니다, 전하.”
“중원 공략을 후손들에게…” 부탁
보장왕 “국장으로…” 연개의 만류
“대감에 비하면 상심이랄 것도 없지요.”
“송구하옵니다, 전하.”
“한잔하시겠소?”
“물론입니다. 하오나 먼저 당의 침입에 대해 말씀드리는 게 우선일 듯합니다.”
“그리하지요.”
“당에서 영주도독 겸 동이도호(營州都督兼東夷都護) 정명진과 중랑장 설인귀가 군사를 거느리고 고구려 국경으로 출발했다 합니다.”
“하필 이때.”
“그놈들이 시와 때 가리는 거 보셨습니까. 여하튼 저들이 육로를 택했다면 먼저 요동으로 들어올 것입니다.”
“그쪽이라면 안시성의 양만춘 성주가 있으니 믿어도 되겠지요?”
“전하, 이번에는 증원군을 보낼 참입니다.”
“무슨 특별한 사유라도 있습니까?”
“이번 침입이 시작이란 점 때문입니다. 그동안 당의 침공이 소강상태를 보였는데 이제 새로 보위에 앉은 고종이 처음으로 출정시킨 점을 고려하여 차후에 있을지 모를 재침에 대비하는 차원에서라도 고구려의 위상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보장왕의 표정이 굳어졌다.
“그런 차원에서 고구려의 땅도 밟지 못하도록 강력하게 조처하렵니다.”
“구체적 방안이 있습니까?”
“두방루 장군으로 하여금 군사 삼만을 이끌고 적봉진(赤烽鎭, 요동 지역)으로 보내 그곳에서 당군을 타격하도록 하겠습니다.”
“두방루 장군이라. 너무 젊지 않은가요?”
“그라면 능히 당군을 맞이하여 승리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젊다는 부분이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와 관련해서 따로 지시할 것이고요.”
“물론입니다.”
두방루, 아직 혈기 왕성한 젊은 장군으로 그다지 많은 전투를 경험해보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용감성과 지략을 관찰해본 바 독자적으로 능히 전투를 치룰 수 있다는 생각이 불현듯 일어났다.
아울러 생전에 젊은 장수들로 하여금 책임감을 지니고 전투를 통솔하여 자신 사후 스스로 헤쳐 나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사명감까지 곁들여진 결과였다.
“그러면 그 일은 그리 처리하시고, 한잔 받으시지요.”
보장왕이 자신의 잔을 비워내고 손수 잔을 채워 연개소문에게 건넸다.
순간 연정토가 주변에 있던 궁인들에게 눈짓을 주자 급하게 잔과 수저를 가져왔다. 연정토가 공손하게 빈 잔을 채워 보장왕에게 건넸다.
“선도해 책사의 장례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래서 짐도 생각해보았는데.”“먼저 말씀하시지요.”
“국장으로 할까 합니다.”
“황공한 말씀이옵니다만, 지금 당나라 군사가 침공한 마당에 국상은 그렇고 제가 앞장서서 장례를 치룰 수 있도록 윤허 바랍니다.”
후사를 부탁
“그래도…….”
“이미 모든 사람들이 전하의 하해와 같은 마음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 하오나 군주는 군주대로의 역할이 있습니다. 또한 전하께서는 한 두 사람의 왕이 아닌 고구려 백성 전체의 왕이십니다.”
보장왕이 잠시 연개소문을 주시하다 술잔을 비워냈다.
“너무나 슬퍼 그럽니다.”
“황공하옵니다, 전하. 선도해 책사도 저승에서라도 전하의 성은을 잊지 못할 것입니다.”
“그의 후사들을 각별히 부탁드립니다.”
“여부가 있겠습니까.”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