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전혀 다른 두 종의 대비는 긴장감을 자아낸다. 김성남 작가는 인간과 동물의 대비로 강렬함을 표현했다. 여기서 동물은 자연을 의미하기도 한다. 자연과 맞닥뜨린 인간의 생존의지가 그의 작품에 적나라하게 묻어난다. 금산갤러리서 준비한 김성남의 작품 속으로 들어가 보자.
금산갤러리가 오는 17일부터 김성남 작가의 ‘그곳…마주하다’라는 타이틀의 개인전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서 김 작가는 구작과 신작의 조화를 통해 작품 흐름과 변화를 관객들에게 선사할 예정이다. 초인을 연상시키는 직립 인간의 누드와 동물의 대비를 강렬하게 표현한 구작, 고즈넉한 고목나무와 찬란한 녹색 생기를 머금은 우거진 숲 등의 풍경으로 이뤄진 신작을 골고루 감상할 수 있다.
종의 대비
김 작가는 1996년 첫 개인전부터 줄곧 태곳적 인류를 연상시키는 이미지를 묘사해왔다. 자연과 맞닥뜨린 인간의 생존의지는 인간의 누드와 동물의 강한 대비로 드러난다. 그는 이러한 주제를 담은 작품의 제목으로 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을 연상시키는 ‘초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초인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불완전성이나 제한을 극복한 이상적 인간을 일컫는 말이다. 니체는 초인의 의미를 강조해 자신의 사상을 표현하는 중심 어휘로 사용했다.
그는 작품에 인간과 함께 닭, 오리, 소, 염소와 같은 희생제의에 사용되는 동물을 등장시켰다. 김 작가는 피로 물든 인간과 동물의 몸을 통해 인간이 저지른 죄악에 대한 대속을 말하고자 했다. 당대의 어떤 작가와도 다른 주제의식을 갖고 독특한 작품세계를 구축해온 셈이다.
인간과 동물의 대비
우거진 숲과 고목
윤진섭 미술평론가는 “고대 이집트의 오시리스 제의에서 보듯이, 애초에 인간의 육신을 절단해 희생제의의 공물로 바쳤던 인간의 관습은 문명의 단계가 높아가면서 양이나 수소로, 다시 그것은 오늘날 기독교서 보는 것처럼 예수의 피와 살을 상징하는 포도주와 떡으로 대체됐다”며 “이러한 일련의 변화가 의미하는 것은 종교의 세속화 현상”이라고 말했다.
벌거벗은 인간에 천착하던 그는 2003년경부터는 풍경 연작을 시작했다. 숲과 나무를 주제로 한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의 풍경화가 아름다운 광경을 형상화하는 데 그치는 것과 달리 자연의 시작과 끝을 한결같이 차분히 담아낸다.
김 작가의 작품에는 삶의 생기를 느낄 수 있는 초록빛의 밀도 높은 잎들로 이뤄진 숲부터 고요하고 쓸쓸함마저 자아내는 고목이나 앙상한 가지만 남은 나무까지 등장한다.
신작과 구작의 조화
작품의 흐름과 변화
작가의 캔버스는 수십 차례의 붓질과 나이프를 통해 오일을 덧칠하고 긁어내기를 반복하는 작업들로 가득 채워진다. 그 격렬한 텍스쳐들은 신성한 숲의 뒤엉킨 나뭇가지, 빽빽한 잎의 움직임과 질감을 유감없이 드러낸다.
그의 최근작서 나타나고 있는 신성한 숲은 사회적 상황의 상징물 또는 종교적 의미를 내포한다.
그것은 근대 합리주의 정신에 의해 파괴당한 자연이 인간에게 보내는 경고이자 자기 정화를 위해 요구하는 한 과정이라 볼 수 있다. 그의 구작과 신작은 소재 면에서 보면 분리된 것 같아 보이지만 실은 자연과 인간이라고 하는 두 테마로 현대인의 삶을 성찰한다는 점에서 같은 선상에 있다.
철학적 의미
금산갤러리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는 자연과 인간이라는 주제로 변화 또는 발전하는 김성남 작가만의 예술적 철학을 볼 수 있을 것”이라며 “그의 작품들이 관람객들에게 선입견과 편견을 버린 시각을 통한 원형으로서의 자연 그 자체를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전시는 다음달 12일까지.
<jsjang@ilyosisa.co.kr>
[김성남은?]
▲학력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2004)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1995)
▲개인전
‘그곳…마주하다’ 금산갤러리, 서울(2018)
인디프레스 갤러리, 서울(2017)
금산갤러리, 서울(2011)
갤러리무이, 서울(2009)
금산갤러리, 도쿄, 일본(2009)
스페이스다, 베이징, 중국(2008)
갤러리담, 서울(2008)
아트팩토리, 서울(2007)
아트사이드 갤러리, 서울(2005)
정글북 아트갤러리, 서울(2005)
갤러리도올, 서울(2003)
성곡미술관, 서울(2000)
유경갤러리, 서울(1997)
한전아트센터 갤러리, 서울(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