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경기도 광주시에 본사를 둔 코리아세미텍은 반도체 공정장비 부품을 제작하는 강소기업이다. 2005년 경영 공시를 실시한 이래 지난해까지 단 한 번도 영업손실을 내지 않을 만큼 탄탄한 내실을 자랑한다.
쌓이는 곳간
창업주인 이두로 대표는 1996년 3월 전자부품 도소매업, 전자부품 제조업 등을 목적으로 코리아세미텍의 전신이 되는 디와이세미텍을 설립했다. 당시 납입자본금은 1억원에 불과했다. 이두로 대표는 수입에 의존하던 반도체 및 LCD 공정장비 부품의 국산화에 매달렸다.
창립 이래 꾸준한 기술 개발을 통해 공정장비 부품 국산화를 성공시켰다. 코리아세미택은 정부국책사업을 통해 반도체 정전척을 개발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점진적이나마 매출 규모는 커졌다. 2005년 113억원에 불과했던 코리아세미텍의 매출액은 2016년 275억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성장세가 한풀 꺾인 2012년부터 주요 실적 지표가 답보상태라는 점은 불안요소다.
2005년 32억원이던 영업이익은 11년이 흐른 2016년 기준 24억원에 불과했다.
실적 성장세는 눈에 띄게 둔화됐지만 현금배당은 꾸준히 이어졌다. 2009년 13억5000만원을 시작으로 ▲2010년 36억원 ▲2011년 36억원 ▲2012년 54억원 ▲2013년 54억원 ▲2014년 54억원 ▲2015년 36억원 ▲2016년 22억9400만원 등 지난 8년 간 306억4400만원이 배당금으로 책정됐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널뛰기를 반복했다. ▲2009년 53억원 ▲2010년 86억원 ▲2011년 14억원 ▲2012년 68억원 ▲2013년 66억원 ▲2014년 42억원 ▲2015년 39억원 ▲2016년 23억원이다.
물론 배당의 기본 취지가 주주들에게 회사의 이익 환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코리아세미텍이 취하는 적극적인 배당정책은 순기능을 내포한다. 다만 배당이 실시된 대다수 회계연도서 ‘배당성향(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비율)’이 굉장히 높게 나타났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배보다 배꼽 큰 배당금
흑자인데 남는 게 없다?
2009년 25.5%였던 배당성향은 2010년 42%로 크게 뛰었다. 심지어 2011년에는 배당성향이 260%까지 치솟았다. 당기순이익의 2배를 뛰어넘는 금액이 배당금으로 빠져나간 셈이다.
▲2012년 79.9% ▲2013년 82.4% ▲2014년 127.4% ▲2015년 92.6% ▲2016년 101.2% 등 이후에도 고배당 기조는 별 변동이 없었다.
당기순이익보다 더 큰 규모로 배당이 이뤄진 회계연도에는 흑자를 내면서도 이익잉여금은 줄어드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실제로 2015년 말 기준 262억원이던 이 회사의 이익잉여금은 2016년 말 248억원으로 감소했다.
한국거래소가 밝힌 코스닥 상장사의 지난 3년 평균 배당성향은 약 14%에 불과하다. 선진국은 물론이고 30%대를 형성하는 통상적인 개발도상국들의 배당성향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배당을 실시하는 비상장상사 대다수가 상장사 대비 높은 배당성향을 나타낸다는 점을 감안해도 코리아세미텍은 이례적이라고 볼 수 있다.
문제는 고배당정책의 수혜가 오너 일가에 쏠린다는 사실이다. 코리아세미텍은 사실상 가족기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오너 친인척들이 지분을 나눠 갖는 구조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이두로 대표(40%, 7만2000주), 이삼남씨(25%, 4만5000주), 이종인씨(25%, 4만5000주), 이준호씨(10% 1만8000주)의 지분율이 이어졌다. 2013년 이준호씨 주식의 일부를 얻은 이성규씨(1.2%, 2160주)가 새롭게 주주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015년에는 이두로 대표가 이준호씨 지분을 모두 획득하면서 지분율을 73.8%(13만2840주)로 끌어올렸다.
2016년에는 총 주식수가 기존 18만주서 22만9400주로 증가하면서 또 한 번 지분율이 요동쳤다. 주식수에 변동이 없었던 이두로 대표와 이삼남씨의 지분율은 각각 57.9%, 19.6% 떨어진 반면 주식을 대거 추가한 이성규씨는 지분율을 14.8%(3만4023주)까지 끌어올렸다.
또한 이미라(5.0%, 1만1362주), 고도윤(2.2%, 4940주), 이세현(0.5%, 1235주)가 주주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물론 지분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너 일가에 배당금이 몰린다는 건 변함이 없었다.
두둑한 주머니
오너 일가 가운데 가장 많은 배당금을 수령한 사람은 최대주주인 이두로 대표였다. 이 대표는 2009년 5억4000만원을 시작으로 ▲2010년 14억4000만원 ▲2011년 14억4000만원 ▲2012년 21억6000만원 ▲2013년 21억6000만원 ▲2014년 21억6000만원 ▲2015년 26억5680만원 ▲2016년 13억2840만원 등 140억원에 가까운 배당금을 수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