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궁중기록화는 조선시대 국가와 왕실 차원서 거행된 각종 의식과 행사를 사실적으로 그린 그림을 말한다. 양반들의 집안 행사를 그린 사가기록화와는 대비되는 개념이다. 사진이 없던 시절 궁중의 행사를 남긴 역사적 자료인 셈이다. ‘조선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궁중기록화가 서울에 상륙했다.
궁중기록화는 궁중 회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를 통해 궁중 의례와 풍속, 미술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특정 사건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궁중기록화는 동시에 역사화이기도 하다.
인물과 건축 배경은 18세기 후반 서양 화법이 수용될 때도 직접 묘사에 변화가 없었다. 이 때문에 인물의 의상과 건축 양식을 이해하는 데 더할 나위 없는 자료로 남았다. 또 대부분 후세에 본보기로 삼기 위해 제작됐기 때문에 조선의 정신문화도 엿볼 수 있다.
조선의 기록
한국문화정품관 갤러리는 72주년 광복절을 맞아 조선 궁중기록화를 재현한 윤겸 황치석 작가의 개인전 ‘조선 화원, 꽃 피우다’를 개최했다.
황치석 작가는 한국 민화계의 대부로 알려진 송규태 선생에게 조선왕조 궁중 화법을 전수받았다. 이후 조선왕조 의궤와 궁중기록화를 재현하는 작업을 진행하며 국내외서 활발한 전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황치석 작가는 이번 전시서 조선 후기 수군 군사훈련 모습을 담은 '수군조련도'를 선보였다. 수군조련도는 3도 수군이 집결해 진행한 통영합조 모습을 그린 것이다. 조선 후기 수군 편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각 전선의 깃발까지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묘사가 세밀하다.
국가나 왕실 행사 그린 그림
의상과 건축양식, 정신 담겨
최근 황치석 작가는 궁중기록화의 재현에만 머무르지 않고 민화와 창작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그동안 작업한 조선시대의 궁중과 민간의 다양한 기록화를 함께 전시했다.
20년 이상 꾸준히 작업한 조선왕조 의궤와 궁중화, 전통 민화, 창작품 등 50여점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왕세자 입학도, 조선수군조련도, 요지연도, 초충도 8첩 화첩, 창작 작품인 내의원 약장도가 있다.
황치석 작가는 그 어느 때보다 분주한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서울 강서구 허준박물관 개관 기념 특별전에 참여했다.
‘장생을 위한 염원’을 주제로 한 전시서 황치석 작가는 ‘철종가례반차도’ ‘요지연도’ 등을 소개했다. 한국인의 생활 속에 깊게 자리한 건강과 장수에 대한 열망을 예술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지난 5월31일에는 뉴욕한국문화원서 ‘조선왕조 의궤를 열다’ 전시를 시작했다. 수원 화성의 서장대야조도, 효명세자 입학도, 신사임당의 초충도를 선보였다. 서장대야조도는 헌륭원 전배를 마치고 돌아온 정조가 화성 성곽의 서장대서 군사를 조현하는 성조식을 관람하고, 저녁 식사 후 야조식에 참석했을 때의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광복절 ‘수군조련도’ 소개
뉴욕서도 조선 의궤 선보여
1990년대 초 뉴욕가정상담소에서 봉사자로 시작, 카운슬러로 3년간 일하며 싱글맘과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아픈 마음을 달래줬던 그녀는 24년 만에 작가로 다시 뉴욕을 방문했다.
황치석 작가는 “올해가 광복 72주년이다. 많은 일이 있었던 지난 한 해를 보낸 국민들에게, 오랜 역사 동안 많은 시련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유의 문화를 꽃피워낸 우리 민족의 역사를 알려주고 싶었다”는 전시 소감을 밝혔다.
다시 뉴욕에
한국문화정품관 갤러리 관계자는 “우리 갤러리는 창덕궁이 내려다보이는 고궁 문화권”이라며 “황치석 작가의 개인전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의 아름다움을 느껴보길 바란다”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9월10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윤겸 황치석은?]
▲경력
조선왕조문화예술교육연구소 소장
한국체육대학교 외래교수
사단법인 황실문화재단 고문위원
▲전시
국회 개인전 초청작가 선정(2017)
뉴욕한국문화원 개인전 초청작가 선정(2017)
허준박물관 개관 12주년 기획특별전(2017)
NCC 국민암센터 갤러리 개인전 초청전시(2017)
서울시 정조대왕 능행차 혜경궁 간택(2016)
수원화성야조도 재현(2016)
왕세자입학도 재현(2014)
조선왕조 친참례 재현행사 기획(2014)
서울시 ‘사라져가는 전통문화 지원 사업’ 작가 선정 및 전시(2012)
조선왕조의궤 철종가례반차도 재현(2012)
대한민국 전통미술 대전 초대작가(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