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색이 춤추는 듯한 붓터치는 김미영 작가의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특징이다. 그녀는 2013년 유학 당시 철조망을 뒤덮은 장미정원 너머의 환상적인 풍경에 강하게 매료됐다. 기차 창밖으로 빠르게 흐르던 풍성한 색깔은 작업의 모티브가 됐다. 작가의 기억은 자연스레 캔버스에 담겼다. 그 결과물이 서울 이화익갤러리에 상륙했다.
서울 종로구 이화익갤러리는 오는 25일까지 작가 김미영의 개인전 ‘Wet on Wet’을 개최한다. Wet on Wet은 먼저 칠한 유화물감이 마르기 전에 다시 물감을 덧칠하는 방식을 말한다. 작가는 이 방식을 이용해 빠르게 지나가는 색의 기억을 그대로 옮겨 담았다. 작가가 주로 사용하는 이 기법은 젖어있는 기존 물감과 새로 칠한 물감이 섞이는 과정에서 관객들로 하여금 속도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창밖의 풍경
조아라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는 “작가가 Wet on Wet 기법을 시도했던 초기작들은 붓터치 하나하나가 어느 정도 살아있도록 한 작업이었다”며 “하지만 이번 전시에 선보인 작품에서는 보다 과감하게 이전 형상을 밀어내거나 드러내고 덮거나 긁어낸 제스처들이 강하게 느껴진다”고 전했다.
이어 “예기치 못한 효과들을 포용해 이전의 물감이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긋고, 펴고, 덮고, 흘러내리게 하는 방식으로 캔버스 전체를 채워 특유의 추상성을 더했다”고 덧붙였다.
과거 창문 너머의 풍경은 작가에게는 건너가려해도 넘어설 수 없는 세계의 경계와 같은 느낌이었다. 그런 그에게 사각의 캔버스는 새로운 세상으로 이어주는 통로나 다름없다. 벽에 걸려있는 새하얀 캔버스는 작가에게 새로운 작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마주한 두꺼운 벽이자 자신만의 환상적인 세상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이다.
덧칠하는 방식 표현
작품의 속도감 더해
이번 전시에서는 크게 두 가지 다른 방식의 작품을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원색의 물감을 기억 속의 실제 풍경처럼 보이도록 구상적이면서 빠른 속도로 붓질한 작품이다. 다른 하나는 추상성을 더하고자 파스텔 톤의 물감을 느린 속도의 붓질로 만들었다.
작가의 두 가지 작업 방식은 시각 정보 위주의 자극에만 머무르지 않고 더 나아가 미각과 후각 등 감각 정보까지 회화의 영역으로 끌어오려는 시도다. 예를 들어 민트와 라즈베리 크림이 들어있는 아이스크림의 시원하고 달콤한 맛까지 평면의 회화로 옮기려는 것이다. 작가의 이러한 시도는 시각 정보를 시각 매체로 옮기는 단구조를 넘어 오감의 정보를 색을 통한 평면 회화로 전이시키려는 작품의 방향성이다.
작가의 작품이 다른 감각을 불러일으킨다는 특징 외에도 유심히 살펴보아야 할 사실이 있다. 그가 전통적인 회화의 질서를 전복시키는 실험을 꾸준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수많은 레이어로 이뤄진 작가의 작품을 유심히 보다보면 짙은 색을 먼저 칠하고 옅은 색을 쌓아 올려 먼저 존재하고 있던 색에 다른 색이 개입하는 과정을 과감히 드러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감각 정보까지 평면 속으로
전통 회화 질서 전복 시도
숲을 연상하게 하는 ‘The Painter’s Grove’의 경우 물리적으로는 가장 뒤에 있어야 할 어둡고 짙은 색들이 사실상 가장 볼륨감 있게 튀어나와 있다. 이처럼 직전의 행위를 방해하거나 관습적인 사고 패턴을 파괴하며 얻어낸 전복 효과는 작가의 작품을 단순히 아름다운 색채의 향연으로만 치부할 수 없도록 만든다.
작가는 관객들이 자신의 작품을 볼 때 “그림 속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색이 일렁이는 듯 미묘한 진동으로 드러나길 바란다”고 밝혔다. 또 “색의 화면을 통해 달콤함, 미끄러움, 소란스러움 등이 시끄럽게 들리기를 꿈꾼다”고 덧붙였다.
작가의 바람은 단순히 빠른 속도로 붓질을 하거나 색을 민첩하게 배열한다고 해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진짜 회화
김동현 이화익갤러리 큐레이터는 “작가는 재료가 물리적으로 갖고 있는 물성적인 특질만을 이용해 비록 한순간의 기억일지라도 영원히 움직이는 듯한 화면으로 만들어내면서 동시에 이상을 꿈꾼다”며 “어쩌면 우리는 이것을 진짜 회화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jsjang@ilyosisa.co.kr>
[김미영은?]
1984년 서울 출생
▲학력
왕립예술대학교 회화전공 대학원(2014)
이화여자대학교 동양화전공 대학원 조형예술학부(2011)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화과 미술학부(2008)
▲개인전
‘Wet on Wet’ 이화익갤러리, 서울(2017)
‘Sunlight House’ 레스빠스71, 서울(2016)
‘Both Sides Now’ 스페이스 챕터투, 서울(2015)
‘Green Paintings’ Sophie’s Tree, 뉴욕, 미국(2015)
‘Disconnected Connection’ 갤러리 도스, 서울(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