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임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력을 하나로 결집시킬 수 있습니다.”
“그야 당연하고. 그런데 연개소문이란 작자에 대해서는 세심하게 알아보았는가?”
“물론입니다. 그런 연유로 전하께서 주신 증표를 왕이 아닌 연개소문에게 전했습니다.”
“반응이 어떠하던가?”
“거리낌 없이 당연한 수순으로 받아들이는 듯했습니다.”
“고구려왕은 그에 비하면 애송이에 불과했습니다.”
잠자코 듣고 있던 성충이 대화에 참여했다.
내부 결속
“그렇다면 모든 결정은 연개소문의 손에서 이루어진다는 뜻입니다.”
“제가 살핀 바로는 연개소문 뒤에 또 다른 사람이 있었습니다.”
“다른 사람!”
“우리에게 흥수 군사가 있듯이 그곳에는 선도해라는 책사가 있었습니다.”
“선도해라!”
“비록 긴 시간은 아니었지만 모든 계략은 그의 머리에서 나오는 듯했습니다. 연개소문도 그의 말이라면 무조건 따르는 듯했습니다.”
“대체 어떤 자요?”
“상세한 내막은 알지 못하나 원래 태어나고 자란 곳은 현재 신라 영토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결국 전쟁 통에 흘러들어갔다는 이야기로세.”
의자왕이 말을 마치고 흥수를 주시했다.
“여하튼 그 자에게 각별한 관심 기울이라 세작에게 통보하시게. 그리고 당항성 건은 어떻게 되었소?”
흥수가 성충에게 말하라는 듯 시선을 보냈다.
성충이 그를 알아채고 가벼이 헛기침했다.
“고구려에서도 기꺼이 동참하겠노라 약조했습니다.”
“믿을 수 있겠소?”
“믿고 말고를 떠나 고구려도 반드시 참여할 것입니다.”
“무슨 근거로 그리 말하시오?”
“전쟁의 효과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쟁의 효과라!”
“전쟁은 반드시 승리를 전제로 하지만, 또 다른 의미에서는 내부 결속제로도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짐 역시 보위에 앉자마자 그 방식을 택했으니.”
의자왕이 말을 하다 말고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장군의 이야기 백번 이해하겠소. 그리고 충분히.”
“모든 국력을 하나로 결집시킬 수 있는 효과 그리고 정적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전쟁만한 것도 없습니다. 그러니 권력을 잡은 지 얼마 되지 않은 연개소문으로서도 필히 참여하리라 생각합니다.”
흥수가 웃으면서 덧붙였다.
“그러면 우리는 고구려의 동태를 살피면서 잠시 휴식도 취하고 힘만 비축하면 되겠소.”
“그동안 신라를 상대로 적지 않은 전쟁을 치렀으니 잠시 휴식을 취하심이 이로우리라 생각합니다.”
성충의 말에 흥수가 의미심장한 눈빛으로 의자왕을 바라보자 짐짓 모른 체하며 연회를 준비하라 일렀다.
성충과 흥수 등 사절단들의 노고를 위로하는 연회를 마친 의자왕이 실로 마음 편히 사택비의 거처를 찾았다.
거처에 들어서는 의자왕을 바라보는 사택비의 시선이 곱지 않았다.
“왜 그런 사랑스런 눈으로 바라보시오?”
“너무 오랜만에 뵈니 그러지요.”
“그리 되었소?”
“마음이 멀어지니 당연한 듯 생각되나 보옵니다.”
“마음이 멀어지다니, 늘 부인 속에 함께 있거늘.”
“아무려면 제 마음 같겠습니까!”
의자왕이 끝까지 물러서지 않고 답하는 사택비를 똑바로 쳐다보며 허리를 껴안자 언제 그랬느냐는 듯 가슴으로 파고들었다.
“과음하지는 않으셨겠지요?”
사택비가 그를 확인이라도 하듯 의자왕의 입에 코를 들이댔다.
“과음이라니. 알맞게 마셨다 해야지.”
“냄새가.”
사택비가 더 이상 말할 수 없었다.
이미 의자왕이 입을 맞추었던 탓이었다.
입맞춤의 달콤함도 잠시 눈을 흘기며 의자왕의 몸에서 떨어진 사택비가 이미 준비해 놓은 주안상을 방 한가운데로 옮겨왔다.
“오늘은 부인과 특별한 대화를 나누고 싶소.”
전쟁의 효과…내부결속·정적제거
의자왕-사택비 만남…특별한 대화
자리를 잡고 잔을 받은 의자왕이 은근한 미소를 머금고 사택비를 바라보았다.
“특별한 대화라니요?”
“아주 특별하지. 남녀 간의 문제 그리고 부인과 나의 성관계를 전쟁에 비교해보고 싶소.”
“네!”
기가 찬지 사택비의 벌어진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
“왜, 이상하오?”
“당연하지요. 어찌 전쟁과.”
“부인, 이거 아오?”
다음 말이 궁금한지 사택비가 가까이 다가앉았다.
“무엇을 말인가요?”
“사람들이 쉬쉬하며 숨기는 변태라는 말 있지 않소. 사랑이 너무 깊어도 변태가 될 수 있겠구나 싶더란 말이오. 아니 오히려 그 이상인지도 모르오.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서 탐닉하고 또 탐닉하다보면 자연 그렇게 되지 않겠소.”
“전쟁처럼 말이지요?”
“바로 말하였소, 전쟁처럼.”
“그럼 오늘 밤이 다하도록 서방님과 전쟁에 대해 논해야겠습니다.”
“사랑도 곁들이고.”
말을 마친 의자왕이 잔을 비웠다.
“전쟁과 사랑에는 공통점이 있다오. 무엇인지 알겠소?”
잠시 생각에 잠겼던 사택비가 손바닥을 마주쳤다.
“강한 사람이 쟁취한다는 거 아닌가요?”
“반드시 그럴까?”
“그러면요?”
“내가 부인을 쟁취한 게 강해서만 이던가?”
사택비가 다시 그 의미를 생각하는 듯 침묵을 지키다 중얼거리듯 말을 이었다.
“반드시 그런 건 아니지요. 한없이 부드럽기도 하고.”
“바로 그거요. 강함과 유연함이 함께해야 하오.”
“강하게 나갈 땐 강하게 그리고 부드러울 땐 한없이 부드럽게.”
사택비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입가에 미소가 번졌다.
“지금 무슨 생각하고 있소?”
“서방님이 저를 사랑해 주실 때…….”
의자왕이 사택비를 끌어안았다.
“마저 말해보오.”
“차마 제 입으로 어떻게.”
“그래도 부인의 입으로 듣고 싶소.”
“서방님이 제 속으로 들어와.”
사택비가 더 이상 말하기 부끄러운지 슬쩍 눈을 흘겼다.
“그러면 직접 행동으로 실행해보자, 이 말이오?”
사택비가 대답 대신 의자왕의 가슴에 바짝 밀착했다.
전쟁과 사랑
“오늘밤 내내 그를 부인에게 입증시켜보려 하오. 그래도 되겠소?”
사택비가 답을 하지 않고 아래로 손을 내렸다.
“왜, 아니 되겠소?”
“저야 좋지요.”
“허허, 그러면 전쟁이 될 수 없지 않소. 어쨌든 서서히 공략해 들어갈 터이니 단단히 대비하시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