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김춘추가 신라로 돌아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의자왕이 보낸 사절단이 평양성에 도착했다.
새로 보위에 오른 보장왕의 즉위를 축하하고 향후 두 국가의 협력에 관해 논의하기 위해 성충과 흥수로 구성된 사절단이었다.
보장왕이 그들의 입국을 축하하기 위해 베푼 연회가 끝나자 성충과 흥수 그리고 연개소문과 선도해가 자리를 함께했다.
구원 요청
“얼마 전에 신라에서 김춘추란 사람이 다녀갔습니다.”
선도해가 담담하게 말문을 열었다.
“김춘추라면 대야성 성주였던 김품석의 장인이고 우리 손에 죽은 고타소의 아버지를 지칭하는 겁니까?”
“그런데 그 자는 차마 그 이야기는 꺼내지 않더이다.”
흥수의 말에 선도해가 다시 답을 이었다.“그 자가 무엇 때문에 왔었습니까?”
“바로 그 일, 대야성의 패배를 설욕하기 위해 구원을 요청했습니다.”
“고구려에, 구원을!”“정말 정신없는 사람들이지요. 당나라에 요청하던가 해야지, 왜 우리에게 한단 말입니까.”
이번에도 흥수와 선도해가 말을 주고받았다.
“실은, 그 일 때문에.”
“우리 사이에 뭐 그리 힘들게 말씀하십니까?”
성충이 조심스럽게 말문을 열자 연개소문이 은근하게 목소리를 높였다.
성충이 머쓱한 표정을 짓다가는 이내 파안대소했다.
이어 흥수에게 눈짓을 보내자 흥수가 소매에서 서한을 꺼내 연개소문에게 건넸다.
연개소문이 서한을 살피며 가볍게 신음하자 선도해가 순간적으로 고개를 돌렸다.
잠시후 선도해의 입에서도 절로 신음이 흘러나왔다.
그 서한에는 ‘同盟(동맹)’이란 두 글자가 검붉게 물들어 있었다.
“저희 의자왕께서 피로 써주셨습니다.”
“이리 소중한 서한을 바로 임금께 전하지 않으시고.”
“분위기도 그렇고 또 막리지께 전달함이 절차상 도리라 생각했습니다.”
“고맙소. 백제에서 이리도 신경 써주시니 우리도 한 시름 놓을 수 있겠구려.”
성충의 말에 답한 연개소문이 선도해를 바라보며 가벼이 헛기침하고 정색했다.
“이미 백제에서도 아시겠지만 고구려는 반당나라파가 권력을 잡았습니다. 아울러 우리는 당나라와 일전을 불사한다는 각오 하에 준비 중입니다.”
“훌륭한 처사입니다.”
“그러면 신라와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겁니까?”
성충에 이어 흥수가 말을 건넸다.
“신라와는 불가근불가원 관계를 유지할 생각입니다. 자칫 신라까지 적으로 만들게 되면 앞뒤로 적을 상대해야 하는 곤란한 지경이 될 수도 있으니까요.”
선도해가 답을 하자 성충과 흥수가 심각한 표정으로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왜 그러시는지요?”
“저희 의자왕은 무엇보다 고구려의 확고한 의지를 확인하고 싶어 하십니다.”
“의지라면?”
“고구려와 백제가 하나로 굳게 결속하여 신뢰를 굳건히 하고자 하십니다.”
“구체적으로 말씀해보시지요.”
“그런 차원에서 당나라와 신라의 주요 교통로인 당항성을 함께 침공하여 점령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평양성 도착한 백제 사절단
협조 요청…속내 숨긴 선도
“당항성!”
“이전 영류왕 때 함께 치기로 했었으나 일이.”
상황변화의 이면을 알고 있는 성충이 차마 말을 끝맺지 못하자 연개소문이 가벼이 헛기침 했다.
“관계를 견고히 하는 차원에서 함께 도모하자는 이야기입니다.”
“신뢰를 먼저 쌓자는 의미입니다.”
“그렇게 하시지요, 막리지 대감.”
성충과 연개소문이 대화하는 중에 선도해가 개입했다.
연개소문이 가만히 선도해의 얼굴을 주시하다가는 이내 고개를 끄덕였다.
“좋소. 이 일이 반드시 관철되도록 내 우리 전하께 강력히 진달하겠소.”
“고맙습니다, 대감.”
“아닙니다. 사실 당나라를 상대로 일전을 불사하겠다고는 했지만 아직 우리 힘으로는 중과부적입니다. 그러니 일단 귀국과 함께 우리민족의 일을 정리한다는 차원에서 신뢰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연개소문이 성충과 흥수의 손을 번갈아 잡았다.
“이보시오, 책사!”
“말씀하시지요.”
연개소문과 선도해가 성충과 흥수를 만나고 돌아가는 길이었다.
“내 책사가 하라 하니 승낙했지만, 믿어도 되겠소?”
물론 방금 전 백제와 함께 신라의 당항성을 쳐서 당나라와 신라의 교역로를 끊어버리자는 내용을 의미했다.
“믿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라 생각합니다.”
“하면?”
“우리로서는 굳이 당항성을 칠 이유가 없지요.”
“그게 무슨 소리요. 방금 전 함께 치기로 하지 않았소?”
“그랬지요. 그런데 저들이 당항성을 칠 수 있겠습니까?”
연개소문이 가던 길을 멈추고 의아한 표정을 지었다.
선도해가 답은 하지 않고 가만히 미소만 보이자 연개소문이 더욱 영문을 모르겠다는 듯 야릇한 표정으로 선도해를 주시했다.
“조금 치사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오늘 회동과 내용을 신라에서 알 수 있도록 은밀히 조처하십시오.”
“뭐요, 그런 치사한 방식을!”
“아니지요, 실상은 그 역입니다.”
“역이라!”
“우리가 백제의 신뢰를 점검해 보자는 이야기입니다.”
“구체적으로 말해 보세요.”
“백제 측에서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지만 그 내심을 어찌 믿을 수 있겠습니까. 함께 치기로 하고 저들이 혹여 뒤로 빠져버린다면 우리만 병신 되는 꼴 아닙니까. 그런 경우 자칫 잘못하면 낭패를 볼 수도 있습니다.”
“낭패라니요?”
“우리의 목적은 당나라 아닙니까. 그런데 여차하면, 아직 정비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당나라와 그리고 신라를 적으로 만들 수 있지 않겠습니까?”
연개소문이 그 말을 헤아리는 듯 잠시 침묵을 지켰다.
“하기야, 워낙에 변덕이 심하니.”
낭패 우려
“바로 그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들의 진정이 무엇인지 먼저 알아보자는 의미입니다.”
“계속해 보세요.”
“이 사실을 신라에서 알게 되면 신라의 여주가 즉각 돈을 싸들고 당나라에 고할 것입니다.”
“당연히 그리하겠지요.”
“그러면 당나라는 체면도 체면이거니와 받아먹은 연유로 백제와 우리에게 자제하라 주문할 것입니다.”
“절차상 그리 되겠지요.”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