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임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형님, 이게 어떻게 된 일입니까?”
“뭐가 말인가?”
“기껏 매복 훈련에다 순찰을 강화했는데 정작 백제군이 코앞까지 닥치도록 모르고 있었다니.”
검일의 지적에 모척 역시 의아한 듯 백제 진영을 바라보았다.
“가만, 생각해보니.”
“무슨 일입니까?”
“우리가 했던 훈련을 생각해보았네.”
“훈련이라니요?”
“어느 순간 훈련이 멈췄지. 그래, 자네 일이 있고 난 이후 언제 그랬냐는 듯 훈련이 종료되지 않았는가?”
검일이 모척의 말을 헤아리는 듯 잠시 사이를 두었다.
“듣고 보니 형님 말이 맞네요.”
“성주가 자네 부인을 취한 후로는 훈련이 없었지.”
“그러면 그게.”
둘의 시선이 마주쳤다.
“아니야.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니 너무 비약 말게.”
“아닙니다, 형님. 한번 깊게 생각해 볼 일입니다.”
“성주가 자네 부인에게 빠져 지내느라 훈련을 잊어버렸을 수도 있지 않은가.”
“아무리 그렇더라도 훈련은 훈련대로 했어야 하는 거 아닙니까?”
모척이 검일에게 목소리를 낮추라 하고는 구석진 곳으로 이끌었다.
“자네 그날 일 제대로 기억하고 있는가?”
“당연하지요. 그 일을 생각하면 지금도 치가 떨립니다.”
“당시에는 정신이 없었지 않은가.”“물론 그랬지요. 그러나 그 전까지의 일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모척이 잠시 신음을 내질렀다.
“왜 그럽니까, 형님.”
“사고가 있던 날, 그날 먹었던 음식과 관련해서 뭐 생각나는 거 없는가?”
“일전에 말씀드린 것처럼 음식이 맵고, 짰던 거 외에는.”
“그래서 모두가 정신없이 물을 마셨고 말이지.”순간 검일이 눈을 동그랗게 뜨고 모척을 주시했다.
“왜 그러는가?”
“맞아요, 그 물!”
“그 물이 왜?”
“음식이 너무 맵고 짜서 모두들 물을 먹다보니 부족했는데, 그를 알고 있었다는 듯 성에서 물을 가져왔습니다.”
“그게 누구였는가?”
“서천! 맞아요, 그 쥐새끼였습니다.”
“서천이라면 성주의 분신과 다를 바 없는 놈 아닌가.”
“이제 생각해보니. 그 새끼가!”
“그놈이 개입되었다면 이는 분명 성주 그 놈의 짓거리임에 틀림없네.”
“그러면 이 새끼들이 일부러.”
말을 하다 말고 검일이 이를 갈았다.
“여하튼 자네는 지금 그날 그 놈과 함께 왔던 병사를 찾아보도록 하게.”
모척의 말을 헤아린 검일이 다시 이를 갈고 급히 자리를 떴다가는 오래지 않아 병사 한 명을 데리고 나타났다.
“자네가 물을 져다 날랐는가?”
“그렇습니다만.”
자신이 왜 그 일로 그 자리에 와야 했는지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듯 눈을 동그랗게 떴다.
“그날 그 물 어디서 떠다 나른 건가?”
병사가 잠시 생각에 잠겼다가 고개를 갸웃거렸다.
“저희가 물을 떠서 가져간 것이 아닙니다.”
“그러면?”
검일이 나섰다
“자네는 좀 가만히 있게.”
모척이 흥분하고 있는 검일의 행동을 제지했다.
“자네들이 떠다 나른 물이 아니라면 뭐란 말인가?”
“그저 통에 담겨 있는 물을 가져다준 것뿐입니다요.”
“물이 이미 통에 담겨 있었다고?”
“그렇습니다. 사지.”
품석 계략에 놀아난 검일·모척
불타는 복수심…과연 성공할까
“알겠네, 그만 가보게. 그리고 지금 이 일은 절대로 함구해야 하네. 그렇지 않으면.”
모척이 말을 하다 말고 자신의 손을 칼로 가져갔다.
순간 병사가 움찔거리며 뒤로 물러섰다.
병사가 물러나자 모척이 급히 검일의 손을 잡아끌었다.
“어디 가시게요.”
“어디긴 어딘가. 그 물통을 살펴보아야지.”
수하 병사를 불러 경계를 지시하고 모척이 급히 검일과 함께 성루에서 내려가 창고로 걸음을 옮겼다.
창고에 들어가서 물통이 즐비한 곳으로 찾아갔다.
주위를 살펴보자 따로 떨어져 있는 물통 여러 개가 시선에 들어왔다.
급히 다가가 그 물통들을 살피기 시작했다.
한 순간 모척의 입에서 절로 신음이 흘러나왔다.
“왜 그러십니까, 형님!”
“이 냄새 맡아보게.”
짤막하게 답한 모척이 곁에 있는 다른 물통으로 걸음을 옮겨 냄새를 맡아보았다.
냄새를 맡은 검일이 모척에게 다가갔다.
“이번에는 이 물통들의 냄새를 맡아보게.”
냄새를 맡아본 검일의 얼굴이 일그러졌다.
“이 죽일 놈 새끼들!”
방금 전에 맡아보았던 물통에서 났던 이상야릇한 냄새와 달랐기 때문이었다.
“무슨 냄새인지 알겠는가?”
“그건….”
“대추냄새야, 대추!”
“대추요?”
“대추씨로 물을 우려 낸 거지.”
“그러면 수면제!”
“자네나 자네 수하들이 너무 맵고 짠 음식을 먹어 맛을 구분하지 못하고 물을 마셔대는 통에 일이 그리된 거야.”
“잠깐, 그러면 음식들은.”
“그 역시 성에서 가져간 음식들 아닌가?”
“그야 당연하지요.”
“처음부터 다 계획된 일이었네.”
“그렇다면 이 새끼가 제 마누라를 빼앗기 위해 일부러.”
“바로 그러하네.”
“그런데 형님은 어떻게!”
모척이 길게 한숨을 내쉬고 말을 이었다.
“내가 집사람에게 들은 말이 있었네.”
“네!”
“우리가 한창 매복 훈련에 매진하는 중에 아내가 자네 집에 볼 일이 있어 들른 모양이더라고. 그런데.”
“그런데요?”
“자네 처가 누군가와 함께 있더라는 말이었네, 그 야심한 시간에. 그래서 혹시나 하고 살펴보았는데 목소리로 보아 성주가 틀림없더라는 이야기였네.”
“그러면 결국 성주 이 새끼와 제 처가 짜고 이 일을 벌였단 말입니까?”
“그리 되었다고 봐야지.”
힘겹게 답한 모척이 화가 난 듯 물통을 걷어찼다.
“형님, 저는 이제 어찌해야 합니까?”
“자네 일이니 자네가 판단하게. 여하한 경우든 나는 자네와 함께할 걸세. 이미 모든 정황 알고 난 마당에 쥐새끼만도 못한 새끼를 위해 목숨 바칠 생각 없네.”
순간 검일이 소리 나도록 이를 갈았다.
“어찌할 생각인가?”
“어찌하긴요. 반드시 복수해야지요!”
“어떻게?”
“내 이년을 갈가리 찢어 죽이고 성주 이 새끼는.”
말을 하다 말고 검일이 백제군이 진을 치고 있는 곳으로 고개를 돌렸다.
“백제군의 힘을 빌려서라도 성주 새끼 씨를 말려야지요.”
“백제군에게 말인가?”
“단순히 성주 하나 죽이는 데서 끝맺지 않을 겁니다.”
모척이 알아들었다는 듯 한숨을 내쉬었다.
“왜 그러세요?”
“그렇게 하려면 결국 신라를 배신하는 수밖에는 없지 않은가. 성주 새끼 장인이 김춘추이니만큼 더 이상 신라와 연을 맺을 수도 없고.”
“형님, 우리 같은 놈들에게 백제든 신라든 그게 그거 아닙니까?”
“그야. 여기 있어봐야 어차피 더 이상 올라 갈 일도 없으니 자네 의견에 따름세.”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