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임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뭐라!”
“왜요, 오라버니?”
“기어코 대야성 성주로 발령 났다는 말이지!”
김유신의 눈초리가 이상해지자 품석과 유신을 번갈아 바라보던 문희의 얼굴에 근심이 드리워지기 시작했다.
“왜 그래요, 오라버니!”
유신이 대답하지 않고 품석의 얼굴을 뚫어져라 보고만 있었다.
“외숙부, 왜 그러세요?”
얼마 전 정월을 맞이하여 김춘추와 함께 선덕여왕을 알현했었다. 춘추의 이모이기도 한 선덕여왕에게 새해 인사 겸해서였다.
“두 사람 모두 잘 왔어요.”
신년 인사를 마치자 선덕여왕이 마치 두 사람을 기다리고 있었다는 듯 살갑게 맞았다.
“무슨 하문하실 일이라도 있으신지요?”
“하문이 아니라 경들과 상의할 일이 있어 그런다오.”
단순히 신년 인사차 방문했는데 국사를 논한다 하니 두 사람 모두 긴장했다.
“마마, 무슨 일이신지요?”
“그다지 특별한 일은 아니에요. 이웃 백제의 동정에 대해 심상치 않은 이야기가 들리는데, 그 일에 대해 상의 좀 해야겠어요.”
“백제의 동정이라니요?”
순간 유신의 목소리가 올라갔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무왕의 뒤를 이은 의자왕이 오래 전 관산성 전투에 패한 일을 두고 복수를 벼르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어요.”
“복수라니요! 그때가 언제인데.”
“단순히 복수 차원의 문제라기보다 새로 보위에 앉은 의자왕이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우리에게 그 화살을 돌릴지도 모른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의자왕이 반대세력을 규합하기 위한 방편으로 신라를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겠다, 이 말씀이십니다.”
“그래요, 장군.”
“선왕인 무왕의 죽음에 대해 의혹의 소리가 높다고 들었습니다.”
유신이 잠시 침묵을 지키자 춘추가 조심스럽게 말문을 열었다.
“그건 무슨 소린가?”
“의자왕이 왕좌에 오르기 위해 아버지를 죽였다는 풍문도 돌고 있습니다.”
“의자왕이라면 효자로 소문난 사람 아닌가?”“권력 앞에 효가 무슨 의미가 있겠습니까. 여하튼 무왕의 간부인 사택비와 결탁해서 아버지를 죽이고. 여하튼 그 일로 어수선한 모양입니다.”
“그랬군요. 의자왕이 보위에 앉기 위해 효도로 위장했는데 이제 보위에 앉았으니 더 이상 효도에 연연해할 이유가 없어졌지요. 그리고 작금에 불거진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탈출구가 필요했겠지요. 결국 그 모든 화살을 우리를 향해 쏟아 부을 것이고.”
선덕여왕의 얼굴에 근심이 드리워졌다.
“제 놈들이 어디 감히 신라를 넘본다는 말입니까. 우리가 허수아비인줄 아는 모양입니다.”
유신의 목소리에 잔뜩 힘이 들어갔다.
“그렇지만 장군 홀로 모든 전쟁을 치룰 수는 없는 일 아닙니까?”
춘추의 반구에 되살아나던 선덕여왕의 안색이 다시 어둡게 변해갔다.
“그래서 말인데요.”“말씀하십시오, 마마.”
“당나라가 우리에게 진상품을 보내라하지 않았습니까.”
“그런 일이 있었습니까?”유신의 목소리가 올라갔다.
“지난해 당나라에서 돌아온 사람들로부터 정식으로 신라의 토산품을 진상하라는 말을 전해 들었어요.”
“정식으로 진상하라 함은 신라를 공식적으로 신하 국으로 생각한다는 의미 아닙니까?”“꼭 그런 차원으로 접근하기보다 그저 훗날을 대비해서 정례화하면 어떨까 싶어요. 유사시에 그들의 힘도 빌릴 수 있게 말이오.”
“그래서는 아니 됩니다.”
유신이 단호하게 말을 잘랐다.
“왜 그러세요, 장군!”
“그걸 몰라서 묻습니까. 우리.”
유신이 차마 다음 말을 잇지 못했다.
“그게 무슨 소리요, 장군!”
선덕여왕의 표정이 더욱 근심스럽게 변해갔다.
김춘추-김유신, 선덕여왕과 당나라 문제 이견
의자왕 전쟁 야욕…대야성 성주는 누가 되나?
“신라 최고의 명장인 김유신 장군이 남의 힘을 빌리고 싶겠습니까.”
춘추가 즉시 중간에 끼어들었다.
“하기야, 장군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용납하기 힘들겠지요. 그러나 이는 국가의 운명과 연계되는 문제이니 숙고해야 합니다.”
“그 부분은 전하의 뜻대로 처리하십시오. 유사시에 그들의 도움이 필요할지도 모르니까요.”
유신의 표정이 더욱 어둡게 변해갔다.
“그리하겠어요. 어차피 당나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면 어느 정도의 손해는 각오해야지요.”
“단순히 손해가 아니라.”“외교적인 차원에서 바라보아야 할 일이지요.”다시 춘추가 유신의 말을 잘랐다.
“그건 그렇게 하기로 하고 우리 입장에서도 자구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지금 대야성 성주가 공석이지 않소.”
대야성.
일찍이 대가야국의 영토였으나 진흥왕 시절 신라의 장군 이사부가 공략하여 신라에 복속시키고 대량주(大良州)라고 개칭한 곳으로 백제와의 접경지대인 신라 서부의 군사 요충지, 신라의 대백제 방어에서 최전선 역할을 하는 곳이었다.
“그곳에 누굴 보낼 계획입니까?”
“마침 경들에게 말을 꺼내려 했는데 경의 사위고 장군의 조카사위인 김품석이 어떨까 싶어요.”
“김품석이오!”
유신의 표정이 갑자기 굳어졌다.
“왜요, 장군. 김품석이 적합하지 않은가요?”
“그 중요한 곳에. 마마, 김품석은 재고해 주십시오.”
“왜 그러십니까. 제 사위가 뭐가 어때서 그러십니까?”
춘추가 마뜩치 않은 표정으로 유신을 바라보았다.
“김품석이 비록 이찬의 높은 직급에 있기는 하지만 아직 전투 경험도 없는데다.”“장군, 주저 말고 말씀세요.”
“대야성처럼 중요한 성의 성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그곳은 그야말로 실전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 세워야 하옵니다.”
“그건 그렇고 하려다 만 말이나 해보세요.”
선덕여왕의 독촉에 유신이 춘추를 바라보았다.
“비록 제 조카사위이지만 아직 혈기왕성한 데다, 혹여 경거망동할 수 있으니 재고해달라는 이야기입니다.”“경거망동이라니요?”
춘추의 표정이 살짝 일그러졌다.
“들리는 바에 의하면 여자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야 단단히 이르면 되지요.”“그게 단단히 일러서 될 일인가. 층층시하인 이곳에서도 그런데 변방의 성주 자리에 앉게 되면 통제도 불가능하지 않겠는가.”
유신의 단호한 말투에 춘추가 슬그머니 고개를 돌렸다.
“마마, 여하튼 단순한 일이라 생각 마시고 신중하게 받아들여 김품석은 재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유신의 재차에 걸친 완곡한 말투에 선덕여왕과 춘추도 더 이상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