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NET세상> 아무나 보는 ‘야한 광고’ 논란

공중파 맞아? 아이랑 보다 ‘허걱’

[일요시사 사회2팀] 유시혁 기자 = 성적 자극으로 소비자의 반응을 유도하는 광고가 바로 성상품화(성적소구)광고다. 성적 노출과 판타지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윤리적인 비난에서 벗어날 수 있으나, 지나칠 경우 광고 효과에 대한 저해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최근 TV광고에 성상품화광고가 우후죽순으로 늘어나고 있어 누리꾼들 사이에서 선정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볼륨감 넘치는 몸매의 소유자 이하늬는 란제리 브랜드 비너스의 전문 광고모델이다. 2012년 3월 비너스 랩 TV광고를 시작으로 지난 9일 첫 선을 보인 더블윙캐치까지 그동안 8편의 TV광고에 출연했다. 지난 3월 방영된 ‘더블윙: 시선이 머무는 시간’ 편에서 밀착 살색 원피스 차림으로 완벽한 S라인을 자랑해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어 지난 9일부터 방영된 ‘더블윙캐치: 난 안 삐진다’ 편에서도 밀착 원피스 차림 그대로 등장해 깊게 파인 가슴골을 선보여 누리꾼들로부터 질타를 받았다.

깊게 파인 가슴골

‘모델의 노출이 너무 심하다. 별로 보기 안 좋다’(LEEJE02**), ‘연령대 관계없이 누구나 보는 TV광고에 가슴 절반 정도를 노출시킨 건 과했다. 속옷 광고라서 허용되는 건가?’(NAEUN0**) 등의 노출에 대한 누리꾼들의 지적과 함께 ‘모델의 몸을 정말 쫀득쫀득하게 잘 찍은 것 같다’(MTSC**) 등의 노골적인 누리꾼의 광고평도 이어졌다.
 

지난달 21일부터 방영된 ‘LG유플러스 LTE ME: 심쿵클럽’ 편도 누리꾼들 사이에서 선정성 논란에 휘말렸다. 비만 여성이 수영장 다이빙대에서 뛰어내리자 비키니녀로 변하는 내용을 담은 이 광고에서 8등신 황금 비율 몸매의 비키니녀 레이양이 등장, 과한 노출에 대한 누리꾼들의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TVCF에서 누리꾼 BAEK**는 ‘노출에 초점을 둔 것이냐?’, 2KMS**는 ‘모델의 과한 노출이 메시지 전달을 방해한다’, SSW10**는 ‘여성을 비하하는 것 같다’, TJMI**는 ‘할부금을 인하했다는 표현을 성적소구광고로밖에 표현할 수 없었던 것인가’ 등의 반응을 보였다.

베지밀 TV광고 ‘마신대로 이루리라’ 편에서는 배우 하석진이 모델로 나서 건강미를 뽐내기 위해 상반신 노출을 선보였다. ‘식사대용이나 간식이 아닌 단백질 보충제 같은 이미지를 심어줘 인상적이다’(NAMOUK13**)는 호평이 있는 반면 ‘노출이 다소 과한 콘셉트다’(HONGSUN**), ‘베지밀은 애들이나 노인이 마시는 모습이 더 어울린다’(SIN12**), ‘두유와 운동하는 남성 사이에 어떤 관계성이 있는지조차 모르겠다’(TJMI**) 등의 혹평이 우세했다.


모바일게임 천룡팔부의 TV광고 ‘붙어라 한 판’ 강예빈·천이슬 편도 선정성 논란의 중심에 섰다. 상반신을 노출한 근육질 남성 3명이 강예빈과 천이슬에게 들러붙는다. 특히 “쉽게 즐길 사람 여기여기 붙어라”는 로고송이 흐르고, 한 남성이 여성 모델의 허벅지를 끌어안으며 흐뭇한 미소를 지어 미성년자가 보기에 적절하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DWLSB**는 ‘어린아이가 보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광고 같아 아쉽다’, JIHYE12**는 ‘쉽게 만들었다고는 생각하지 말아야지’, EKY3**는 ‘쉽게 즐길 사람 붙으라는 의미가 노골적으로 느껴진다’, BLUELOVE**는 ‘광고의 모델만 돋보인다’ 등의 악플이 이어졌다.

성적소구CF “야해도 너무 야하다”
벗고 나오는 모델들…선정성 지적

노출 없이 야한 광고도 누리꾼들 사이에서 화제다. 환경부가 제작한 공익광고 ‘쓰레기도 족보가 있다 - 비닐’ 편이 대표적인 예다. 쇼윈도의 남자마네킹이 천이 벗겨져 나체가 되고, 이를 부끄러워하는 남자마네킹에게 나뭇가지에 걸려있던 비닐봉투가 다가가 중요부위를 가려준다는 내용이다.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신선하다’는 반응과 ‘공익광고에 적합하지 않다’는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누리꾼 ZIPA**는 ‘아이디어와 연출은 뛰어나지만 공익광고의 목적에 맞는 걸까?’, CHARISM**는 ‘우유팩과 빨대 편은 신선하고 좋았는데 비닐 편은 다소 야하게 느껴져 별로다’고 지적했다.

전국모텔·호텔검색앱 ‘여기어때’의 광고도 노출 없이 야한 광고라는 지적이다. ‘극장’ 편에서는 19금 영화를 감상하던 중 여자친구(박기량)가 남자친구(유병재)에게 “오빠, 저런 것도 가능해?”라고 묻자 남자친구가 기쁨의 눈물을 흘리며 좋아한다.
 

또 ‘심야택시’ 편에서는 택시를 잡는 남자친구에게 여자친구가 “할증 붙으면 5만원이다”고 말하자 남성이 택시 뒷문을 닫아버리고, ‘응원’ 편에서는 여자친구가 “씻고 싶다”고 말하자 남자친구가 반색하며 좋아한다. ‘꿍꼬또’와 ‘향수’ 편에서도 ‘기회는 항상 예고없이 찾아온다’ ‘불타는 청춘을 위하여’ 등의 문구가 강조되며 소비자들의 성적 판타지를 자극시킨다.


성적판타지 자극

누리꾼들은 ‘선정적일 수 있는 내용을 모델의 이미지 활용을 통해 유머러스하게 잘 전달하고 있다’(JJH4**), ‘너무 노골적으로 표현해 브랜드 이미지마저 나빠졌다’(MGH93**), ‘숙박 어플 광고로 인해 광고가 퇴색되고 있다’(FEARD**), ‘여성을 성 상품화시켰다’(DUK**)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단독]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탈옥했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성민 기자 = 보이스피싱 총책 ‘김미영 팀장’ 박모씨와 조직원 3명이 필리핀 현지 수용소서 탈옥한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일요시사>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와 함께 보이스피싱 등의 범행을 함께한 조직원 포함 총 4명은 최근 필리핀 루손섬 남동부 지방 비콜 교도소로 이감됐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후 지난 4월 말, 현지서 열린 재판에 출석한 박씨와 일당은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한 수사 당국 관계자는 “박씨와 일당 3명이 교도소로 이송되는 과정서 도주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체적인 탈출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씨는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출신의 전직 경찰로 알려져 충격을 안겼던 바 있다. 2008년 수뢰 혐의로 해임된 그는 경찰 조직을 떠난 뒤 2011년부터 10년간 보이스피싱계의 정점으로 군림해왔다. 특히, 박씨는 조직원들에게 은행 등에서 사용하는 용어들로 구성된 대본을 작성하게 할 정도로 치밀했다. 경찰 출신인 만큼, 관련 범죄에선 전문가로 통했다는 후문이다. 박씨는 필리핀을 거점으로 지난 2012년 콜센터를 개설해 수백억원을 편취했다. 10년 가까이 지속된 그의 범죄는 2021년 10월4일에 끝이 났다. 국정원은 수년간 파악한 정보를 종합해 필리핀 현지에 파견된 경찰에 “박씨가 마닐라서 400km 떨어진 시골 마을에 거주한다”는 정보를 넘겼다. 필리핀 루손섬 비콜교도소 수감 보이스피싱 이어 마약 유통까지 검거 당시 박씨의 경호원은 모두 17명으로 총기가 허용되는 필리핀의 특성상 대부분 중무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씨가 위치한 곳까지 접근한 필리핀 이민국 수사관과 현지 경찰 특공대도 무장 경호원들에 맞서 중무장했다. 2023년 초까지만 해도 박씨가 곧 송환될 것이라는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하지만 박씨는 일부러 고소당하는 등의 방법으로 여죄를 만들어 한국으로 송환되지 않으려 범죄를 계획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또, 박씨는 새로운 마약왕으로 떠오르고 있는 송모씨와 함께 비콜 교도소로 이감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비쿠탄 교도소에 수감돼있는 한 제보자에 따르면 “박씨의 텔레그램방에 있는 인원이 10명이 넘는다. 대부분 보이스피싱과 마약 전과가 있는 인물들로 한국인만 있는 것도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박씨는 본래 마약과는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다. 송씨와 안면을 트면서 보이스피싱보다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마약 사업에 빠지기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이 교도소 내에서 마약 사업을 이어왔다는 정황이 드러나면서 경찰 안팎에서는 “새로운 조직을 꾸리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당시 일각에서는 이들이 비콜 교도소서 탈옥을 계획 중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쿠탄 교도소 관계자는 “필리핀 남부 민다나오서 약 100만페소(한화 약 2330만원) 정도면 인도네시아로 밀항이 가능하다. 비콜 지역 교도소는 비쿠탄보다 탈옥이 쉬운 곳”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한편, 지난 7일 외교부와 주필리핀 대한민국 대사관 측은 정확한 탈출 방식이나 사건 발생 일자에 대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일축했다. <sm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