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경제2팀] 박효선 기자 = 녹십자 ‘모자의 난’은 끝났다. 현재 녹십자는 고 허영섭 창업주의 동생 허일섭 회장이 실질적인 수장 역할을 하고 있다. 남은 과제는 2세 승계 작업. 후계자들의 물밑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녹십자 2세 경영이 본격 가동됐다. 녹십자는 최근 허은철 부사장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한다고 밝혔다. 내년부터는 허 신임 대표가 경영권을 발휘하게 된다. 허 대표는 고 허영섭 창업주의 차남이다. 이렇게 후계구도는 굳어지는 분위기였다. 그런데 최근 허 대표의 형인 허성수씨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한 지붕 두 가족
녹십자가 임원인사를 마무리지었다. 단독 대표를 맡았던 조순태 사장은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허 대표와 각자 대표 체제다.
그동안 녹십자 후계구도는 명확하지 않았다. 녹십자는 2009년 고 허영섭 전 회장의 별세 이후 동생인 허일섭 회장이 경영 전반을 관리해왔다. 허일섭 회장은 녹십자홀딩스의 대표이사 회장과 녹십자 회장을 맡고 있다. 즉, 녹십자 경영 구조는 ‘한 지붕 두 가족’ 형태다.
후계구도는 허 대표에 힘을 실어주는 분위기다. 내년부터 허 대표가 본격적으로 녹십자 경영 전반을 관리하게 된다. 상속에서 제외된 고 허 전 회장의 장남 성수씨는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에서 승소한 후 회사 경영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도 차남 허 대표를 중심으로 2세 경영이 본격 가동될 것으로 보았다. 후계구도가 선명해지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성수씨가 최근 녹십자홀딩스의 지분을 대거 매입했다. 녹십자홀딩스는 녹십자의 지주회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성수씨는 지난달 28일부터 네 차례에 걸쳐 녹십자홀딩스의 주식 6500주를 장내매수했다. 지분율을 0.95%(46만51주)까지 끌어올렸다.
이를 두고 온갖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우선 업계 안팎에서는 성수씨가 경영 복귀를 노리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회사를 떠난지 6년만이다. 지분을 매입해 향후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는 시각이다. 향후 후계구도 경쟁에 뛰어들 수 있다는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모자의 난’ 끝나고 승계 물밑작업
‘차남 시대’ 돌입…장남 지분 매입
녹십자는 지난 2009년 고 허영섭 회장이 뇌종양으로 사망하면서 모자 간에 유산 분쟁을 겪은 바 있다. 고 허 전 회장이 “장남을 유산 상속자에서 배제한다”는 유언을 남기면서 성수씨는 한주의 주식도 상속받지 못했다. 성수씨가 어머니 정인애씨에게 유언 무효 확인 청구소송을 제기하면서 ‘모자의 난’이 시작됐다.
3년에 걸친 소송 끝에 재판부는 정씨의 손을 들어주었다. 성수씨는 유언 무효소송 패소 직후 보유주식 주식 40만4730만주를 전량 처분했다.
상속에서 제외된 성수씨는 다시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그는 2010년 별도로 제기했던 유류분 반환 소송에서 승소했다. 지난 8월 성수씨는 목암연구소(11만3520주), 목암과학장학재단(11만3520주), 미래나눔재단(23만6551주) 등 총 46만3551주(0.94%)를 돌려받았다. 100억원에 가까운 녹십자 지분을 얻었다.
게다가 형에서 동생으로 경영권이 이어진 탓에 향후 2세 승계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현재 고 허 전 회장 일가가 보유하고 있는 녹십자홀딩스 지분은 서로 비슷비슷한 수준이다. 장남 성수씨, 차남 허 대표, 3남 허용준 녹십자홀딩스 부사장은 각각 3% 이하의 지분을 갖고 있다.
회사 경영을 하고 있는 허 대표(2.36%)와 허용준 부사장(2.44%)의 지분율은 미미한 수준이다. 고 허 전 회장이 보유했던 주식 619만6740주 대부분을 공익재단 등에 기부했기 때문이다. 어머니 정인애씨도 당초 보유했던 주식 55만주 전량을 처분했다. 현재 지분율만으로는 향후 후계 구도의 향방을 점칠 수 없는 상황이다.
모두 고만고만한 지분을 나눠 갖고 있는데다, 삼촌인 60세의 허일섭 회장은 아직 기업의 수장으로서 젊은 편이다. 녹십자홀딩스는 녹십자의 50.06%를 차지하고 있어 녹십자를 지배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허일섭 회장은 10.82%를 가진 최대주주다. 허일섭 회장을 제외하면 4%이상의 지분을 가진 사람이 한 명도 없다.
따라서 고 허 전 회장의 동생인 허일섭 회장이 자녀들에게 경영권을 물려줄 가능성을 대비한 지분 확보 움직임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형제들 뿐 아니라 허일섭 회장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다.
사실상 녹십자홀딩스는 허일섭 회장 일가가 장악하고 있다. 만약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한 허일섭 회장이 자녀들에게 주식을 넘겨준다면 또 다른 시나리오가 나오게 된다. 다만 허일섭 회장의 자녀 3명은 아직 회사경영에 관여하지 않고 있다.
허일섭 회장이 향후 자신의 지분을 자식들에게 넘겨줄 경우 누가 녹십자의 차기 회장 자리에 오르게 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사실상 삼촌 지배
녹십자 측은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녹십자 관계자는 “(성수씨가) 6500주를 매수했다 해도 지분율은 0.95%에 그쳐 크게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회사 자체 보다는 가정사 문제인 만큼 말씀드릴 수 있는 게 제한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녹십자 경영권을 두고 형제간의 혈투가 될지 혹은 오히려 뭉쳐서 가족 경영을 이룰지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후계 구도가 수면 위로 올라오려면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dklo216@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녹십자홀딩스 지배구조
녹십자의 지주회사 녹십자홀딩스. 창업주 고 허영섭 전 회장의 동생인 허일섭 회장이 장악하고 있다. 녹십자의 지주사는 지분 50.06%를 보유한 녹십자홀딩스로 최대주주는 허일섭 회장 일가다.
지난 2009년 타계한 녹십자 창업주 고 허영섭 전 회장은 재산 대부분을 사회에 환원 했다. 아들에게는 가급적 적게 나눠줬다. 게다가 장남 허성수씨는 상속을 받지 못했다.
이후 허일섭 회장은 2대 주주로 올라섰다. 허 회장은 꾸준히 지분을 늘려 2009년 말 9%에서 올해 10.82%까지 확대했다. 허일섭 회장에게는 부인 최영아 여사 사이에 장남 허진성, 차남 허진훈, 장녀 허진영씨 등을 두고 있다. 부인 최영아 여사(0.47%)와 장남 허진성(0.38%) 차남 허진훈(0.34%) 장녀 허진영(0.26%)의 지분까지 더하면 모두 12.27%다. 아울러 허 회장은 2대주주인 목암생명공학연구소(9.29%)의 이사장도 역임하고 있다. 허 회장 일가가 보유한 지분은 20% 이상인 셈이다.
반면 고 허 전 회장의 장남 허성수 전 녹십자 부사장(0.94%), 차남 허은철 녹십자 신임 대표(2.36%), 삼남 허용준 녹십자홀딩스 부사장(2.44%)의 지분은 5.74% 수준이다. 허 회장 일가 지분에 절반도 못 미친다.
허 회장의 장남과 차남의 녹십자홀딩스 지분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허 회장이 단계적으로 지주사 경영 승계에 나서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조심스레 회자되고 있다. 실제 장남 진성씨는 8월부터 9월까지 녹십자홀딩스 지분 5만8901주를 사들였다. 지분율은 0.26%에서 0.38%로 0.12% 상승했다. 차남 진훈씨도 같은 기간 5만8798주를 취득해 0.22%에서 0.34%로 0.12% 지분율을 늘렸다.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