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경제팀] 이창근 기자 = 영화 <트랜스포터> 차량추격 신에 등장하는 '아우디'는 관객들의 뇌리에 강한 인상을 남겼다. 고속주행 때는 물론 차량 충돌과 총격으로 인해 차체가 손상된 상태에서도 운전자의 뜻대로 완벽히 조정되는 장면이 고스란히 노출됐기 때문이다. 만약, 영화 속에 등장하는 차량이 르노삼성의 'SM5'였다면 전혀 다른 장면이 연출될 수 있었다.
대구에서 사업체를 운영하는 이종혁(32세)씨는 1년 전 르노삼성의 SM5를 구입하면서 자동차가 제 멋대로 움직이는 일이 발생하리라고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그러나 지난 5월, 대구 달성군 인근 도로에서 시속 20km로 저속운행 중이던 SM5가 덜컹하는 소리를 내면서 직진하던 차량이 돌연 후진하는 아찔한 상황이 발생했다. 이씨가 운행한 SM5는 출고 한 지 1년 남짓 밖에 안됐고, 운행거리도 2만4000km에 불과한 터라 충격이 더 컸다.
"직진하던 차가 도로 위에서 갑자기 후진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 때 뒤따라오는 차가 있었다면 대형사고가 났을 겁니다. 우리 얘들하고 같이 탔으면 어찌됐을지 생각만으로도 온 몸에 소름이 돋습니다."
대형사고 날 뻔
통제를 벗어난 차량을 더 이상 운행할 수 없었던 이씨는 견인차를 불러서 자동차 정비소로 이동했다. 정비소에서 자동차 보닛을 열자 엔진이 주저앉은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한참을 들여다 본 정비소 엔지니어는 "르노삼성 차량연구소에서 진단해봐야 할 사안"이라 했고, 3일 뒤 실제로 연구소 측에서 사람이 나왔다.
차량을 분해해본 결과 엔진을 지지하고 있는 '엔진미미 고정스크루'라는 부품의 파손이 발견됐다. 지지하던 스크루가 파손되면서 엔진이 내려앉고 이어 바퀴 쪽 구동장치를 건드린 것이 갑작스런 후진의 원인이 된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소 직원은 "정밀조사를 위해 부품을 연구소로 가져갈 수 있도록 허락해 달라"고 요청했고 이씨는 이를 수용했다.
"보상절차를 진행하려면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는 말에 부품회수 요청을 승낙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일주일이 지나도 르노삼성 측은 마땅한 해명이나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 원인을 파악한 후 수리나 보상범위를 결정하자더니 이씨의 허락도 없이 사고차량도 수리해 놓았다.
이 같은 정황을 모른 채 연구소의 분석결과를 기다리던 이씨는 답답한 마음에 본사 고객지원센터에 연락했다가 기분이 상했다. 담당자와 연락조차 닿지 않았던 것이다. 보상절차에 대한 부분은 황당 그 자체였다. 차량을 판매한 대구영업소에서는 '본사에서 지시가 내려와야 처리를 할 수 있다'고 하고, 정작 본사에 전화를 걸어보면 '해당영업소가 전권을 가지고 처리할 사안이어서 본사 담당자를 연결할 사안이 아니다'는 식으로 소위 '핑퐁'을 당한 것이다.
출고 1년 차량 갑자기 후진 '아찔한 상황'
엔진 내려앉아…제멋대로 수리하고 "됐냐"
르노삼성의 처사에 화가 난 이씨는 자신이 겪은 일을 온라인 카페와 블로그 등 각종 게시판에 올리기 시작했다. 네이버에 직접 카페도 만들었다. 본사 측 고객대응팀에서 '보상은 절차에 따라 하는 것이고, 고객님이 겪은 일을 인터넷에 올리는 것은 자유이므로 알아서 하라'고 했던 말을 직접 실천해 옮긴 것이다. 그랬더니 이씨와 같은 사고를 겪었다는 사람이 세 사람 더 나타났다. 그 중 두 사람은 당시의 사진까지 보내 왔다.
2011년과 2012년, 그리고 이씨의 2014년 사례까지 3건의 증거가 나타난 것이다. 이 3건이라는 숫자는 의미가 있다. GM이 시동스위치 결함으로 인한 사고가 3건 발생했을 때 이미 판매한 차량 3천만대를 리콜 한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주행 중에 자동차 엔진이 내려앉는 결함은 운전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서는 안 되는 사안이라는 게 이씨의 시각이다.
이씨의 게시물이 온라인상에서 파장을 일으키자 르노삼성은 이에 즉각 대응했다.
'회사 측의 권리침해'라는 명분을 앞세워 네이버와 다음, 보배드림에 올라간 이씨의 게시물을 내리도록 조치한 것이다. 이씨에게도 '경우에 따라서는 사실을 게시하더라도 명예훼손이 될 수 있다'는 압박을 잊지 않았다. 그러나 이 같은 르노삼성의 조치는 카페와 아고라에 글을 올렸던 네티즌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불러왔고, 며칠 만에 복구됐다.
"까놓고 얼마 원하십니까?"
항의하니 블랙컨슈머 취급
르노삼성은 이씨를 찾아가 협상을 시도하기도 했다. 합의를 통해 여기저기에 외치고 다니는 이씨의 행동을 무마하려 한 것이다. 이씨는 사고 차량을 르노삼성 측에서 중고차 가격으로 인수해 가길 원했다. 마땅한 원인규명도 없는 상태에서 언제 사고가 발생할지 모르는 차를 시장에 내놓을 수 없다는 입장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회사 측에서 수용하지 않았다. 내부규정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대신 르노삼성이 내놓은 제안은 차량에 대한 감가상각에 대한 20만∼30만원 정도의 보상. '본사에서 직접 내려와 합의를 하는 것은 당신이 처음'이라는 립 서비스는 덤으로 추가됐다.
이씨는 '처음 있는 일' 운운하는 본사 담당자의 태도에 맘이 상했다. 원인규명에 대한 의지가 전혀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자연 회사측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자 담당자 입에서 "까놓고 얼마를 원하십니까?"라는 질문이 돌아왔다.
이씨가 "르노삼성은 문제를 제기하는 고객들을 하나같이 돈을 뜯어낼 목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블랙컨슈머' 취급을 하는 것 같다"고 언성을 높이는 배경이다. '까놓고 얼마'라는 발언에 더욱 기분이 상한 이씨는 '중고차 인수 안 해줘도 되고, 보상도 안 받겠다. 대신 다른 SM5 차량에서는 이 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언론을 통해 보장하라'고 주문을 바꿨다.
사고 원인된 부품이 어떤 공장에서 만들어지고, 어떤 공정을 거치며, 어떻게 심사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지 밝히고, 향후에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것임을 언론을 통해 약속하라고 요구한 것이다. 이에 대해 르노삼성 측은 '특수한 사례로 언론에 공식사과를 하는 것은 회사 차원에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면서도 이씨가 여타 언론사와 접촉하는 것에 대해 불편해했다.
온라인 올리자 대응
<일요시사>가 이 사건에 대한 취재를 시작하자 르노삼성 측은 마지못해 "해당 부품이 파손된 원인은 작업자의 작업과실로 파악됐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부품의 결함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씨의 경우와 같이 차량 운행 중에 엔진이 내려앉은 사례가 더 있느냐에 대한 부분은 즉답을 피했다.
이씨 사례와 동일한 경우는 없고, 유사한 사례는 나름 고객 대응을 하고 있다는 식이다. 동일 케이스가 얼마나 더 발생해야 리콜을 검토할 수 있는지, 파손된 부품의 검사보고서를 공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아예 입을 닫았다. 르노삼성에게는 원인규명과 예방조치를 요구하는 고객이나 이를 보도하는 언론 모두가 그저 '블랙컨슈머'로 보이는 모양이다.
<manchoice@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