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창주의를 택한 트럼프가 본격적으로 행동을 개시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을 향한 관세를 천명했으며 콜롬비아는 재앙적 관세 엄포에 투항했다. 무역 적자 해소와 이를 위한 미국 우선주의로 인해 무역 장벽이 세워지고 관세 전쟁 대상은 동맹과 비동맹을 가리지 않는다.
대미 무역 흑자액이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556억달러에 달했다. 곧 트럼프 관세의 타깃이 될 한국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투자자들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저자는 처음부터 투자 방법론을 거론하지 않는다. 저자는 냉전체제와 그 종식 과정, 세계적 경제위기의 변곡점들을 훑는다. 책의 초반부를 채우는 이 서술을 통해 현재 나 홀로 호황인 미국 경제의 수면 아래 꿈틀대는 거품의 가능성을 경고한다.
잘못된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바로잡아야 비로소 미래를 전망할 수 있음을 잊지 않는 것이다.
서브프라임 사태와 리먼브러더스 붕괴 당시 부실채권 및 전환주식 거래 담당 부사장으로 서브프라임 위기를 예측해 당초 회사에 수백억대의 이익을 안겼던 저자는 회사가 어떻게 잘못된 의사결정을 거쳐 파산하게 됐는지를 고발한 <상식의 실패>를 내놓아 월스트리트의 주목을 끈 바 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기고와 강연을 통해 경제위기 예측에 대한 중요성을 끊임없이 설파해 오고 있다. 이번 신작 <시장은 알고 있다>를 통해서도 위기 감지 능력의 필요성을 꾸준히 언급한다. 이런 노력은 월가가 추종하는 저자의 입지로 빛을 발한다.
로런스 맥도널드는 <뉴욕타임스> <포춘> <파이낸셜 타임스> <타임> <이코노미스트> CNN, Fox, CNBC, 중국 CCTV, BBC, 도쿄 TV 등 우리에게 익숙한 거의 모든 주요 외신에 기고와 출연을 이어가고 있다.
위기 감지와 그 대응은 결국 거시경제를 바로 보는 데 있다. 저자가 투자 방법론만큼이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지표를 보는 시각이다. 채권과 달러 환율만을 바라보고 있을 일이 아니다. 양적완화와 레버리지가 어떻게 인플레이션을 초래하는지 그 역학을 집요하게 파고들어야 한다.
금과 은만 주목하는 것으로는 위험을 분산할 수 없다. 변동성 지수(VIX)에 주목해야 하며 지수의 오르내림 자체가 아닌 그 폭의 비율을 주시해야 한다. ETF에 투입된 막대한 달러 사이사이의 거품을 볼 수 있어야 한다. 불확실성에 대응하려면 탄소중립으로 가는 징검다리가 될 원유, 원자력에 포트폴리오를 노출시켜야 한다. 경질 자산은 현저한 공급 부족으로 전도유망한 투자처다.
저자는 지속적 경제 성장과 성공적 투자는 인플레이션과의 대결 결과에 달렸다고 말한다. 미국은 오바마, 트럼프 1기, 바이든 행정부를 거치며 겉모습만 바뀐 양적완화를 추진했다.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이 정책은 관세 장벽과 니어쇼어링이 야기하는 비효율성과 만나 투자자들을 고통으로 몰아넣고 있다.
과도한 레버리지를 지적하는 저자는 빚잔치의 끝이 결국 대폭락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이 책의 조언대로 현재는 저평가된 가치주와 공급이 부족한 경질 자산으로 나아간다면 인플레이션을 돌파하는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