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해방 이후 ‘선감학원’으로 개칭하고 전쟁 고아들을 수용하는 사회복지 시설로 그 역할이 바뀌었는데, 말이 학원이지 사실은 강제노동수용소와 마찬가지였다.
수용소는 다섯 개의 사동과 여러 개의 부속 건물로 되어 있었다. 충심사를 비롯해 각심사, 세심사, 일심사, 정심사 등의 숙사와 사무실, 양호실, 식당, 창고, 축사, 목공실 따위였다.
염전 작업
총 원생 수는 1000여 명에 가까웠다. 전쟁고아 출신의 부랑아가 많았지만, 그중에는 가난하나마 단란하고 따스한 가족이 있는 아이들도 섞인 상태였다.
그들은 경찰의 실적 올리기 식 일제단속에 붙잡혀 억울하게 끌려온 피해자였다. 또한 소년원 등에서 이감시킨 범법자도 얼마쯤 섞여 있었다.
원장의 훈시가 끝나자 부원장이 올라서서 작업 지시를 내렸다. 작업 분담, 목표량, 주의사항 따위였다. 염전 작업에 나가는 인원을 제외한 원생들에게 내려진 임무는 나무 심기와 영농장의 똥오줌 뿌리기 작업이었다.
어제 들어오면서 본 그 염전은 수용소가 운영하는 것인 모양이었다. 작업 지시가 끝나자 주임 선생의 구령에 따라 선감원의 원가(院歌)를 불렀다.
신선이 노닐던 선감도 청산 기슭에
새 삶의 학원이 자리잡았네
푸른 물결에 해맑게 씻긴
바닷가 조약돌 같은 우리 선감 형제들
푸른 하늘 별들도 우리하고 놀지요
아~ 선감학원~
참된 갱생의 요람이 되리
원가를 부른 다음 그 길로 모두 작업장으로 향했다.
충심사는 영농장 쪽이었다. 변소에서 인분을 퍼서 넓은 채소밭에 날라다 뿌리는 일이었다. 사장의 통솔로 작업이 개시되었다.
생전 처음 져보는 똥지게가 용운에겐 벅차기만 했다. 옥사의 변소에서부터 채소밭에 이르는 수백 미터는 곧 분뇨통을 짊어진 원생들의 행렬도 메워졌다.
길 여기저기에는 반장들이 몽둥이를 들고 서서 오가는 원생들을 다그쳐댔다.
“너희들의 똥이니 더럽다고 생각마라. 야, 빨랑빨랑 움직여!”
정신없이 닦달을 받으며 울퉁불퉁한 길을 한참 왕복하자 휴식 명령이 내렸다. 용운은 기진맥진하여 밭둑 위에 아무렇게나 퍼질러 앉았다. 때마침 시원한 한 줄기 바닷바람이 불어와 땀 밴 이마를 훔치고 지나갔다.
눈앞에 펼쳐진 짙푸른 해면에 투명한 햇살이 내려 비치고 있었다. 그것은 물결을 타고 수천 수백 마리의 은빛 고기떼처럼 눈부시게 파닥거리고 있었다.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려보니 바다 멀리 육지의 꼬리인 마산포가 아슴푸레 눈에 들어왔다. 용운은 저도 모르게 눈초리가 붉어졌다.
“아아! 언제쯤 저 바다를 건너 다시 저 땅을 밟게 될까? 과연 살아 생전에 밟게 될 날이 오기나 할 것인가?”
불현듯 멀리 바라보이는 마산포에서 어머니의 모시 적삼과 젖가슴 냄새 같은 게 맡아진다고 느껴졌다. 그렇게 찾아 헤매어도 만날 수 없던 엄마가 왠지 저기 마산포 어귀에 와 있을 것만 같은 느낌이었다.
해방 이후 사회복지 시설로 변신
참된 갱생의 요람? 실제 상황은…
그대로 마산포를 향해 목청껏 불러 보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가슴이 싸하게 시려 오면서 눈물이 핑 돌았다. 용운은 생각했다.
이곳에서 내 편이 돼 줄 사람은 그 누구도 없다는 것을, 나를 지킬 사람은 오직 나 자신뿐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눈물부터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용운은 애써 마산포를 외면하며 힘껏 입술을 깨물었다. 그러나 그건 어디까지나 형식적인 동작일 뿐 솟아나는 눈물을 참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엄마…….”
용운은 입속으로 살며시 불러보았다.
급히 옷소매로 눈물을 찍어내는데 누군가가 슬그머니 다가와 붙어 앉았다. 피에로였다.
“형!”
힘든 곳에서 만난 유일하게 친한 사람이어서 반가웠다. 그는 용운보다 세 살 위였다.
“구름아, 정말 힘들구나.”
그가 낮은 목소리로 중얼거렸다. 그는 언제부턴가 용운을 ‘구름’이라고 불렀다. 용운(龍雲)의 뜻을 풀면 ‘구름을 헤치고 승천하는 용’이라면서 씩 웃었다.
그러면서 “용처럼 잘났다고 나서지 말고 구름 속에 숨어서 때를 기다려야 해.” 하고 도사 같은 표정으로 일러 주었다.
“형, 힘들지?”
“신세 망쳤다. 고아원이라도 감사하며 그냥 있어야 하는 건데, 괜히 채플린 흉내나 내다가…….”
피에로는 후회막급한 듯 한숨을 토해냈다.
“형, 우린 언제까지 이러고 살아야 되는 거야? 언제고 내보내주기는 할까?”
“아무래도 희망이 절벽 같다. 그러나 절벽엔 희망이 있지. 그러니까 탈출을 하다 죽고 그러지.”
“탈출?…… 아니, 무슨 수로 탈출을 해?”
“몰라. 하여간 저쪽 너머에 민간인 마을이 있는데, 거기서 조금만 더 올라가면 공동묘지가 있대더라.”
“공동묘지?”
“응. 꺾인 소망의 잔해가 묻혀 있겠지.”
꺾인 소망
피에로가 멀리 마산포로 눈길을 옮기며 중얼거렸다.
“…….”
“저렇게 빤히 보이는데도 갈 수가 없으니…….”
“형, 저기까지 거리가 얼마나 될까?”
“왜? 헤엄이라도 쳐서 건너게?”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