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BIFF특별취재팀=박대웅 기자] 올해로 열일곱번째를 맞는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10월 4일 그 화려한 막을 올렸다.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인을 사로잡는 영화제로 우뚝 솟을 야망을 품은 BIFF는 올해 75개국에서 전 세계 최초 개봉작 132편을 포함해 304편의 영화가 초청돼 10월 4일부터 13일까지 제2의 도시 부산을 영화의 향연으로 수 놓는다. 특히 올해 BIFF는 아시아지역 신인 연기자를 발굴해 합숙과 해외 연수 등의 교육과정을 거쳐 세계무대에 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아시아연기자아카데미(AAA)', 아시아필름마켓을 통해 출판산업과 영화산업을 연계하는 '북투필름' 등 새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4대 영화제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은 개·폐막작이 모두 아시아 영화라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1996년 탈레반 정권 수립 후 핍박받았던 아프가니스칸 영화 특별전과 북한 최초의 서양과의 합작영화인 북한판 <빌리 엘리어트> 영화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와 냉전시대 동구권을 대표했던 폴란드 영화를 재조명하는 자리 등은 이채롭다. 아시아를 넘어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제17회 부산국제영화제의 이모저모를 <일요시사>가 '5W1H N'을 통해 알아봤다.
?Who
??심사위원 정우성-제작자 김남길-연출가 유지태·윤은혜
회고전 장식한 한국영화 남성상의 상징 '신영균'
영화제를 즐기는 큰재미 중에 하나는 단연 스타들을 만나는 것이다. 이번 BIFF에는 이병헌, 정우성, 장동건, 소지섭, 김남길 등 국내 톱스타는 물론 중화권 스타이자 안성기와 함께 개막식 사회를 맡은 탕웨이를 물론 장쯔이와 장백지 등이 영화팬을 설레이게 한다. 이들 중 주목되는 이는 아시아영화 경쟁 부문 '뉴 커런츠' 부문의 심사위원으로 나선 정우성과 음악영화 '앙상블'이 제작자로 나선 김남길이다. 또 유지태는 첫 장편 <마이 라띠마>로 윤은혜는 첫 단편 <뜨개질>로 전 세계인을 상대로 연출력을 평가 받는다.
하지만 이들보다 가장 이목을 사로잡는 이는 '한국영화 회고전'에 이름을 올린 배우 신영균이다. '신영균, 한국영화의 남성 아이콘:머슴에서 왕까지'라는 주제 아래 열리는 이번 회고전은 한국영화계의 대표적 남성 아이콘 신영균을 재조명한다. 신영균은 1960년작 <과부>로 데뷔해 317번째 작품 <화조>(1978)로 영화배우로서의 길을 마감할 때까지 사극, 멜로, 문예, 전쟁물 등 다양한 장르는 물론이고 머슴에서부터 왕에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이번 영화제에는 신영균의 대표작 <쌀>(1963)과 <빨간마후라>(1964), <십년세도>(1964), <무숙자>(1968) 및 <미워도 다시한번>(1968), <봄봄>(1969) <대원군>(1968), <저 높은 곳을 향하여>(1977) 등 총 8편의 영화가 상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