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정인균 기자 = 싸움을 마다하지 않는 후보가 있다.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선거에 출마한 박용진 의원은 모두가 이재명 의원의 출마를 만류할 때, 오히려 출마를 독려했다. 본인은 자신만만하니 ‘한판 붙어보자’란 생각이었다. 그러자 ‘진짜로’ 이 의원이 등판했다. 둘의 싸움은 이제 초읽기에 들어갔다.
박용진 의원과 강훈식 의원, 이재명 의원이 1차 컷오프를 통과하면서 민주당 당 대표 후보는 세 명으로 압축됐다. 이 의원과의 ‘한판승부’를 벼르고 있던 박 의원에게 컷오프 결과는 낭보였다. 드디어 이 의원과 붙는 데스매치가 성사됐기 때문이다.
그는 경선 시작 전부터 그와의 대결을 준비하고 있었다. 두 번째 당 대표 도전, ‘박용진의 민주당’은 어떤 모습일까. 인터뷰를 통해 미리 그려 보았다. 다음은 박 의원과의 일문일답.
-당 대표에 출마한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저는 민주당을 지지했던 지역에서의 낮았던 득표율, 특히 호남 유권자들의 역대 가장 낮은 투표율과 선거 패배를 보면서 국민들의 깊은 실망감을 어떻게 걷어낼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워크숍에 참여하게 됐는데, 거기서 의원들이 혁신을 얼마나 열망하고, 변하려 노력하는지를 확인했어요. 이들의 열망을 보면서 “내가 그 실망감에 응답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워크숍이 직접적인 계기가 된 거죠.
-민주당이 선거에서 계속 진 이유는 뭐라고 분석하시나요?
▲얼마 전 민주연구원에서 지방선거 패인 분석이 나왔는데요, 저는 거기에 전반적으로 동의하는 편입니다. 한동훈 인사청문회에서의 무능, 박지현 혁신안 수용 거부, 검수완박과 꼼수 탈당 사태 등은 상황 논리에 급급한 소탐대실의 연속이었습니다.
조국 사태와 위성정당 창당 등 많은 문제가 민주당의 내로남불을 보여줬다고도 생각해요. 결국 거기에 우리 지지층이 환멸을 느껴 패배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혁신하겠다는 것인지?
▲약속·책임·청년·국제·사회연대 등 모두 다섯 가지의 쇄신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민주당이 개혁해야 할 과제는 산재해있습니다. 우선 약속을 지키는 모습을 통해 내로남불하고 소탐대실하지 않는 약속의 민주당을 만들 것입니다.
‘박용진의 민주당’은 국민과 당원을 향한 책임을 확실하게 지는 책임정당, 청년을 토사구팽하지 않고 그들에게 더 많은 권한을 주는 청년정당이 될 것입니다. 아울러 국민의힘 하고만 싸우는 게 아니라 미국 민주당, 독일 사민당, 일본 자민당 등 해외 여당들과 경쟁할 수 있는 그런 국제 감각을 갖춘 리더 정당으로 가야 합니다.
약속, 책임, 청년, 국제, 사회연대…5개 쇄신안
“이, 출마 반대는 자유억압…깨끗한 승부 기대”
유류세 문제나 물가 상승 대책 등을 봐도 해외경제가 돌아가는 걸 모르면 제대로 된 대책이 나올 수 없습니다. 결국 국제 감각은 유능한 민생정당의 길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마지막으로는 일하는 사람들의 희망으로서 국민과 함께하는 사회연대정당이 돼야 합니다.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결을 위해 노동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많은 국민들을 위해 힘쓰는 민주당, 그래서 중산층으로 가는 사다리를 복원하는 정당이 돼야 합니다.
-‘내 마음 같은 정당’이란 슬로건을 내세웠습니다.
▲민주당이 그동안 국민의 마음과 괴리된 의사 결정을 계속 해온 건 아닌가 생각합니다. 검찰개혁의 대의, 온 국민이 다 인정해왔던 게 불과 2~3년 전입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임명 반대 여론과 검찰개혁 찬성 여론이 똑같이 70%였는데, 어쩌다 지방선거 패인 1위로 30% 넘는 국민이 검수완박을 꼽는 지경에 이르렀을까요?
이 부분을 크게 반성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려면 결국 당직과 공직 선출 과정에서 민심 50%를 반영시켜야 합니다. ‘내 마음’을 전하려면 투표권 밖에 없으니까요. 그래서 줄곧 여론조사 도입을 주장해왔던 것입니다.
-이재명 의원의 출마 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출마는 개인의 정치적 자유에 속하는 일입니다. 개인의 출마 여부 자체에 대해 불가하다고 하면 그건 자유에 대한 억입이죠. 전 오히려 이 의원이 이왕 출마하신다면 어서 나오셔서 민주당의 혁신과 쇄신에 대해 끝장토론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비명계 단일화는 이루어 질 수 있을까요?
▲컷오프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뤄지지 않을까요? 그리고 단일화가 당을 어떻게 바꾸겠다는 가치에 기반한 게 아니라 이재명 반대를 위한 단일화라고 한다면, 저는 반대합니다. 그것이 설령 가능하다 한들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정치 공학이 아니라 민주당의 쇄신만 생각하고 싶습니다.
-여당의 지난 2년과 달리, 야당의 당 대표는 앞으로 달라질까요?
▲윤석열과 싸우는 야당, 상대방이 실수하기만 기다리는 반사이익 정당이 아니라 매주, 격주로 민주연구원의 민생경제 관련 연구보고서나 <이코노미스트> <뉴욕타임스> 경제 기사 번역 자료를 보고 민생경제를 책임지는 논의를 하는 정당을 만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