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A뉴스] 베이징 동계올림픽 109개 소종목 중에서 가장 혼동되는 종목이 있다면 스노보드 빅에어, 프리스타일 스키 빅에어, 스키점프 라지힐, 노르딕 복합 라지힐일 것이다. 이들 종목은 어떻게 구분할까.
일반 대중이 혼동하기 쉬운 스노보드 빅에어, 프리스타일 스키빅에어, 스키점프 라지힐, 노르딕 복합 라지힐 등 4개 종목은 경기 모습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스노보드 빅에어와 프리스타일 스키 빅에어에서 겨루는 것은 동작이다. 선수들은 출발지점에 선 다음 도약지점에서 설원 위로 날아오르고, 공중회전과 보드 잡기 등의 동작을 선보인다.
구분법
스키점프 라지힐과 노르딕 복합 라지힐에서 겨루는 것은 거리와 공중자세다. 선수들은 출발 게이트에 앉아 출발 준비를 하며 출발 후에는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활용해 공중으로 점프해 V형 자세를 유지하다 착지한다.
스노보드 빅에어와 프리스타일 스키 빅에어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 베이징시 스징산구에 위치한 서우강 스키점프대에서 열린다. 스키점프와 노르딕 복합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 장자커우시 충리구에 위치한 국가 스키점프센터에서 열린다.
노르딕 복합은 동계올림픽에서 남자 종목만 있는데, 점프 부분은 스키점프와 완전히 동일하고, 이 밖에도 크로스컨트리 스키 경기가 추가된다.
109개 소종목 중 가장 혼동되는 종목은?
중국이 신경 쓰는 ‘친환경 올림픽’ 왜?
그렇다면 선수들이 비경기 상태일 때는 어떻게 구분할까.
스노보드 빅에어 선수들은 보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구분하기 쉽다. 다른 3종목의 경우는 모두 2개의 스키판이 있는데, 스키판 길이의 차이가 뚜렷하다. 프리스타일 스키 빅에어 선수들의 스키판은 짧고 대다수 손에 스키폴을 잡고 있다.
스키점프와 노르딕 복합의 경우는 스키판이 매우 길어 일반적으로 키×1.45로, 2.3m에서 2.7m 정도다.
경기장
장자커우 경기 구역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설상스포츠 주경기 지역이다. 친환경 올림픽 개최 조건에 맞춰 장자커우 경기 구역은 수자원 수집, 처리, 재생이 가능한 ‘스펀지’ 경기 구역으로 조성됐다.
경기 구역 내 4개의 경기장은 모두 빗물, 지표수, 설수 등을 한 곳에 모으는 시스템이 구축돼있다. 여름철에는 친환경 관개, 겨울철에는 제설 등 이중 이용 모드로 사용한다.
장자커우 윈딩 스키공원에 있는 28만m³의 저수지는 설수, 빗물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이 물은 여름철에는 친환경 관개로 겨울에는 제설에 사용된다. 또 친환경 제설 설비 도입으로 기존보다 물을 20% 절약할 수 있다.
구양수 경기장은 다양한 빗물 저수 방법을 도입해 물 낭비를 최소화했다. 또 빗물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경기장 바닥에 마이크로미터급 틈새의 모래 벽돌과 연석, 여과 배수구를 깔았다.
스키장에는 설수 이용 설비를 건설했다. 슬로프에 지면 배수구를 설치했고 측면과 하단에 도랑을 설치했다. 지하에는 벌집 모양의 규사 여과 시스템을 도입해 빗물과 계곡물이 저장된 후 벌집 모양의 여과 시스템을 통해 정화돼 친환경 관개, 제설, 화장실 물 등으로 재사용된다.
마스코트
마스코트는 동계올림픽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다. 1968년 그르노블 동계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마스코트를 사용한 이후, 매 동계올림픽에서 마스코트는 많은 이의 관심을 받고 있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 소년, 소녀 한 쌍이 마스코트로 등장했다. 젊은이들의 동계올림픽에 대한 관심과 동경을 담은 것이다.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은 역대 최초로 사람을 마스코트로 사용했다.
소년의 이름은 하콘(Haakon), 소녀는 크리스틴(Kristin)으로 이 마스코트는 노르웨이 동화에서 중세 시대 불안정한 노르웨이의 평화를 도운 왕자와 공주다.
녹색전력
‘녹색올림픽’은 줄곧 베이징 동계올림픽의 중요한 이념 중 하나다. 동계올림픽 경기장마다 사용하는 ‘녹색전기’가 바로 이 이념의 표출이다. 매 경기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 3개 대형 경기 구역 26개 경기장은 모두 녹색전력을 사용한다. 이는 올림픽 역사상 처음으로 모든 경기장에 100% 녹색전력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경기장에서 사용하는 ‘녹색전기’는 장베이 재생에너지 유연직류전력망 시험시범사업을 통한 에너지원이다. 장베이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자원이 매우 풍부해 해당 사업은 매년 베이징에 녹색전력 약 140억kW/h를 전송, 베이징시에 약 1/10에 해당하는 전력을 제공한다.
이 중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베이징과 옌칭 두 개 경기 구역 경기장 전력 수요를 직접적으로 충당한다. 장자커우 경기 구역의 경우는 현지 녹색전력으로 충당된다.
장베이 유연직류전력망사업의 총투자액은 125억위안(2조1284억원)이고, 장베이‧캉바오‧펑닝‧ 베이징 4곳에 전력변환소를 설치해 전압 ±500kV, 전력 전송 450만kW, 전력 수송라인 길이 666㎞로 규정했다.
장베이 신에너지기지, 펑닝 저장에너지 전력원과 베이징 적재센터 간 상호연계다. 공급 에너지 중 청정에너지 비중을 대폭 높여 동계올림픽에 든든하고 충분한 녹색 에너지원을 보장한다.
추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왜 중국에서 가장 추운 동북쪽에 있는 헤이룽장성이나 지린성이 아닌 베이징으로 선정한 걸까?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무조건 춥다고 좋은 건 아니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선수들의 실력 발휘가 어려울 뿐더러 동상 등 부상을 쉽게 입기 때문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동계올림픽 개최지의 최저 온도를 영하 17도 이상으로 규정했다. 헤이룽장성 등 지역 스키장의 온도는 영하 20도 이하다. 국제올림픽위원회의 규정에 맞지 않는 것이다. 눈보라가 자주 발생하거나 어는점이 낮아 얼음이 쉽게 만들어지는 환경은 선수들의 야외 경기에도 적합하지 않다.
눈이 많아도 안 되는 이유는?
경기 하기 딱 좋은 온도는?
베이징과 장자커우에서 2022 동계올림픽을 연합 유치하는 것도 설상 운동 경기장의 선정 원칙에 따른 것이다. 대부분의 설상 운동이 개최되는 장자커우 충리현의 연간 강설량은 63.5cm다. 스키를 탈 수 있는 기간은 100일로 현지 겨울 평균온도는 3.3℃며 눈은 충분히 있지만 상당히 춥지 않은 곳이다.
동계올림픽 경기의 핵심 기상 지표는 2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2월 평균 온도가 0도 이하여야 하며 두 번째는 2월 강설량이 30cm 이상이다.
온도로 볼 때 영하 12도에서 2도 사이가 가장 적절하다. 온도가 너무 높으면 눈이 녹아 마찰력이 커진다. 반대로 온도가 너무 낮으면 눈이 단단해져 선수들이 실책할 확률이 높아지며 부상의 염려도 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