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21세기로 진입하기 직전인 1990년대, 한국 국민들은 두 번의 큰 붕괴 사건을 경험한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와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이다.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온 국민이 충격에 빠졌다. 살아남은 사람보다 돌아오지 못한 사람이 더 많다. 애꿎은 목숨이 날아갔다. 살아남은 자들 역시 당시의 트라우마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 30년 가까이 지났음에도, 그 트라우마는 어딘가에 남아있을지도 모른다.
건물이 무너진다는 게 얼마나 처참한 현실인지, 큰 충격으로 남는지 기억이 선명하다. 그런 가운데 만약 우리가 거주하는 빌라 한 동이 땅속으로 꺼져버린다면 어떨까? 그 안에 있던 사람들 혹은 주변에 있던 사람들은 어떻게 될까.
이런 장면이 미디어를 통해 공개된다면 사회는 급격하게 혼란에 빠질 테다. 상상만으로도 매우 끔찍하다.
어느 날 갑자기 빌라 한 동이 싱크홀로 인해 땅속으로 빠져버린다는 설정의 영화 <싱크홀>은 우리가 경험한 트라우마와는 다른 길을 택한다. 과학적인 현실성을 과감히 배제한다. 누군가가 겪는다면 굉장히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는 최악의 재난을 만화처럼 풀어나간다.
뻔한 신파도 가볍게 걷어버린다. 재난영화라 하면 떠오르는 클리셰를 약간은 비껴간다. 만화처럼 명랑하게 고난을 풀어낸다.
지방에서 무일푼으로 올라온 회사원 동원(김성균 분)은 아끼고 모은 돈에 수억원의 대출을 끼고 서울에 집을 마련했다. 이제야 번듯한 내 집이 하나 생겼다는 마음에 하루 하루가 행복하다. 출퇴근길은 짧아져 자기계발도 가능하다.
동네 사람들도 전반적으로 나쁘지 않다. 헬스장 매니저이자 사진사이자, 대리운전을 겸하는 만수(차승원 분)만 빼면 말이다.
새집은 좋긴 한데 어딘가 이상하다. 아들이 구슬을 굴렸는데 한쪽으로 스르륵 굴러간다. 집 자체가 수평이 맞지 않는 것 같다. 창문은 괜히 뻑뻑한 듯하다. 아침에 일어나니 땅은 갈라져 있고, 1층 유리로 된 자동문은 손만 대도 박살이 난다.
‘별일 아니겠거니’라며 넘기는 차에 동원은 김대리(이광수 분)와 인턴 직원 은주(김혜준 분)를 비롯해 팀원들을 불러모아 집들이를 한다. 속에 있는 얘기 없는 얘기를 모두 꺼내놓고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술에 취한 은주와 김대리는 동원의 집에서 잠을 청한다.
다음 날 아침 술에 취해 정신이 없다. 아들과 아내(권소현 분)는 마트에 나갔다. 동원과 김대리, 은주는 깊은 잠에 빠졌다. 만수는 단수 때문에 정신이 없다. 각자 집에 들러 단수 상황을 확인한다. 그러던 중 지진이 난 것처럼 집 전체가 흔들린다. 놀랄 틈도 없이 땅이 꺼진다. 빌라 한 동이 완전히 땅속으로 파묻혔다.
잠에 취한 동원과 은주, 친구와 만나러 가는 길에 가방을 두고와 택시에 있던 김대리, 마트에 돌아오는 길에 먼저 집에 들어온 동원의 아들, 옥상에 있던 만수와 아빠 몰래 담배를 피던 만수 아들 승태(남다름 분)가 땅속에 갇혔다. 이들은 과연 구조될 수 있을까.
영화 <7광구>와 <타워>를 연출한 김지훈 감독의 신작이다. 앞선 영화들이 재난에 집중했다면 <싱크홀>은 드라마에 초점을 맞춘다. 재난이 발생하기 전까지 비교적 많은 분량을 인물의 캐릭터 구축과 관계도에 집중한다.
특히 동원이 가는 길마다 ‘짠’하고 등장하는 만수를 통해 현실성 대신 판타지로 접근하겠다는 의도를 피력한다.
실제라면 100m 이상 떨어진 건물이 폭삭 주저앉으며 대부분 인물이 목숨을 잃었겠지만, 인물들은 의외로 안전하게 살아남는다. 비록 살아남았다 하더라도 산소 부족으로 금방 죽었을텐데, 그런 위기는 없다. 과학적 설명은 포기한다.
애초에 만화스러운 작품을 만들겠다는 의지다.
현실성을 배제한 덕에 명랑한 분위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재난 상황에서 각각의 인물이 보여주는 코믹스러운 서사가 먹혀든다. 재난 상황이지만 긴박감보다는 의외의 유머로 승부를 건다. 코믹 연기에서는 뛰어난 감각을 보인 차승원과 SBS <런닝맨>을 통해 육각형 스펙을 가진 예능인의 면모를 보인 이광수가 힘을 보탠다.
신예 김혜준도 코믹 연기에서 나름의 포인트가 있으며, 남다름도 준수하다. 감정 소모가 많았던 영이 역의 권소현도 분투한다. 이야기의 중심인 동원 역의 김성균은 보편적인 서민으로 중심을 잡는다. 이 덕분에 다른 캐릭터들의 매력이 배가된다. 배우들의 앙상블이 빈 곳을 메운다. 또 고급스러운 시츄에이션 유머도 적절히 녹아 있다.
악재에 악재가 거듭되는 상황에서도 삶의 의지를 놓지 않는 인물들은 위기를 극복해 나간다. 일부 말도 안 되는 상황이 있기도 하지만, 오락영화로서 허용되는 범주 안에 있다. 재난영화에 자연스럽게 뒤따르는 부성애와 모성애, 재난 속에서 꽃 피운 사랑 등 뻔한 설정이 있기는 하나 거부감이 들 정도는 아니다.
보편적인 논리나 예술성을 기준으로 접근하면 <싱크홀>은 좋지 않은 영화가 될 테다. 애초 기획단계부터 예술적인 접근을 하지 않았던 탓이다. 대신 가족 오락영화라는 기준을 두면 꽤 깔끔하고 재밌는 작품이다. 여러 장면에서 웃음이 터진다. 덕분에 어린 아이들과 함께 보기에는 더할 나위 없다. 에필로그는 좀 억지스럽긴 하나 쾌감이 있는 장면으로 마무리해 즐겁게 영화관을 빠져나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