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이 정상화의 개인전 ‘정상화’전을 개최했다. 정상화 작가는 한국 단색조 추상을 대표하는 화가다. 이번 전시는 한국 추상미술의 역사에 있어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일궈온 그의 화업을 총망라하고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상화는 회화를 근간으로 판화, 드로잉, 데콜라주, 프로타주 등 다양한 기법을 실험하며 평면작업의 가능성을 탐색해왔다. 1990년대 이후에는 특유의 수행적 방법론을 창안해 독보적인 단색조 작품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 현대미술의 토대를 확장하는 시도로써 그의 작품이 지닌 미술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동시대적 맥락을 살펴본다.
구상 회화서…
정상화는 1932년 경북 영덕 출생으로 1953년 서울대 회화과에 입학했다. 1957년 대학 졸업 후 ‘한국현대작가초대전’ ‘악뛰엘 그룹전’ ‘세계문화자유회의초대전’ 등 다수의 정기전과 그룹전에 참여했다. 제4회 파리비엔날레, 제9회 상파울루비엔날레 등 국제전에도 출품했다.
1967년 프랑스 파리로 갔다가 1년 후 귀국한 정상화는 1969년부터 1977년까지 일본 고베에 거주하며 작품 활동에 몰두했다. 이후 1977년부터 1992년까지 다시 프랑스로 건너갔다. 한국에 영구 귀국한 시기는 1992년 11월.
1996년 경기도 여주에 작업실을 마련한 후 줄곧 한국에 머무르고 있다.
학창시절 정성화는 대상을 재현하는 구상 회화를 주로 그렸다. 이후 1950년대 중후반이 지나면서 앵포르멜 경향의 표현주의적 추상을 실험했다. 일본 고베로 건너갈 무렵부터는 단색조 추상으로의 전환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1970~1980년대 고베와 파리에서의 작업 활동을 통해 단색조의 격자형 화면 구조가 확립됐다. 정상화는 다양한 기법과 매체 실험을 통해 종국에는 캔버스 위에 물감을 ‘뜯어내고 메우기’를 바탕으로 한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방법론을 발견해냈다.
독창적인 작품 세계
현대미술 토대 확장
격자 구조 화면은 치밀하게 계획된 정신적 공력의 결과인 동시에 고된 육체적 수고의 결정체다. 먼저 캔버스 윗면 전체에 붓을 사용해 고령토 약 3~5㎜를 덮어 바른다. 이 과정을 1주일 이상 작업한 뒤 캔버스 뒷면에 미리 그은 수직, 수평의 실선 또는 대각선을 따라 주름을 잡듯이 접는다.
이때 화면의 균열이 자연스럽게 자리를 잡는다. 정상화는 조각이나 공예 작업에서 볼 법한 도구와 재료, 그리고 행위를 통해 자신의 화면을 직조해나갔다. 꺾어 접거나 칼로 그어 만든 균열은 ‘뜯어내고 메우는’ 독특한 행위를 통해 깊이를 더하게 된다.
작은 사각형들에서 고령토를 떼어내고 그 자리를 아크릴 물감으로 메우기를 수차례 반복함으로써 화면은 서로 다른 운율을 가진 격자들의 합이 된다. 단조롭고 수고스러운 반복을 축적하는 과정을 통해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번 전시 ‘정상화’전에서는 그가 머물며 작업했던 여러 공간과 시간을 잇고 연대기적 흐름을 큰 축으로 해 독특한 조형 체계가 정립된 과정을 추적한다. 동시에 종이와 프로타주 작업 등 국내에 많이 소개되지 않은 작품들과 미발표작을 통해 정상화의 조형 연구와 매체 실험을 조명한다.
전시는 ‘추상실험’ ‘단색조 추상으로의 전환’ ‘격자화의 완성’ ‘모노크롬을 넘어서’ 등 4개의 주제로 꾸며졌다. 여기에 특별 주제 공간인 ‘종이와 프로타주’ 그리고 작가의 작업 세계를 보다 다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영상자료와 기록물을 비롯해 초기 종이 작업을 소개하는 아카이브 공간이 더해졌다.
‘추상실험’은 1953년부터 1968년까지 학업과 작품 활동이 이어지는 시기의 작품으로 채워졌다. 서울에서 활동하며 재현적 구상 회화에서 벗어나 전후 1세대 청년작가로서 시대적 상실과 불안을 반영한 표현주의적 추상 작품 ‘작품 64-7’ ‘작품 65-B’ 등을 선보인다.
일본→프랑스→한국
시각과 촉각 일깨워
‘단색조 추상으로의 전환’에서는 정상화가 일본 고베에서 활동한 1969년부터 1977년까지의 작품을 볼 수 있다. 표현주의적 추상에서 벗어나 단색조 추상작업을 전개하기 시작했던 시기로 ‘작품 G-3’ ‘무제 74-F6-B’ 등이 소개된다.
‘종이와 프로타주’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캔버스보다 비교적 다루기 쉬웠던 종이를 이용해 재료와 기법을 탐구하기 시작했던 시기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덜 알려진 당시의 종이 작업과 프로타주 작업 등을 선보인다.
‘격자화의 완성’은 1977년부터 1992년까지 즉 일본 고베 시기 이후 이어진 파리 시기 작품들로 꾸며졌다. 이 시기 그는 고베에서 발견한 ‘뜯어내고 메우기’ 방법을 통해 단색조 추상의 완성도를 높이고 다양한 변주를 드러냈다.
‘모노크롬을 넘어서’는 1993년부터 현재까지의 작품으로 구성됐다. ‘무제 95-9-10’ ‘무제 07-09-15’ 등의 작품을 통해 정상화의 단색조 추상의 정수, 균열과 지층의 깊이를 통한 예술적 성취를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관람객들은 시각뿐만 아니라 촉각적 감각이 일깨워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추상 회화로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정상화의 60여년 화업을 총망라한 이번 전시는 한국 추상미술의 위상을 높이는 데기여한 작가의 진면목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라며 “한국 미술사의 맥락에서 작가의 독보적인 작품세계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9월26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정상화 주요 개인전]
▲레비 고비 갤러리(2020)
▲버그루언 갤러리(2018)
▲도미니크 레비 갤러리(2016)
▲그린 나프탈리 갤러리(2016)
▲갤러리현대(2014)
▲우손 갤러리(2013)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