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현재 우리 정치판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물 중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두 사람이 있다. 부산시장 보궐선거에 민주당 공천으로 출마했다가 낙선한 김영춘 전 해양수산부 장관과 최근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된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다.
두 사람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두 사람 모두 필자가 정치판에 몸담고 있을 때 비록 길지 않은 시간이었지만 그들과 만남을 가졌고, 그들로부터 기존 인물들과는 다른 신선한 느낌을 받았다.
김영춘 전 장관은 필자가 한나라당(국민의힘 전신) 연수부장 재직 시 연수원 부원장의 소임을, 또 김부겸 전 장관은 필자가 한나라당 대변인실 운영부장으로 근무하던 당시 당의 부대변인직을 맡았었던 데에 따른다.
이 부분에서 두 사람에게 쏟아질지도 모를 오해를 막자는 차원에서 간략한 설명 곁들이자. 일반인들은 그 두 사람이 잠시지만 한나라당에 몸을 담았던 사실 그리고 그를 이유로 오해할까 봐서다.
시간은 1997년 실시되었던 제 15대 대통령 선거 당시로 돌아간다.
당시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승리한 이회창과 김영삼 전 대통령의 관계가 악화일로를 겪고 있었고, 급기야 경선에서 패배한 이인제가 경선에 불복하고 김 전 대통령 측의 지원을 받아 탈당해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고 대선에 참여하게 된다.
이에 직면하자 이회창은 곤경을 타개하기 위해 선거를 한 달여 앞두고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겸 총재인 조순과 합당한다. 아울러 신한국당과 민주당이 합당하면서 당명은 한나라당으로 대통령 후보는 이회창 그리고 당 총재는 조순이 맡는 데 합의한다.
앞서 언급한 두 사람은 당 대 당 통합으로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한나라당에 적을 두게 되고, 그렇다 보니 한나라당 중앙사무처 당직자였던 필자와 자연스럽게 만남을 가졌다.
필자는 그들로부터 기득권을 지키고자 노심초사하던 한나라당의 이미지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직감을 받았다. 아울러 시간상 문제지 언제고 한나라당을 뛰쳐나갈 것으로 예견했다.
필자가 정당판을 떠난 후인 2003년 두 사람은 통합민주당 시절 동고동락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당선으로 자신들의 뿌리인 열린우리당 창당에 관여하며 한나라당을 탈당하기에 이른다. 또 노 전 대통령의 전철을 밟기라도 한 듯 비교적 당선이 수월한 지역구를 뒤로하고 험지로 향한다.
각설하고,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김부겸 전 장관을 국무총리에 지명했다. 이는 채 1년도 남지 않은 차기 대선을 염두에 둔 포석으로 보이는데, 필자의 경험으로 살필 때 상당히 의외의 선택으로 비쳐진다.
문 대통령이 그를 총리에 지명한 이유는 두 가지 중 하나다. 차기 대선 후보 중 한 사람으로 염두에 두었거나 차기 대선에서 TK(대구·경북)의 표심에 영향을 미치리라는 판단으로 그리 결정한 듯 보인다.
필자는 지난주에 차기 대선 역시 지난 대선들처럼 지역주의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아울러 민주당이 선거를 유리하게 끌어가려면 PK(부산·경남) 출신의 영향력 있는 인물을 후보로 내세워야 한다고 강변했다.
그런데 문 대통령이 TK의 정서를 실기한 듯 보인다. 이는 김 전 장관이 총선에서 일구어낸 결과를 감안한 듯 보이는데, 대선과 관련한 TK 정서는 완전히 별개로 작용한다.
PK는 호남을 기반으로 하는 민주당에 유연하지만 권력에 관해 성골 의식으로 무장한 TK는 상당히 배타적으로 한 인물이 아닌 당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