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선거기간에 길을 걷다 보면 어깨를 들썩이게 하는 유행가가 들린다. 흥겨운 멜로디를 따라 부르다 보면 기존 가사와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다. 교묘하게 바꾼 노랫말에는 후보자 이름이나 번호, 그리고 메시지 등이 들어가 있다.
‘길보드차트’가 사라졌다. 길보드차트란 1980~1990년대 길거리 리어카에서 흘러나오던 노래를 의미한다. 요즘은 선거기간에만 들려오는 새로운 ‘선거송차트’가 등장했다. 서울시장 후보들은 지난달 25일부터 선거 유세가 한창이다. 후보 지지자들은 서울 시내 인구밀도가 높은 곳을 찾아 선거 유세차량에서 가벼운 율동을 노래에 맞춰 하기도 한다.
시대의 유행가
이처럼 선거 유세에서 빠질 수 없는 게 바로 선거송이다. 한 시대의 유행가를 리메이크한 선거송은 투표권이 있는 시민들에게 후보자의 이미지를 만드는 수단이다. 유권자들은 스피커 볼륨을 끝까지 높인 선거송을 원치 않아도 들어야 한다. 리듬과 멜로디가 더해지고 중독성까지 가미된다면 그때부터는 뇌리에서 선거송이 맴돈다.
당선을 꿈꾸는 이들이 선거송에 공을 들이는 이유다.
유권자들을 한 장소에 모이게 한 다음, 후보의 공약을 전달하고 얼굴을 알려야 하는데 분위기가 조용하면 유세도 별반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 선거송은 사람들의 마음을 신나게 만들어 교감을 나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작권이 있는 곡을 선거 유세에 활용하기 위해선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한음저협)에 1곡당 50만원의 복제 사용료를 내야 하고, 작곡가와 작사가에겐 10만~300만원의 인격권료를 지불해야 한다.
여야 거대 양당 서울시장 후보들은 어떤 노래를 선거송으로 사용하고 있을까.
단순한 멜로디의 트로트부터 감미로운 발라드까지 다양한 노래를 선택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 측은 흥겨운 리듬의 박군의 ‘한잔해’ 영탁의 ‘찐이야’, 장윤정의 ‘어부바’, 자자의 ‘버스안에서’ 외에도 이적의 ‘걱정말아요 그대’ 유리상자의 ‘아름다운 세상’ 등 잔잔한 선거송을 사용하고 있다. 가사에는 대표 공약인 ‘21분 도시’와 ‘돌봄’ 등이 주로 담겼다.
경쟁상대인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캠프는 유산슬의 ‘사랑의 재개발’ 임영웅의 ‘계단 말고 엘리베이터’ 등 인지도가 높은 트로트를 선거송으로 채택했다. 유명 경연 프로그램에 소개되며 50대 이상 유권자뿐 아니라 2030세대에게도 익숙한 노래들이다. 이외에 노라조의 ‘사이다’ 일민의 ‘한잔 더’ 남진의 ‘파트너’ 등을 사용하고 있다.
지난해 4·15 총선에도 수많은 선거송이 들렸다. 트로트 열풍으로 인해 유산슬의 ‘사랑의 재개발’, 영탁의 ‘찐이야’ 등이 사용됐다. 트로트를 젊은 세대에게까지 알린 주역들의 노래이자 쉽게 귀에 감기는 가사가 유세하기에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역대 선거송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 곡은 트로트 가수 박상철이 2005년 발표한 ‘무조건’이다. ‘무조건 무조건이야, 내가 필요할 때 나를 불러줘, 언제든지 달려갈게’라는 노래 가사는 정치인의 마음을 대변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장윤정의 ‘어머나’, 박현빈의 ‘샤방샤방’, 김연자의 ‘아모르파티’ 등 다른 트로트 곡도 전통적으로 인기가 많은 선거송이다. 트로트가 중장년층에게 쉽게 호소할 수 있어 선거송의 주요 지분을 차지해왔지만, 항상 대세였던 것은 아니다.
10만~300만원 천차만별 사용료
반복적인 가사·쉬운 멜로디 인기
2016년 총선에서는 당시 신드롬을 일으켰던 엠넷의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 시즌1의 주제곡 ‘픽 미(Pick Me)’가 인기를 누렸다. “픽미 픽미 픽미 업” 등의 가사가 입에 척척 붙는다.
이런 점을 볼 때 선거송의 주요 특징은 중독성이다. 하지만 아무 의미 없이 대중의 귀에만 꽂힌다고 좋은 선거송은 아니다. 후보가 내세우고자 하는 메시지와 부합할 때 큰 힘을 발휘한다.
대표적인 예가 1997년 제15대 대선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을 후보로 내세웠던 새정치국민회가 사용한 그룹 DJ DOC의 ‘DOC와 춤을’이다. ‘DJ와 함께 춤을’이라는 제목으로 노랫말도 개사했는데, 당시 젊은이들이 노령이던 김 전 대통령에게 친근감을 느끼게 만든 공이 컸다. 김 전 대통령은 이 곡의 포인트인 관광버스춤을 춰 화제가 됐다.
선거송은 아니었지만 지난 2002년 대선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이 TV 광고에서 직접 기타를 연주하며 부른 ‘상록수’는 두고두고 회자된다.
선거송을 만들기 위해서는 총선의 경우, 정당은 1곡당 200만원을, 국회의원 후보자는 1곡당 50만원을 한음저협에 지불해야 한다. 여기에 부르는 대로 가격이 매겨지는 ‘저작인격권료’, 음원 제작비 등을 합치면 후보자가 총선에서 선거송을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200만원 안팎이다.
특히 선거송에서 중요한 것은 저작인격권 승낙이다. 노랫말 등을 바꾸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후보자가 원한다고 모든 곡을 선거송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유재석의 트로트 가수 부캐릭터인 유산슬의 ‘사랑의 재개발’은 작곡가 조영수와 작사가 김이나가 허락해 사용했다. 하지만 유산슬의 또 다른 곡인 ‘합정역 5번 출구’는 작사에 참여한 유재석이 정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꺼려 선거송으로 사용하지 못했다.
과거 가요계를 강타한 원더걸스의 ‘텔미’를 선거송으로 쓰기 위해 각 정당이 치열한 쟁탈전을 벌였으나 작곡가인 가수 박진영이 승낙을 하지 않은 적도 있다. 시대가 흐르면서 선거송의 의미도 많이 바뀌었다. 과거 선거송이 대중의 관심을 끌어 모으는 수단으로 사용됐다면 이제는 조금 더 진화해 국민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단순하게 반복되는 가사와 흥겨운 멜로디만으로 깊은 인상을 주기가 어려워진 것. 후보자들이 강조하는 메시지를 적재적소에 넣고 주입식이 아닌 유권자 모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식으로 선거유세를 펼치는 게 효과적이다.
소음신고?
하지만 선거송의 부작용도 적지 않다. 선거송으로 인한 주민들의 소음신고 건수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선거송 제작비 상승으로 인한 선거비용의 증가는 결국 국민 혈세 낭비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