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JTBC <싱어게인>은 신개념 리부팅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불린다. 앨범을 낸 적 있는 무명 가수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제 ‘무명가수전’이라는 말이 꼭 들어맞는다. 대중 앞에 나온 적 없는 ‘재야의 고수’ ‘찐 무명’ 조로 편성된 실력자들 또는 ‘슈가맨’ ‘OST’ ‘오디션 최강자’조에 소속한 가수들도 나온다. 대부분 노래에 묻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뮤지션이다. 이제 겨우 5화에 불과한데, 화제성은 단연 1위이며, 시청률은 2배로 뛰었다. 대중이 <싱어게인>에 열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TV조선 <미스트롯> 이후 오디션 시장은 트로트가 잠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상파와 종합편성 채널 모두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을 방영 중이다. 깊은 한이나 과장된 표현을 앞세운 트로트는 10~30대까지 아우르는 장르는 아니다. 50대 이상으로부터 열렬한 사랑을 받는 트로트이기에 방송은 지속하고 있지만, 비교적 어린 시청자층에 있어 피로감을 주는 플랫폼이기도 하다.
지적이 없다
그런 가운데 가요를 앞세운 오디션 JTBC <싱어게인>이 방영 중이다. 기존 오디션의 공식을 무참히 깬 이 프로그램은 단 5회 만에 시청률은 7.5%(닐슨코리아 제공)를 기록했다. 1회 3.1%에 비해 2배 이상 올랐으며, 온라인 화제성은 4주째 1위다.
오디션은 무명의 스타를 발굴하는 포맷으로 무대에 오르는 누구나가 이름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며, 제작진 역시 스타 발굴에 총력을 다한다.
‘대중이 오디션을 지겨워하는 이유가 비슷한 포맷 때문이지 않을까’라는 질문에서 출발한 <싱어게인> 제작진은 과감하게 출연자의 이름을 지웠다. 그리고 번호 시스템을 도입했다. 출연자들은 자신을 번호로 말하며, 심사위원도 아는 출연자가 나와도 이름을 말하지 않는다.
안 가르쳐 준다고 모르고 넘어가지 않는 대중은 해당 출연자를 찾아냈고, 금세 일목요연하게 정리돼 퍼지고 있다. 출연자들은 ‘싱어게인 OO호’으로 포털사이트에 알려졌지만, 그들의 이름은 오히려 더 각인됐다.
“이름을 감추면 오히려 더 궁금해하지 않을까 생각했다”는 제작진의 예상은 적중했고, ‘무명가수’들의 무대를 만들어 그들을 널리 알리겠다는 의도는 완벽히 구현됐다.
오디션의 주된 논란은 가혹한 경쟁시스템에서 파생됐다. M.net <슈퍼스타> 시리즈부터 출발해 <프로듀스 101>에 이르기까지, 오디션 내 경쟁은 치열하다 못해 지독해졌다. 출연자들은 경쟁의 압박감에 대한 괴로움을 토로했고, 시청자들도 버거운 경쟁을 마주하기 힘겨워했다.
이를 안다는 듯 <싱어게인>은 경쟁을 간소화했다. 이미 앨범을 내고 음반 활동을 꽤 했거나, 오디션에서 최상위까지 올라간 적 있는 프로들이 나오다 보니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한다.
경쟁자들을 이겨서 더 높은 곳에 올라가겠다는 욕심보다 나의 음악적 색깔이 드러나는 무대를 최대한 펼치고 내려오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10‧29호 조를 이긴 30호가 둘 중 한 명은 떨어질 거라는 아픔 때문에 눈물을 흘리는 장면, 김현철의 ‘달의 몰락’을 부르다 실수를 한 54호를 격려하는 데 힘을 쏟는 심사위원진과 동료들의 모습은 <싱어게인>이 왜 ‘착한 오디션’으로 불리는지 한눈에 알게 해주는 대목이다.
진화한 오디션 <싱어게인> 관전포인트
불필요한 자극은 거세…음악에만 집중
이전 오디션의 경우 신인을 발굴하기 때문에 음정과 리듬감, 소리를 내는 법 등 기본적인 가창법을 가르치는 장면이 자주 나왔다. 감성이나 음색은 출중하지만, 가수로서의 기본이 갖춰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를 지적하는 심사위원들이 종종 있었다.
출연자의 성장을 위해 애를 써가며 던진 피드백이지만, 보는 사람들에겐 ‘잘난 척’으로 오해될 수 있는 장면이기도 했다.
심사위원진은 이미 프로의 반열에 오른 출연자들의 실력을 쉽게 평가하지 않는다. 이들이 떨어지는 이유는 실력 문제가 아니다. 비슷한 색감의 가수가 너무 많거나, 기대에는 못 미친 경우가 대부분이다.
지적이 없는 대신 관점이 존재한다. 시니어와 주니어로 나뉜 심사위원들은 감상평을 낸다. 출연자의 장점을 구체화 된 표현으로 설명하는 시니어와 출연자가 가진 느낌을 젊은 언어로 던지는 주니어의 심사평은 <싱어게인>을 풍성하게 한다.
이름이 아닌 음악을 알리기 위해 무대에 서는 출연자들은 자신의 실력을 드러낼 만한 대중적인 곡을 고르기보다, 자신의 색깔을 선명히 드러낼 명곡에 목소리를 얹는다.
63호의 한영애 ‘누구없소’, 11호의 임재범 ‘비상’, 47·55호 이문세의 ‘오늘 하루’, 10·29호의 빛과 소금 ‘내 곁에서 떠나가지 말아요’ 23·32호의 산울림 ‘개구장이’, 30·63호의 신해철 ‘연극속에서’가 그 좋은 예다.
출연자들은 뛰어난 편곡 실력을 가미해 기존 곡을 완전히 새로운 노래로 재창조한다. 오디션에 한 곡만 나와도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높이는 ‘킬러 송’이 매회 쏟아져 나온다.
<싱어게인>의 특징 중 하나는 ‘슈퍼 어게인’이다. 8명의 심사위원에게 누구든 한 명을 구제해 줄 수 있는 특권을 주는 제도인데, 사용할 때마다 강한 감동이 전달된다. 가수 규현과 김종진, 김이나 작사가, 이선희가 슈퍼 어게인을 선택하는 이유가 그대로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불러 일으키는 덕분이다. 짙은 여운을 남긴다.
노래가 있다
자신을 인정해준 심사위원에게 깊은 고마움을 느낀 출연자들은 벅찬 감동에 고맙다는 말조차 쉽게 내뱉지 못하며, 실력으로 보답하겠다는 말을 되뇐 뒤 눈물만 글썽인다. 20대부터 50대 이상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등장할 뿐 아니라 이미 꽤 알려진 가수들부터 누군지조차 모르는 신인들이 계급장을 떼고 오롯이 음악으로만 경연을 벌이는 <싱어게인>. 벌써부터 월요일 밤을 기다리게 만드는 마력의 오디션으로 진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