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영화의 종착지가 극장이라는 공식은 이제 깨진 듯하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장기화되면서 극장으로 향하는 발길이 뚝 끊긴 가운데, 영화계는 넷플릭스나 웨이브(Wavve)와 같은 OTT 서비스에 작품을 넘기고 있다. 일각에선 영화계의 숨통을 틔우는 탈출구라는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울며 겨자 먹기’식 거래라는 회의적인 주장도 나온다.
지난 2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 19)이 발발한 후 영화계는 극심한 타격을 입었다. CGV와 롯데, 메가박스 등 대형 멀티플렉스는 이례적인 영업손실을 겪고 있다.
작년과 달라
지난 9월 극장을 찾은 관객 수는 298만8684명으로 영화관 입장권 통합전산망이 가동을 시작한 2004년 이후 최저치를 찍었다. 또 9월 관객 수는 전월 대비 66.2%(585만 명↓)가 감소했고, 전년 동월 대비 79.7%(1174만 명)가 줄었다.
올해 추석 연휴가 꽤 길었을 뿐 아니라, 국내 여름·겨울 시장과 함께 대목으로 불리는 점을 감안하면 충격에 가까운 결과다.
제작사와 배급사는 신작을 내놓는 것을 주저하고 있다. 코로나19 발발 후 개봉한 국내 영화 중 손익분기점을 넘긴 작품은 영화 <반도>(389만)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소리도 없이> 뿐이다.
<반도>는 OTT 서비스 등 각종 부가 수익을 포함한 수익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손익분기점을 넘긴 작품은 2개에 불과하다. <담보>가 약 10만 정도의 관객이 부족한 상황으로, 그나마 가능성이 큰 편이다.
아무리 좋은 작품이라고 해도 코로나19로 인한 ‘극장 공포증’이 커진 탓에 손익분기점을 넘기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가 됐다. 4편의 영화가 1000만 관객을 동원했고, 무려 10편이나 500만 관객을 동원했던 작년과 너무 큰 격차다.
이 같은 코로나 사태 속 영화 제작사와 배급사의 고민이 깊어진 가운데, 새로운 탈출구가 된 것이 OTT 서비스다.
올해 5월 윤상현 감독의 <사냥의 시간>이 극장 개봉을 취소하고 넷플릭스로 넘어간 첫 사례가 된 이후 최근 들어 영화 <콜>은 넷플릭스 행을 결정지었으며, <승리호> <원더랜드> <낙원의 밤>도 고심 중이다.
가장 먼저 넷플릭스로 항로를 옮긴 영화는 이충현 감독의 신작 <콜>이다. 이 영화는 한 통의 전화로 연결된 서로 다른 시간대의 두 여자가 서로의 운명을 바꿔주면서 시작되는 광기 어린 집착을 그린 미스터리 스릴러로 박신혜, 전종서가 주연을 맡았다.
단편영화 <몸값>으로 국내외 유수의 영화제 상을 휩쓴 이충현 감독의 데뷔작인 <콜>은 영화계 안팎에서 큰 기대를 모은 작품이다. 영화 배급사 NEW를 비롯해 배우 대다수가 자신감이 넘쳤으며, 올해 흥행이 유망한 작품 중 하나였다.
지난 3월 개봉을 예정했으나, 코로나19가 점점 심해짐에 따라 개봉을 연기하다 결국 넷플릭스와 손을 잡았다.
NEW 관계자는 “수작으로 여기는 <콜>이 전 세계 관객들과 만나게 되는 것이 더 의미있을 것이라 판단했다. 더 많은 관객과 만날 수 있는 다양한 통로를 고민하며 선택한 방안”이라며 “어려운 시기에 공을 들인 영화를 내놓을 최적의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늘어나는 극장 공포증, 충격적인 영업손실
<콜> <승리호> <원더랜드> 줄줄이 개봉 논의
240억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승리호>도 넷플릭스 행을 논의 중이다. <늑대인간> <탐정 홍길동>을 연출한 조성희 감독의 SF장르물인데다가 배우 송중기와 김태리, 유해진 등 내로라 하는 스타 배우들이 총출동한 작품이다.
올여름 최대 기대작이었던 <승리호>는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으로 겨울방학을 낀 12월로 개봉 시기를 옮겼다가, 끝내 넷플릭스 행을 고심하고 있는 것.
<승리호>가 넷플릭스에서 공개된다면, 텐트폴 영화로는 OTT 플랫폼과 손을 잡은 첫 사례가 된다.
김태용 감독이 <만추> 이후 9년 만에 선보이는 <원더랜드>도 넷플릭스 행을 고려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수지와 박보검, 공유와 탕웨이, 정유미와 최우식 등 젊은 층에서 인기있는 배우들이 대거 출연해 기대감을 높인 작품이다.
베니스영화제에 초청되며 화제를 모은 박훈정 감독의 <낙원의 밤>도 갈림길에 서 있다. 전작이 큰 관심을 받은 박 감독의 신작 역시 영화계 안팎에서 소위 ‘잘 빠졌다’는 소문이 돌고 있는 작품이다.
국내의 관심작들이 넷플릭스로 향하는 배경에 대해 영화계는 코로나19로 인해 극장 사정이 최악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제작자들이 제작비라도 보전하기 위해서라고 진단한다.
넷플릭스 행을 택할 경우 제작비와 제작비의 10%, 여기에 일부 부가수익이 추가되는 정도로 전해진다. 겨우 손익분기점을 얼마 넘기는 수준으로 계약하는 셈이다. 수백만 관객이 추가적으로 동원된 기회 비용을 생각하면 턱없이 부족한 거래다.
어쩔 수 없는 차악의 선택이라는 의견에는 넷플릭스가 일시불이 아닌, 최대 10년까지 분할 지급하는 구조라는 점도 있다. 직접적인 이익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
한 영화 관계자는 “분할로 지급되는 것이 제작자 입장에서 손해까지는 아니지만, 다음 프로젝트를 준비하기까지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고 말했다.
잇따른 넷플릭스 행으로 영화산업 위기론이 대두되고 있지만, 영화계에서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바라보고 있다. 극장에 작품을 올렸을 때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의 기댓값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울며 겨자 먹기
영화 제작사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영화계가 흔들리는 것은 맞지만, 이런 현상으로 한국 영화계 전체가 무너질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 시대의 흐름에 맞춰 주 소비 플랫폼이 극장에서 OTT로 양분되는 것뿐”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