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아이돌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대포’(망원렌즈를 장착한 DSLR)가 씨름판에 나타났다. 잘 생기고 몸 좋은 선수들을 보기 위해 젊은 여성팬들이 대거 몰렸다. 명절에만 반짝 관심을 받으며 근근이 명맥을 이어가던 씨름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는 것. <일요시사>가 왕년의 천하장사 장지영 전 인하대 씨름부 감독을 만나 현 상황에 대해 물었다.
지난해 ‘뉴트로’라는 새로운 소비트렌드가 등장했다. 새로움(New)과 복고(Retro)를 합친 말로 옛것을 새롭게 즐기는 경향을 말한다. 최근 씨름이 뉴트로 열풍을 타고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유튜브 영상을 통해 젊은 세대의 관심을 받은 이후 최근 공중파 예능 프로그램으로 날개를 달았다.
암흑기
KBS N서 지난 2018년 8월8일 업로드한 ‘제15회 학산배 전국장사 씨름대회-단체전 결승 김원진 vs. 황찬섭’ 영상이 시발점이었다. 근육질 몸짱 선수들의 씨름대결은 폭발적인 관심으로 이어졌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를 통해 영상이 퍼져나갔다. 이달 16일 기준 이 영상의 조회 수는 234만회를 상회하고 댓글은 1만6800개에 이른다.
지난해 11월30일부터는 KBS2에서 씨름을 소재로 한 예능 프로그램 <태백에서 금강까지-씨름의 희열>을 방영하고 있다. 태백급(80㎏), 금강급(90㎏) 선수 16명이 출연해 씨름 대결을 펼친다. 지난 11일 기준 시청률은 2.5%로 다소 저조하지만, 한 언론사서 연말에 조사한 ‘더 주목 받았어야 할 프로그램’ 1위로 꼽히는 등 잠재력이 상당하다.
지난 14일 오전 서울 목동의 한 카페서 3대 천하장사 출신 장지영 전 인하대 씨름부 감독을 만났다. 장 전 감독은 최근 씨름 인기가 다시 높아지는 현상을 두고 “아주 바람직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비인기종목으로 분류됐던 씨름이 20∼30대 젊은 층의 관심을 받는 모습에 한껏 고무된 기색이었다.
유튜브 영상 시작으로 부활 조짐
공중파에서 예능프로그램 제작
그는 “일반적으로 씨름선수라고 하면 ‘뚱뚱하다’는 인식이 있다. 하지만 태백급이나 금강급의 몸 좋고 잘생긴 선수들이 대거 방송에 등장하면서 팬과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 같다”며 “또 힘 씨름이 아니라 기술, 전략 씨름이 주를 이뤄 박진감 넘치고 스피드한 경기를 보여준 점이 주효했던 것으로 본다”고 현 상황을 분석했다.
1984년 3월 장 전 감독이 천하장사에 등극할 무렵 씨름 인기는 하늘을 찔렀다. 1983년 제1회 천하장사 씨름대회 결승전 시청률은 무려 61%에 달했다. 2018 러시아 월드컵 한국-스웨덴전의 TV 시청률이 공중파 3사를 합쳐 40%였다. 씨름 중계 때문에 9시 뉴스가 미뤄지는 일이 일어날 정도였다.
장 전 감독은 “내가 천하장사에 등극했을 때 서울 장충체육관에 1만5000명의 관중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었다”며 “당시 천하장사라고 하면 위상이 굉장히 높았다. 식당서 음식값을 안 받기도 했고 택시를 타면 택시비를 내지 말라는 기사들도 많았다. 여느 종목 스타 못지않게 인기를 누렸다”고 떠올렸다.
하지만 1990년대 들어 씨름 인기는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다. 장 전 감독은 “1980년대에는 선수들 체급이 지금보다 낮았다. 한라급(105㎏) 체형의 선수들이 기술력으로 승부하는 경기가 주를 이뤘다. 또 자기 지역 연고 선수에 대한 팬들의 열광적인 응원이 묘미였다”면서 “하지만 150㎏에 육박하는 거구의 선수들이 힘으로만 밀어붙이면서 경기가 지루해졌다”고 전했다.
그는 “현재의 씨름판은 과거에 비해 싱거운 면이 없지 않다. 옛날 씨름판에는 키 큰 선수, 뚱뚱한 선수, 뒤집기를 잘하는 선수, 털보 선수 등 선수 개개인의 개성이 강했다. 하지만 지금 선수들은 캐릭터 등 개성 있는 선수가 드물다. 예전 선수들이 얼굴 생김새나 신체구조에 따라 자신만의 기술로 경기를 운영한 것에 반해 지금은 기술이 거의 비슷해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 같다”고 아쉬워했다.
프로야구, 프로축구의 등장으로 인기 경쟁서 밀린 씨름은 농구와 배구까지 프로화되면서 설 자리를 잃어갔다. 그러다 IMF 경제 위기가 닥치면서 프로씨름은 붕괴 수준에 이른다. 이만기, 이봉걸, 이준희, 강호동, 최홍만 등 스타계보는 끊겼고 설상가상으로 씨름계는 내홍에 휩싸였다. 유명 선수들은 격투기로 활동 무대를 옮겼다.
지난해 9월부터 불기 시작한 부활의 바람은 오랜 암흑기 끝에 찾아온 기회인 셈이다. 장 전 감독은 “현 상황이 반짝 인기로 끝나지 않으려면 씨름 관계자들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큰 인기는 아니어도 팬과 시청자들에게 은은하게 파고들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등의 새로운 발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인프라 부족 , 대형 선수 부재
“반짝 인기에 그치지 않게 노력”
그러면서 ‘인프라’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씨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씨름만을 위한 상설경기장이 필요하다. 택견이나 국악 같은 전통문화 관련 전수관은 있는데 씨름 전용체육관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팬들은 경기가 언제, 어디서 열리는지 잘 모른다. 프로축구나 프로야구처럼 경기 일정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씨름이 단순히 힘으로 하는 경기가 아니라 머리를 쓰는 전략싸움이라는 것을 알릴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며 “또 관계자들은 최근 공중파서 방송하는 예능 프로그램처럼 씨름 경기가 꾸준히 방송에 중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경기장을 찾아준 팬들에게 팬서비스를 잘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전 감독은 씨름판에 스타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천하장사에 등극한 선수의 이름도 모를 만큼 관심과 인지도가 떨어져 있는 현 씨름판서, 팬과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는 대형 선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장 전 감독은 “당연한 말이지만 자기가 좋아하는 선수가 있어야 경기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진다”고 덧붙였다.
선수로, 인하대 감독으로, 해설자로 한 평생 씨름과 부대끼며 살아온 장 전 감독은 앞으로는 씨름 발전을 위해 뒤에서 노력하고 싶다는 뜻을 비쳤다. 그는 2017년 인하대 감독을 끝으로 씨름계에선 한 발자국 떨어져 있는 상황이다. 그러면서도 “씨름이 전성기 때 인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많이 애청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날갯짓
1984년 3월8일 인하대 소속으로 3대 천하장사에 등극한 장 전 감독은 ‘샅바싸움의 명수’ ‘여우’ 등의 별명으로 불렸다. 샅바싸움을 둘러싸고 비판과 응원이 공존하는 선수기도 하다. 1999년 인하대 감독으로 취임한 그는 17번의 단체전 우승, 200번 이상의 개인전 우승 등 인하대 씨름부를 ‘씨름 명문’으로 만들었다는 평을 받고 있다. 2017년 인하대 감독직서 물러나 현재는 ‘야인’으로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