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는 죽음이 임박한 듯한 극심한 불안과 함께 두통, 현기증, 가슴 두근거림, 호흡곤란, 저림 등의 신체증상이 나타나는 불안장애의 일종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2018년간 ‘공황장애’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5년간 연평균 14.3%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1.2배 많았고, 남녀 모두 40대(2018년 기준 3만8825명, 24.4%)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도…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공황장애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4년 9만3000명에서 2018년 15만9000명으로, 5년 사이 2014년 대비 70.5%(연평균 14.3%) 증가했다.
남성은 2014년 4만3000여명에서 2018년 7만3000명으로 연평균 13.8%, 여성은 4만9000여명에서 8만6000명으로 연평균 14.6% 증가했다.
2018년 공황장애 질환으로 진료 받은 여성은 전체 환자의 54%, 남성은 46%로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다.
2018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40대 환자(3만8825명, 24.4%)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50대(3만3057명, 20.7%), 30대(2만9530명, 18.5%) 순으로 나타나 전체 환자(15만9000명)의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 질환의 진료인원은 30~40대가 가장 많으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20대가 24.5%, 10대 이하가 18.1%으로 높게 나타나 젊은층에서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황장애 질환의 진료인원이 30~50대 중장년층에서 가장 많은 원인에 대해 국민건강보험공단 측은 “일반적으로 공황장애의 호발연령은 젊은 성인으로, 어떤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다. 공황장애의 위험요인으로는 사회경제적 자원의 결핍, 흡연, 알코올 문제, 최근의 이혼이나 이별과 같은 스트레스 사건 등이 있는데, 이러한 생활사의 기복이 가장 많은 연령대에 호발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20대의 연평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원인에 대해 “또한, 최근 학업, 취업 등 사회 초년기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20대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공황장애 발병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20대에서 우울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는 현상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공황장애와 우울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며, 공황장애에서 주요우울증이 약 25%에서 공존한다”고 설명했다.
죽음 임박한 것 같은 극심한 불안
현기증, 호흡곤란 등 불안장애 일종
2018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312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3.8% 증가했으며, 남성은 287명, 여성은 338명으로 나타났다.
2018년 적용인구 10만명당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40대가 460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396명, 50대 390명 순으로 많았다.
공황장애는 반복적인 공황발작과 예기불안이 특징적인 증상다.
먼저 공황발작은, 갑작스럽게 심한 공포나 불안함이 수분 내 최고조에 이르고, 그동안 신체적 및 정신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빈맥, 심장의 두근거림, 호흡곤란, 발한 등이 있으며, 정신적 증상으로는 극심한 불안, 죽을 것 같은 두려움, 정신을 잃을 것 같은 두려움 등이 있다.
예기불안은, 공황발작이 다시 올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어 공황발작을 경험한 상황에 노출될 것을 상상하거나 노출되기 전 공황발작과 비슷한 증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공황발작이 올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공황발작이 올 것만 같은 장소(공공장소, 답답한 장소, 대중교통, 터널 등)를 회피하게 된다. 이러한 회피 증상은 불안을 지속, 강화시키고, 일상생활을 위축시키기도 한다.
지난 5년 연평균 14.3%↑
30~50대 환자 2/3 차지
공황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은 신체 내 노르아드레날린,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관련돼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외부 유발 물질로는 이산화탄소, 카페인 등이 있다.
심리적으로는, 신체감각에 대한 예민함이 공황장애 발병에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불안 민감성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심리적 현상은, 사소한 감각이나 불편도 ‘큰 병이 아닐까, 죽는 것이 아닐까, 공황발작이 오는 것은 아닐까’하는 공포로 이어지게 되고, 이 공포가 자율신경계 각성을 유발하여 증상을 악화시키게 된다.
공황장애 환자는 증상을 심장, 호흡기 질환으로 생각해 응급실이나 일차진료의원을 흔히 이용하는데, 이렇게 진단이 미뤄져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때로는 응급실이나 일차진료의원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권유 받았더라도,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에 대한 거부감으로 치료를 늦추는 경우도 있다.
공황장애 약물치료의 목적은 공황발작의 반복을 줄이는 것인 동시에, 예기불안, 회피행동 및 우울증 같은 공존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흔히 항우울제로 알려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빠른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유용하다. 공황장애의 약물치료 효과는 약 3개월 후 평가를 하며, 약물에 반응을 한 이후에도 약 6개월 이상 치료를 지속한다. 만성적이고 재발이 잦아 대개 12~24개월 정도의 유지치료를 권장한다.
20대도…
효과가 입증된 비약물적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가 있다. 공황장애에 대한 교육을 통해 쉬이 불안해지지 않도록 하고, 예기불안이 공황발작을 유지·악화시키는 것에 대해 인지오류를 교정하고, 불안반응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가장 쉬운 공황장애 예방법은 위험요인을 피하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피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금연·금주가 매우 중요하다. 커피를 많이 마시는 것 또한 공황발작을 유발, 악화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