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회는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해외 유입 감염병 중 가장 흔한 ‘뎅기열’의 예방을 위한 행동지침 등 건강정보를 공유했다.
최근 인천 영종도 을왕산에서 채집된 반점날개집모기에서 뎅기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됐다는 질병관리본부의 발표가 있었다. 검출된 뎅기바이러스는 태국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와 99% 정도 유전자가 일치했다.
토착화?
아직 뎅기열이 토착화되지 않은 국내에서 뎅기바이러스 유전자를 가진 모기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뎅기열을 매개하지 않는 반점날개집모기에서 검출된 것도 매우 특이한 일이다. 발견된 모기의 경로를 역학적으로 추정한다면, 태국에서 뎅기열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던 반점날개집모기가 비행기를 타고 인천국제공항을 거쳐 영종도에서 발견됐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하지만 이 모기가 비행기 내부나 영종도 인근에서 뎅기열 환자를 물면서 바이러스를 가지게 됐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더 나아가 이 모기가 뎅기열 바이러스를 보유한 상태에서 국내에서 또 다른 사람을 물었다면, 해외 유입이 아닌 자국 내에서 환자가 발생하게 된다. 즉 뎅기열의 국내 유행 및 토착화의 가능성이 열린다는 의미다. 이미 일본은 이러한 방식으로 과거 뎅기열이 여러 번 유행했다.
신상엽 KMI 학술위원장에 따르면, 아무 모기에 물린다고 뎅기열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뎅기열의 주요 매개 모기는 이집트숲모기와 흰줄숲모기다.
주요 매개 모기는 이집트숲모기·흰줄숲모기
주로 동남아 지역서 유입…매년 200여건 내외
이집트숲모기는 추위에 약해 우리나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흰줄숲모기는 국내에서도 발견되지만 국내 모기 표본감시 결과에 의하면 국내에서 발견되는 전체 모기의 0.01%에 불과할 정도로 개체 수가 적다. 이번에 뎅기열 바이러스 유전자가 확인된 반점날개집모기의 경우 뎅기열을 매개할 수 있다는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또한 국내에서 발견되는 전체 모기의 0.04%에 불과할 정도로 국내에서는 드문 모기다. 즉 뎅기열 매개 모기 분포상으로 판단했을 때 현재 국내에서 동남아와 같이 토착화된 뎅기열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실제 국내에서 뎅기열은 자국 내 유행이 없었고, 매년 보고되는 200여건의 사례도 주로 동남아 지역에서 유입된 것이다. 뎅기열은 모기에 물린 후 4~7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 두통, 근육통, 발진, 후안와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무증상인 경우가 75% 정도로 더 많다. 이로 인해 현재 질병관리본부에 보고되고 있는 숫자보다 몇 배 많은 여행객이 뎅기열에 걸린 채 입국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에 뎅기열을 매개하는 모기는 별로 없지만, 뎅기열에 걸려 들어온 환자가 늘어나게 되면 결국 일본처럼 국내에서도 뎅기열이 유행할 수밖에 없다. 즉 해외여행 시 뎅기열에 걸리지 않는 것은 자신을 보호할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뎅기열 유행 및 토착화를 막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뎅기열은 아직 상용화된 예방백신, 예방약, 치료제가 개발되지 못한 상태다. 때문에 뎅기열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좋은 방법은 뎅기열을 매개하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다.
뎅기열 모기에 물리지 않기 위해 여러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방법은 두 가지다. 첫째, 모기기피제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모기기피제 중에서 DEET(디에틸톨루아미드) 또는 이카리딘(피카리딘)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모기기피제는 제형에 따라 바르는 크림타입과 뿌리는 스프레이타입으로 나뉜다. 크림타입은 일반적으로 함유된 성분 농도가 높아 최대 8시간 정도까지 효과가 유지되고, 스프레이타입은 함유된 성분 농도가 낮아 최대 4시간 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함유 성분과 제형에 따라 지속시간 및 사용법이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설명서를 꼼꼼히 읽어보고 사용해야 한다.
물린 후 4~7일 잠복기
발열, 두통, 근육통…
모기기피제를 사용할 때는 야외에서 땀을 많이 흘린 경우 제품설명서에 제시된 효과 지속시간보다 더 자주 모기기피제를 발라줘야 한다. 또한 선크림과 모기기피제를 둘 다 발라야 하는 경우 선크림을 먼저 바르고, 나중에 모기기피제를 발라야 제대로 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모기기피제와 함께 모기장을 사용하면 예방효과가 더욱 커진다. 일반 모기장보다는 해충의 방충, 살충효과를 지닌 퍼메트린 성분이 외부에 도포되어 있는 모기장을 구매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신 학술위원장은 “모기의 평균수명은 1개월 남짓이고 생존하는 동안 행동반경은 1km 정도이다. 모기는 애초에 날개가 2개뿐이라 오래, 멀리 날 수가 없다”면서 “때문에 뎅기열과 같은 모기매개질환을 일으키는 모기가 바이러스를 품고 자력으로 국경이나 바다를 넘어 국내로 들어와 질병을 일으킬 수는 없다”고 말했다.
기피제는?
단 “해외에서 뎅기열에 걸린 사람이 입국해 국내 모기에 물리거나 뎅기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가 비행기나 배를 타고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올 수는 있다. 이 경우 일본과 같이 국내에도 뎅기열이 유행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비행기나 배를 타고 유입될 수 있는 모기에 대해서는 질병관리본부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며, 해외여행자 본인이 모기기피제와 모기장을 적절하게 사용해 뎅기열에 걸려 국내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