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두염이란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후두와 그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후두염 질환으로 진료 받은 인원은 2013년 372만7000명에서 2017년 383만2000명으로 10만5000명이 증가해 2.82%의 증가율을 보였다.
질환자 증가
성별에 따른 진료실 인원을 비교해보면 2013년 남성은 159만명에서 2017년 164만6000명으로 3.52% 증가했고, 여성은 2013년 213만6000명에서 2017년 218만6000명으로 2.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살펴보면 30대(59만2000명, 15.4%)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40대(56만7000명, 14.8%), 9세 이하(53만7000명, 14.0%)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9세 이하(28만7000명, 17.4%)가 가장 많았고, 30대(23만2000명, 14.1%), 40대(23만2000명, 14.1%) 순이다. 여성은 30대(36만명, 16.5%) 가 가장 많았고, 40대(33만5000명, 15.3%), 50대(32만7000명, 14.9%) 순으로 나타났다.
신향애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남성 환자보다 여성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후두염의 증상은 애성, 즉 목소리 변화가 대표적인 증상으로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목소리 변화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병원에 내원하는 여성 환자가 더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후두염 질환을 방치하는 경우의 문제점에 대해 “후두염은 단독으로 오기보다는 주변 기관의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기침, 가래, 연하통 등이 함께 생기는 일이 흔하다. 이를 적절히 치료치 않아 기침을 오랫동안 하거나 흡연, 과도한 음성 사용을 할 경우 성대 결절이나 성대 부종, 후두 육아종 등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후두점막의 만성 발적이 유지돼 급성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이물감과 쉰 목소리가 지속되는 만성 후두염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3~2017년까지 월별 평균 진료인원 추이를 보면, 겨울철(12월)이 59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추운 날씨 또는 겨울에서 봄으로,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환절기에 병원을 더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 교수는 겨울철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후두염은 상기도 호흡기 질환으로 통칭되는 감염성 질환으로 목이 붓고 갑자기 목소리가 변하는 증상이다. 특히 겨울철에는 실내외 기온차가 커서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고, 대기가 건조해 호흡기 점막이 약해져서 공기 중에 있는 바이러스나 세균이 후두에 침입하기 때문에 후두염 환자가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설명했다.
성대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
쉰 목소리가 대표적인 증상
후두염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성대(성문부)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애성, 즉 쉰 목소리가 대표적이다.
또한 피열연골주름 및 주변부 부종으로 인해 목 이물감과 통증이 생길 수 있다. 특히 후두 덮개에 해당하는 후두개에 염증이 생길 경우 후두개가 부어올라 기도를 막게 된다. 환자의 목소리가 마치 뜨거운 감자를 먹을 때 내는 목소리와 같다고 해 이름 붙은 ‘hot potato voice’ 또는 ‘muffled voice’라 칭하는 웅얼거리는 목소리로 변하면서 삼키기 힘든 증상이 나타나며, 심할 경우 호흡 곤란을 동반한다. 이러한 경우 응급 상황으로 급히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
후두염은 그 발생 원인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혹은 세균 감염에 의한 감염성 후두염, 지속적인 성대 사용 및 담배 등의 자극에 의해 발생한 만성 후두염, 위산역류에 의한 역류성 후두염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감염성 후두염은 상기도 호흡기 질환으로 통칭되는 감염성 질환으로 인두염, 후두염, 기관지염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어렵다. 후두 자체에 염증이 생기거나 인두염, 편도염 등과 같은 주위 주변 조직의 염증이 후두로 파급되어 후두염이 발생한다.
임상 증상 및 이비인후과에서 실시하는 후두내시경 소견으로 진단하게 되며 후두경 검사 시 후두의 발적, 부종, 분비물 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세균감염에 의한 후두염이 의심될 경우 세균배양검사로 원인균을 동정해볼 수 있다.
바이러스성 후두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가 많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음성 휴식이 필요하다. 필요할 경우 소염제를 복용하고, 인후통이나 기침이 심할 경우는 소염 진통제 및 진해거담제를 사용한다. 염증이 지속되거나 세균 감염에 의한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하고, 기타 증상에 따라 약제를 적절히 사용한다.
성대의 염증으로 쉰 목소리가 심할 경우 혹은 후두개 부종이 심하여 호흡곤란이 발생할 경우는 염증을 빠르게 가라앉히기 위하여 단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후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기도 감염의 차단이 필요하다. 독감 예방 주사를 맞아야 하며, 외부활동을 하거나 먼지가 많은 공간에서 생활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해 원인균이 공기로 전파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일이 많을 경우 종종 환기를 시켜주어야 한다.
감염의 차단
또한 손을 통한 세균 전파를 막기 위해 손을 깨끗이 씻어 개인 위생관리를 해줘야 한다. 후두 점막을 자극하는 흡연 및 간접흡연을 줄이는 것도 필요하다. 목이 건조할 경우에는 물을 자주 마셔 후두 점막을 습윤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좋으며,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는 과도한 음성 사용을 피하고, 말을 많이 한 후에는 물을 마시고 목을 쉬게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