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40년 전통의 중식당 ‘함지박’이 최근 문을 닫았다. 이를 두고 ‘누적된 적자 때문’ ‘수백억에 부지와 건물을 매각했다'는 등 확인되지 않은 소문들만 나돌았다. 정치인들의 비밀 회합장소로 자주 쓰였고 인근 교차로 명칭이 함지박사거리로 지정될 정도로 유명세를 탔던 함지박은 이렇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서울 대표 중식당 함지박(서초구 동광로 소재)이 폐업했다. 1970년대 문을 연 함지박은 정치인들의 비밀 회합 장소 등으로 자주 쓰였다.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도 매주 후배 검사들과 찾을 정도로 명사들의 사랑방 같은 공간이다. 더욱이 인근 교차로 명칭이 함지박사거리로 지정될 정도로 유명세가 대단했다. 이밖에 쿡방 열풍과 함께 유명 스타로 각광받고 있는 여경래 셰프도 이곳 출신이다.
도대체 왜?
한국 중식사는 화교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중식계서 이름을 날리는 곡금초, 후덕죽, 왕육성, 이연복, 여경래, 여경옥 등의 요리사들은 모두 화교다. 화교의 삶이 날실과 씨실로 교차하면서 우리 식문화의 한 축을 담당했었다.
한국의 중식은 1882년 임오군란 때 청나라 군대와 함께 온 산둥성의 상인들이 점포를 열면서 시작됐다. 원로 화교요리사인 추본경(66)씨는 “산둥성 복산(푸산) 출신의 요리사들이 많아 초창기 한국의 중식은 ‘복산파’가 좌지우지했다”고 말한다.
과거 박정희정권은 화교들의 경제력 집중을 막고자 외국인토지소유금지법(1961년), 화폐개혁(1962년), 중국음식점 쌀밥판매 금지(1973년) 등의 박해정책을 폈다. 현금을 좋아해 금고에 돈다발을 쌓아뒀던 화교들의 피해가 컸고, 중국집의 매출도 감소했다.
한국서 화교는 외국인으로 분류돼 국가고시 등에 응시할 수 없었으며 물론 선거권도 없었다. 1970년대 말 당시 문교부는 국내 외국인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대학입학 예비고사 응시 자격을 주지 않기로 해 한성화교고등학교 학생들은 체력검사까지 받고도 응시를 못한 일도 있었다.
이렇게 탄압받던 화교들이 생계대책으로 연 중국집들이 1960∼1970년대 주로 정치인들의 밀담 장소나 접대를 위한 곳으로 자리잡았다는 점은 아이러니하다.
요정집을 겸하는 곳도 있었다. 일제강점기 때 연 ‘대관원’ ‘아서원’ ‘태화관’과 1950년대 연 ‘대려도’, 1960년대의 ‘홍보석’ 등은 수백석을 확보한 화려한 식당이었다. 여기선 곰발바닥, 노루꽁지 같은 진귀한 재료가 나왔다.
7월 말 돌연 폐업 결정, 왜?
“역사의 한 페이지 마무리”
1960년대를 넘기며 중식당은 정치인들의 단골집이 됐다. 당시 신민당 당사에서 가까웠던 대관원은 주로 김대중, 김영삼, 김홍일 등이 다녔다고 추씨가 말한다. 아서원도 여당 인사들이나 비밀회합 목적인 정치인들이 자주 찾았다.
1925년 박헌영, 조봉암, 김재봉 등이 주축이 된 조선공산당 창당대회가 열린 곳이기도 하다. 대려도를 뺀 나머지 식당들은 1970년대 고급 호텔들이 생겨나면서 하나둘 자취를 감췄다.
1970년대가 되면서 매콤한 쓰촨요리가 국내에 유입됐다. 이연복 셰프가 일한 사보이호텔의 ‘호화대반점’도 이 무렵 열었다. 대만이나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온 화교 2세들은 중식당을 물려받지 않고 이 땅을 떠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 빈자리를 한국인들이 채워갔다. 한국인 주인, 화교 요리사 조합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이다.
1970∼1980년대 강남 붐이 일면서 생긴 ‘만리장성’ ‘만다린’ ‘중국성’ 등의 주인은 한국인이었다. 함지박도 여경래 셰프를 주방장으로 내세워 이때 생겼다. 한편 골목마다 배달 위주의 중국집들이 생겨나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다.
하지만 40년 전통의 함지박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 등에 따르면 이번에 함지박이 폐업을 결정한 것은 누적된 적자 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다른 일각에선 수백억원에 부지와 건물을 매각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함지박이 폐업을 결정한 것은 중장년층에게는 추억의 명소지만 2030세대의 입맛을 사로잡는데 실패하면서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함지박의 한 관계자는 “폐업이 결정됐다는 사실을 최근에 통보 받았다”며 “이후 영업 재개 여부 등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빌라로?
함지박의 폐업 소식을 접한 사람들은 “역사 한 페이지가 또 이렇게 마무리 되는구나” “함지박 사거리 하면 택시기사님들이 모르던 사람 없었는데...” “그 이름만으로도 젊은 시절의 기억이 떠오르는데 아쉽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