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박창민 기자 = 흑금성 사건을 조명한 영화 <공작>이 흥행몰이에 성공했다. 개봉 2주 만에 박스오피스 1위에 도달했다. 흑금성인 박채서씨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는 안기부 특수공작요원으로 김정일까지 직접 만났다. 007 영화에 나올법한 이야기지만, 이건 실화다.
지난 16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공작>은 지난 15일 광복절에 47만 5964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1일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 누적관객수는 309만 9024명에 달한다. <공작>은 1990년대 중반 ‘흑금성’이라는 암호명으로 활동한 국가안전기획부(현 안기부) 특수공작원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정보사에서 장교로 복무하다 1993년 안기부 대북 공작원으로 활약한 박채서씨가 실존 모델이다.
그는 누구?
1990년대 초반,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인해 남북 위기가 절정에 치달았을 당시 안기부 스파이 흑금성 박씨는 북핵 실체를 파헤치기 위해 북한 핵심 간부에 대북사업을 제안하며 접근했다. 당시 동구권과 소련의 붕괴로 경제위기가 심각했던 북한의 자금난을 역이용했던 것이다.
박씨는 북한 간첩의 눈을 피하기 위해 가족마저 속이고 제 운명을 바꾸며 조국을 위해 철저히 위장된 삶을 살았다. 하지만 김대중 대통령 당선을 막기 위한 안기부의 북풍 사건에 직면했다.
결국 조국의 이념이란 미명에도 개인의 신념을 지켰으나 이로 인해 안기부의 버리는 카드가 됐다. 만천하에 정체가 폭로됐으며 이중간첩으로 몰려 온갖 ‘국가안보법 위반’이란 죄명으로 옥살이를 했다.
스파이 활동은 국제법상 금지된 범죄 행위인 만큼 어떤 나라도 자국의 스파이 행위를 공개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공작>은 국내 일부 정치 세력과 안기부의 이해관계 때문에 스스로 비밀공작원을 공개하고 법정에 세운 충격적 사건의 전말과 치부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흑금성 박씨는 한국 첩보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공작전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그 이면엔 철저하게 정치적 희생양으로 전락한 흑금성 사건을 통해 분단국가의 구조적인 모순을 드러냈다.
박씨는 충북 청원 출신으로 1977년 육군 제3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육군 소위로 임관했고 육군대학 졸업식 때는 참모총장상을 받을 만큼 뛰어났다. 1990년 소령 계급장을 달고 국군정보사령부(이하 정보사) 공작단 본부에 배속됐다.
그는 정보사에서 한미합동공작대(902정보대)에 파견된다. 당시 그는 미국 정보 요원들과 함께 북한 핵개발 정보를 수집하는 일을 했다.
그러던 중 1991년부터 정보사 소속의 한미 합동공작대 A-23팀서 대북 우회 침투 공작에 참여했다. 이 시기 그는 북한 공작 조직이 당면한 자금난을 이용하는 공작안을 기획했는데 이것이 상부에 의해 채택됐다.
그러자 그는 곧 유능한 엘리트서 무능하고 불평불만이 많은 사람으로 180도 바뀌었다. 그는 동료들에게 돈을 빌리고도 제대로 갚지 않아 신용불량자 취급을 받기도 했다. 이런 행위는 감찰에 걸리고 말아 결국 1993년 3월 그는 소령 신분으로 제대하고 만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작전에 따른 것이었다. 박씨는 안기부 203실(해외공작실) 공작원이 되어 대북활동을 위한 준비를 시작했다. 그가 참여한 공작은 ‘편승공작’으로 대북사업에 열의가 있는 사업가를 지원하고 거기에 편승하는 방식으로 대북활동을 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런 박씨 공작팀의 눈에 들어온 인사가 광고 프로듀서 출신의 박기영씨다. 박씨는 먼저 박기영씨의 이웃집으로 이사를 간 후 그와 친분 쌓기에 주력했다. 박기영씨가 한국 광고를 북한에서 촬영하려는 방안을 꿈꾸고 있음을 알아냈다.
박씨는 박기영씨와 그 방안을 현실화하기 위해 자본을 물색하던 중 미진양행 운영자 정진호씨와와 접촉했다. 박채서, 박기영, 정진호는 1995년 ‘커뮤니케이션 아자(AZA)’라는 회사를 설립했다. 박기영씨는 대표를, 박씨는 전무를 각각 맡았다.
박씨는 흑금성이라는 암호명으로 북한과도 접촉을 시작했다. 회사 설립 이전에는 조총련계를 통하여 북한 국가보위부장 대리인 김명윤과 접촉. 이때 박씨는 북한의 다른 정보기관들이 제안한 거래를 거부하고 오직 국가보위부하고만 거래를 이어나갔다.
정보사 출신 특수공작원…북 고위층 접촉
정권 바뀌고 이중간첩으로 몰려 실형 살아
이 때문에 박씨는 국가보위부의 신임을 얻을 수 있었다. 북한 관련 정보도 어느 정도 파악했다. 회사 설립 전후에는 광명성경제연합회 베이징 대표부의 ‘리철’을 접촉했다. 영화 <공작>서 리명운은 리철을 모티브했다. 그리고 박씨는 북한에게 달콤한 제안을 하나 내밀었다.
흑금성이 내민 제안은 바로 ‘광고 촬영’이었다. 그는 “광고 촬영이 북한에게 돈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구슬렸다. 당시 북한은 90년대부터 동구권의 붕괴, 제1차 핵 위기, 자연재해, 고난의 행군 등의 사건들을 겪으며 상당한 경제적 타격을 입고 있었다.
그런 상황서 북한 지도부는 박씨의 제안을 받아들였다. 1997년 2월 박씨는 리철과 함께 남북한의 관계자들을 끌어 모아 실무회의를 가졌다. 남에서는 박기영씨를 비롯한 아자 직원들, 북에서는 방종삼 총사장을 비롯한 금강산국제관광총회사 관계자들이 만났다.
며칠 간의 회의 끝에 양측은 2월 14일 베이징 캠핀스키 호텔서 대북광고사업 조인식을 가졌다. 이를 통해 박씨에게 북한 광고 독점사업권이 넘어오게 됐다.
박씨는 사업이라는 명목으로 북한을 여러 번 방문하게 된다. 북한을 방문했을 때 김정일 위원장도 직접 만났다. 김정은에게 처형당한 것으로 알려진 장성택도 자주 만난 것으로 전해진다. 사업은 점차 크기가 커져갔다.
북한 내 광고촬영 독점권을 얻은 박씨는 삼성 애니콜 광고의 북한 촬영 건도 담당하게 됐고, 북한 내 TV 촬영 독점권과 MBC와의 합작에도 관여했다.
물론 그는 이런 활동 와중에도 첩보 활동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사업권을 따내기 위해 만났던 김정일 위원장과의 대화도 녹음해 안기부에 보고했다. 북한으로부터 의심을 받지 않기 위해서 남한 쪽 정보도 과감하게 넘겨줬다.
한편 첩보 활동을 위한 자기관리도 철저하게 했다. 박씨는 술과 담배를 일절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흑금성의 공작 활동은 1997년까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1998년 안기부는 큰 위기에 빠졌다. 바로 제15대 대통령 선거서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를 떨어뜨리기 위해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의 관련자들이 북한에 총을 쏴달라고 부탁한 총풍사건이 터진 것이다.
이 일로 파문이 일고 검찰이 안기부에까지 수사의 손길을 뻗쳤다. 안기부 이대성 전 해외실장은 수사가 확대되는 것을 막고자 국내 정치인과 북한 고위층과의 접촉내용이 담긴 이른바 ‘이대성 파일’을 공개했다.
흑금성은 대북활동을 하면서 북한의 의중을 파악한 결과 제15대 대통령 선거 후보 중 신한국당 이인제 의원을 가장 선호했으며, 김대중 후보를 가장 기피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박씨는 ‘적(북한)이 낙선시키려 하는 국가 지도자라면 역으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지도자가 아니겠느냐’며 김 전 대통령 측과 접촉을 시도했다.
박씨는 이들에게 북풍을 막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줬다.
그러나 이런 접촉이 안기부에 노출됐다. 박씨는 당시 의심을 피하고자 김 전 대통령 측과 를 만난 이유를 ‘해외 공작원 정보 보고’ 문건에 적당히 보고했다. 하지만 ‘이대성 파일’로 이 사실이 공개되는 바람이 박씨가 안기부 소속의 공작원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활동 재조명
그는 공작 활동을 더 이상 추진할 수 없었다. 1998년 안기부에서 끝내 해고됐다. 이후 박씨는 대북활동서 일종의 비선으로 활동하다가 2010년 간첩행위를 했다면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돼 징역 6년을 선고받았다. 그는 대전교도소서 복역하다 2016년 출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