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네모난’ 작가 노상호

하루가 모여 세계가 되다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매일 인터넷에서 저화질 이미지를 수집한다. 뚜렷한 기준은 없다. 수집한 이미지를 A4 용지에 먹지를 덧대고 베낀다. 작은 요소들을 추가하거나 또 다른 이미지를 몽타주해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이야기, 명사, 가사 등이 한 데 섞이면서 다른 상상으로 전환된다. 하루에 한 장, ‘데일리 픽션’이 완성된다. 전날 만든 이미지는 다음 날 또 다른 이야기로 가지치기 된다.

작가 노상호가 송은 아트큐브서 개인전을 연다. 이번 전시에는 평소 수집한 이미지들의 일부를 포토샵 마술봉 툴을 이용해 잘라내고 재배치해 또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개인전 제목도 ‘Magic Wand(마술 지팡이)'. 마술봉을 통해 탄생한 작품은 다양한 매체, 방식을 통해 분산 배치됐다.

마술봉으로 작업

누구에게나 쉽게 전달될 수 있지만 어느 누구도 그 본질을 알 수 없는 작가 본인의 존재가 전시에 묻어난다.

노상호는 밴드 ‘혁오’의 앨범 표지를 그린 작가로 알려져 있다. 밴드 혁오는 MBC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과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 등을 통해 이름을 알린 가수다. 노상호는 ‘네모난’이라는 이름으로 혁오의 앨범 표지 작업을 해왔다.

그는 혁오가 내는 앨범의 표지를 전부 모으면 하나의 그림이 되는 방식으로 작업 중이다. 매일 한 장의 그림으로 하나의 큰 이야기를 만들고자 하는 노상호의 생각이 혁오의 앨범 표지에 묻어 있다.


‘데일리 픽션’으로 쌓은 시간
퍼나르고 잘리고 덧붙인 이미지

그는 스스로를 ‘얇은 사람’이라 칭한다. 인터넷 가상환경과 현실의 쏟아지는 이미지에 즉각 반응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자신을 먹지에 비유하기도 했다. 들어온 자료들과 재생산, 재배치돼 나가는 생산물 사이에서 본인이 먹지 노릇을 한다는 것이다.

노상호가 SNS에 게재한 데일리 픽션들은 대중이 또다시 SNS를 통해 퍼나르고 자르고 붙이며 소비한다. 그 과정서 작가는 자료를 편집하고 내보내는 중간 프로그램으로서 존재한다.

노상호는 자신의 손을 떠난 작품에 다른 사람이 개입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타인의 개입으로 작가의 그림은 다시 새로운 자료로서 가상환경을 부유한다. 노상호가 전시장보다는 SNS 환경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이유다.
 

그의 작업 과정은 독특한 데가 있다. 작업의 기본단위는 A4 드로잉이다. 그는 가상환경서 이미지를 변형해 투명한 종이 밑에 받쳐놓고 베끼는 작업, 즉 트레이싱한다. 현수막, 간판으로 제작하거나 어떤 기준으로 카테고리화해 책을 만들고 엽서 혹은 소비재들을 만든다.

A4 크기의 그림을 다시 커다란 캔버스에 빔프로젝트를 쏘고 트레이싱해 유화, 아크릴, 과슈 등의 재료로 그리기도 한다. 이미지들은 여기저기 옮겨 다니면서 해상도가 깨지고 픽셀이 흐려진다.


노상호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A4 그림들을 다시 복사해 커다란 캔버스에 하나하나의 요소로 다시 트레이싱한다. 그렇게 나온 그림들은 거대한 세계지도를 채우는 하나의 조각이 된다. 하루를 기준으로 지도는 채워지고 사방으로 확장해 나간다.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어

이번 전시인 Magic Wand는 이 같은 데일리 픽션의 확장판이나 다름없다. 4년간 지속해온 데일리 픽션 작업으로 데이터베이스가 축적됐고, 가상환경서 자료를 가져오는 것이 아닌 축적된 이미지들을 또 하나의 수집물로 바라보고 파편화했다. 파편화된 이미지들은 무제한 확산되고 편집된다.

작품은 전시뿐만 아니라 책, 일러스트레이션, 앨범아트, 패션으로써의 도상, 뮤직비디오 화면 등 공간을 가리지 않고 퍼져 나간다. 작가를 알고 있는 모든 사람은 자신만의 경로로, 한정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통해 노상호를 파악한다.

아무도 전체를 알 수 없고 끊임없이 확장되기에 파악도 불가능하다. 궁극적으로 작가는 어디에나 있지만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는 사람이 된다.

모두에 다른 사람

노상호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서 “최종적으로는 다 다르게 기억했으면 한다”며 “그냥 저를 아는 사람들이 다 다르게 저를 인식했으면 좋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번 전시는 그 생각의 연장선이다. 전시는 3월8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노상호는?]

▲홍익대학교 판화과 졸업, 서울(2013)

▲개인전


Magic Wand, 송은 아트큐브, 서울(2016)
The Great Chapbook, 웨스트 웨어하우스, 서울(2016)
Daily Fiction-Tracing, 스튜디오 콘크리트, 서울(2016)
네쌍둥이, 기고자, 서울(2015)
프리홈프로젝트 XX 네모난, 프리홈, 서울(2012)

▲그룹전

직관의 풍경,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2016)
서사의 간극,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 서울(2016)
Concept: ZERO, 헝가리 한국문화원, 부다페스트, 헝가리(2016)
난지 9기 리뷰: 구사구용, 서울시립미술관 북서울미술관, 서울(2016)
/documents, 시청각, 서울(2015)
미술관이 된 구벨기에영사관,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생활미술관, 서울(2015)
굿-즈 2015, 세종문화회관, 서울(2015)
오늘의 살롱 2015, 커먼센터, 서울(2015)
Short Story Long - 장마,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2015)
2015 난지아트쇼 V: 난지도 밀실사건,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2015)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br>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후보 교체를 강행한 데 대해 10일, 김문수 후보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하겠다”며 강력히 대응을 예고했다. 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선거캠프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 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아 정당하게 선출된 저 김문수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불법적으로 박탈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서 선출하게 돼있는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는 제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예비후보를 정해 놓고 저를 압박했다”며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할 것”이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 온 자유민주주의의를 반드시 지키겠다. 국민 여러분, 저 김문수와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김 전 후보 측은 이날 중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후보가 시간 끌며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며 “당원들의 신의를 헌신짝같이 내팽개쳤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독재를 저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해서 기호 2번 국민의힘 후보로 세워야 한다는 게 당원들의 명령이었다”며 “우리 당 지도부는 기호 2번 후보 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께 단일화 약속을 지켜주실 것을 지속적으로 간곡히 요청드렸고 저를 밟고서라도 단일화를 이뤄주십사 부탁했다”는 권 비대위원장은 “하지만 결국 합의에 의한 단일화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 단일화는 누구 한 사람, 특정 정파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미리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의힘 비대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비대위는 모아진 총의와 당헌·당규에 따라 김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롭게 후보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비대위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한 예비후보를 대선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진행되는 당원 투표를 거쳐 오는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대선후보 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선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이뤄졌던 이번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선후보 교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등의 다양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있는 공당의 후보를 두고, 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소속의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하려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후보 접수도 이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 받았던 점, 한 후보가 32개에 달하는 서류를 꼭두새벽에 접수했다는 점 등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김 전 후보와 한 후보는 후보 단일화 문제로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왔다. 지난 1차 회동에 이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모처서 가졌던 2차 긴급 회동서도 단일화 방식 등 룰에 대해 논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끝내 결렬됐다. 그러자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 없이 승리는 없다”며 국회 원내대표실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권 원내대표는 “두 후보 간의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며 “후보 등록이 11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늘(7일)은 선거 과정서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가 불과 27일 남았다. 이제 남은 시간이 없다”며 “이재명 세력은 공직선거법상의 허위 사실 공표죄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법원장 탄핵까지 공언하면서 대한민국 헌정 질서의 마지막 숨통까지 끊어버리려고 한다. 반면 우리는 단일대오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