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master@ilyosisa.co.kr>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이건 아주 엄숙한 의식이니, 마음가짐을 경건히 해야 될 것이야.” 반장이 팔을 괴고 방바닥에 편하게 누우며 말했다. 이어 스라소니가 명령했다. “두 놈 일어서! 지금부터 엄살 까거나 방정떠는 새끼는 죽는 줄 알아라. 이쪽으로!” 신입 빠따 둘은 시키는 대로 관물대에 손을 짚고 엎드렸다. 이른바 신입 빠따였는데, 한 사람이 한 대씩 갈기고 삽자루를 인계하는 것이었다. 혹독한 매질을 다섯 대까지 견디던 용운은 그만 나뒹굴고 말았다. 피에로는 입술을 앙다문 채 견디고 있었으나 곧 푹 쓰러져 버렸다. “이 새끼들, 안 일어나?” 좀 어리다고 특별히 봐주지 않았다. 울어도 빌어도 그들은 마구 차고 밟았다. 맞고 뒹굴고 애걸하면서 기어이 매를 다 맞아야 했다. 하지만 그것으로 모든 절차가 다 끝난 건 아니었다. 반장이 말했다. “어때? 한바탕 먼지를 털고 나니 몸과 맴이 한결
<webmaster@ilyosisa.co.kr>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적막이 감도는 방 안에서 번들거리는 50여개의 눈동자가 문을 들어서는 두 신입의 일거일동을 뚫어지게 주시하고 있었다. 그 살벌한 공기는 퀴퀴한 마룻바닥 냄새와 더불어 당장이라도 둘을 질식시켜 버릴 것만 같았다. 피에로가 기진한 듯 소리없이 무릎을 꿇고 앉았다. 자석에 이끌리듯 용운도 따라 꿇어앉았다. 서해안 참선 “오, 들어들 왔니?” 한쪽 벽에 비스듬히 기대 있던 땅딸한 체구의 사내가 느릿느릿 입을 열었다. 거드름이 잔뜩 스민 음성이었다. “예.” “오느라구 수고했다. 괴롭지?” “괜찮습니다!” “뭘, 피곤할 텐데 다리 뻗구 편히들 앉아라.” “괜찮습니다!” “그러지 말고 다리 뻗구 편히 앉으라니까 자꾸 그러네.” “아닙니다!” “어허! 그냥 편히 앉으라니까. 괜히 우리가 미안시럽구먼.” 더 이상 사양하는 것도 상대방의 신경을 자극하는 일이라 싶었는지 피에로가 조심
<webmaster@ilyosisa.co.kr>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얼마 후 용운의 차례가 되었다. 선생은 흘끗 한번 용운을 흘겨보더니 물었다. “이름은?” “윤용운입니다.” “나이는?” “잘 모르겠어요.” “뭐라구? 임마, 너 멍청이야, 응?” 선생은 눈을 부라렸다. 기억 불명 “정말 생각이 잘 안 나요. 열두 살인지 열셋인지 가물가물하거든요.” 용운은 슬픈 표정으로 대답했다. 여덟 살에 엄마로부터 버림받은 용운은 거친 세파에 부대끼며 작은 조약돌처럼 살아왔다. 생일을 챙겨 주는 사람도 없었거니와 나이 따위를 헤아릴 겨를도 없었다. 어떤 고생을 하더라도 엄마를 찾을 생각만 했다. 언젠가 엄마를 만나면 나이는 엄마가 기억하고 있다가 가르쳐 주리라고 믿었다. “바보 같은 자식.” 선생은 한 마디 중얼거리고는 서류에다 ‘12세’라고 써 넣었다. 그 외에 대답이 분명치 않은 사항들은 모조리 ‘기억불명’이라고 속필로 써 갈기고 나더니 말했다
<webmaster@ilyosisa.co.kr>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오른쪽으로 저만큼 염전과 저수지가 보였고 작지만 논밭도 펼쳐져 있었다. 밭엔 보리가 파랗게 자라고 있었다. 초로의 아낙네가 보리밭을 매다가 호미 든 손을 이마께에 올리곤 대열을 멀건이 건너다보았다. 적막한 섬에 아마 민간인들도 사는 모양이었다. 한동안 가니 산 중턱에 삭막해 보이는 회색 건물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흙과 시멘트를 섞어 지은 1백여 평쯤 되는 길쭉한 건물이었다. 그런 건물이 헐벗은 산 여기저기에 띄엄띄엄 흩어진 채 늘어서 있었다. 적막한 섬 대열이 지나가자 그 건물들에서 수많은 수용자들이 나와 서서 구경하며 서로 뭐라고 지껄이기도 하고 희희덕거리기도 했다. 그러나 누구도 큰 소리를 지르거나 하진 못했다. 그들이라고 해서 감정을 예사롭게 드러낼 만큼 자유롭거나 신수가 훤한 건 아니었다. 아니 오히려 전체적으로 그들의 모습은 신입들보다 더 경직되고 초췌한
<webmaster@ilyosisa.co.kr>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엄마는 무척 지쳤는지 돌계단 위에 털썩 주저앉았다. 시가지를 내려다보며 또 한숨을 폭 내쉬었다. 그럴 때마다 용운은 어쩐지 겁이 나는 듯 입술을 깨물었다. 엄마와 추억 “엄마, 엄마, 저기 거미 좀 봐. 나비를 잡아먹고 있어.” 용운의 입술이 파르르 떨렸다. 생기 띤 소나무 잎새와 가지들 사이에 정교한 거미줄이 처져 나방의 날갯짓 따라 햇빛을 반사하며 흔들렸다. 엄마는 용운의 핼쑥한 낯을 바라보더니 소나무 우듬지 쪽의 물오른 가지를 꺾어 겉껍질을 벗겨내고 건네었다. 용운은 그것을 받아 하얀 속껍질을 허겁지겁 벗겨 먹었다. 송기(松肌)는 씁쓸하고 텁텁한 맛이었다. “아아, 어째야 한단 말인가? 하느님, 가련한 저희를 도와주소서.” 엄마는 노을이 진 하늘을 쳐다보며 중얼거렸다. 가족들끼리 소풍을 나왔다가 명랑하게 웃으며 하산하는 시민들을 두 모자는 부러움에 찬 눈으로 멍
<webmaster@ilyosisa.co.kr>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뱃고물 한구석에 잔뜩 웅크리고 앉은 용운은 아까부터 먼 바다에 망연히 눈길을 두고 있었다. 그는 도청 직원의 연설을 귓가로 흘려 들으며 수평선만 하염없이 쳐다보는 것이었다. 얼이 빠진 듯하기도 하고 어떤 깊은 생각에 잠긴 듯하기도 했다. 외줄타기 서커스 용운은 배에 탄 부랑아들 중에서도 어린 축에 속했다. 아마 열두어 살이나 되었을까, 쓸쓸한 표정이면서도 아직 앳된 기가 눈동자와 입술 언저리에 감도는 소년이었다. 나이답지 않게 우울한 빛을 띤 가운데 어딘지 모르게 의지가 강해 보이는 인상이기도 했다. 누추한 누더기를 걸치고 새둥지 같은 터벅머리에다 얼굴엔 때가 잔뜩 끼어 있었다. 그래도 뺨 한 구석엔 흰 살결이 살짝 비쳐 보이는 미소년이었는데, 왼쪽 눈 아래에 작고 푸르스름한 점이 하나 박혀 있었다. “얌마, 넌 쪼그만 게 마치 도통이라도 한 꼴상이구나. 넌 무섭지도
<webmaster@ilyosisa.co.kr>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이윽고 승선이 완료되었다. 부랑아들은 갑판 위에 빽빽이 줄지어 앉은 채 다시 한번 인원점검을 받았다. 그들은 모두 35명이었다. 열두어 살부터 스무 살 이하의 청소년들이 대부분이었으나 개중엔 채 열 살도 안 되어 보이는 앳된 아이나 스무 살이 슬쩍 넘은 듯싶은 청년도 한두 명 끼여 있었다. 어린애들은 고아원으로 보내는 게 정상이었는데, 열 살도 채 안 된 애들은 아마 할당된 머릿수를 채우기 위해 억지로 끌고 왔는지도 몰랐다. 35명 부랑아 배가 고동을 울리더니 육지를 서서히 떠나기 시작했다. 해풍(海風)을 타고 비릿한 갯내음이 물씬 풍겨왔다. 물결이 양옆으로 부서지면서 바다는 마치 칼부림을 당하는 생명체처럼 허연 피 같은 포말을 이리저리 튀기며 퍼덕였다. “야, 우린 지금 어디로 가는 거지?” “모르지 뭐. 바다 속에 처넣어 버리지 않으면 다행이겠지 뭐.” “씁새야,
<webmaster@ilyosisa.co.kr>
“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세상의 억울한 사람들이여, 죽음을 꿈꾸되 자살은 잠시 후에 하라. 그대 마음속 깊이 천국이 있나니… <어느 생명의 메아리>. 볕이 따스한 마당 앞의 콘크리트 축담 위에 앉아 자칭 ‘청춘노인’은 혼잣말처럼 중얼거린다. 간혹 불어오는 꽃샘바람이 허연 머리카락을 흩날린다. 무서운 외섬 “흠, 대통령이 도둑맞았다고 온 나라가 난리법석인데… 도둑질? 대체 누가 무엇을 도둑맞은 걸까? 이를테면…… 한쪽은 대한민국의 대통령 자리를…… 협잡질과 사이버 댓글 부정선거로 강탈당했다는 비분강개이고…… 다른 한쪽은 이미 당선된 여대통령의 권위와 권한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한 채…… 종북 빨갱이 세력에 의해 훼손당하고 침탈당할 수도 있다는 울분이 아니야? 흐음, 내가 잘못 봤다면 미안…” 그는 숨이 가쁜지 가르릉거리는 소리와 함께 한동안 헐떡거렸다. “그녀의 아버지 시절에도 그랬었
<webmaster@ilyosisa.co.kr>
<webmaster@ilyosisa.co.kr>
<webmaster@ilyosisa.co.kr>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