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성 비염은 공기에 있는 자극 물질이 몸에서 히스타민을 나오게 할 때 코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다. 히스타민은 코나 부비동, 눈의 연한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고 붓게 만든다.
‘계절적인 감기’는 실제로는 알레르기성 비염을 말하며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다.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은 꽃가루나 동물 비듬, 곰팡이 등이 코, 눈, 목의 점막에 닿아 생긴다. 몸의 면역계통은 이 물질의 존재를 인식하여 이들의 침범을 방해하기 위해 반응을 시작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비염의 한 형태로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나오는 코 점막의 염증으로 3세 이하의 어린이에서는 드물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점차 생기게 된다. 전 인구의 15% 이상이 알레르기성 비염을 가진다고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대개 가족이 같이 생기기도 하고, 어린이의 20%, 소년기의 15~30%를 차지한다. 천식이 있는 어린이의 75%는 역시 알레르기성 비염을 가진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세 가지 주된 증상은 재채기, 맑은 물 같은 콧물, 코막힘이다. 이외에 두통을 호소하거나, 눈물을 흘리기도 한다.
이 같은 증상에 대해 하남서울이비인후과의원 신익순 원장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것은 집 먼지와 집 먼지 속에 붙어 있는 먼지 진드기이다. 따라서 먼지가 많은 불결한 환경에서 증세가 심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익순 원장은 이어 “지난 20년간 알레르기성 비염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현대 주거환경에 의해 환기가 잘 되지 않아 생긴다고 본다. 공해도 알레르기성 비염에 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하지만 연구에 의하면 그렇지 않다. 알레르기는 흔한 질환으로 선천성, 환경적 요인, 노출되는 빈도와 형태, 정서적 상태(스트레스 등)와 아울러 다른 요인들도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에 있어 첫 번째 단계는 항원과 접촉을 피하는 것이며 치료 목적은 알레르기 증상을 줄이는 것이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인 항원과의 접촉을 피하는 방법이다. 이것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실제적으로는 무엇이 원인이 되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다른 치료법이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항원과 접촉을 피하는 것이 충분치 않다면 알레르기 약물을 사용해야 한다. 많은 약제들이 치료에 사용되는데 항히스타민제, 항울혈제, 크로몰리, 코티존 형태의 분무액 등이 있다.
신익순 원장은 “심한 증상이 나타나거나, 전에 효과를 보던 치료가 효과가 없어지거나, 치료에 효과가 없을 경우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대부분 알레르기는 쉽게 치료된다. 드물게 면역계통이 항원에 덜 민감해지면 알레르기가 없어지기도 한다. 그래서 비염 환자는 일상생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평소에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외출 후에는 반드시 손과 발, 코와 입 속을 씻어야 한다. 또한 50~60%의 적정 실내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코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