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사회팀] 민족의 최대 명절인 설, 저마다 고향을 찾는 설이면 그 어느 때보다 외로움에 가슴을 치는 이들이 있다. 자의든 타의든 북을 떠나온 실향민들은 이번 설에도 고향 생각에 밤잠을 뒤척인다. 두고 온 가족을 그리며 남몰래 베갯잇을 적시는 실향민들. 남북이 갈라진 비극의 상처는 아직 아물지 않았다.
전쟁의 포화를 피해 고향을 떠난 실향민 1세대가 있다면, 가난과 억압을 피해 고향을 떠난 실향민 2세대가 있다. 남한 사람들은 실향민 1세대와 2세대를 구분해 각각 '이산가족'과 '탈북자'란 호칭을 붙였다.
실향민 2세대
백요셉 남북대학생총연합 대표는 올해로 한국에 정착한지 5년째를 맞고 있다. 탈북자 출신 인권운동가로 알려진 백요셉은 "요즘은 개인적인 시간을 보내고 있다"며 멋쩍은 웃음을 지었다. 잠도 실컷 자고, 연애도 하고, 이리저리 놀러 다닌다는 백요셉. "남조선을 즐기고 있다"는 그의 농담에서 한결 여유로움이 느껴졌다.
"한국에 와서 얼마 동안은 공장에 들어가 생산직으로 돈을 벌었습니다. 그런데 1년이 지나고 나니까 '내가 이러려고 왔나'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남한으로 내려오면서 몇 번이나 죽을 고비를 넘겼고, 북에 가족도 남기고 왔는데…. 고작 돈 몇 푼 때문에 내가 남한으로 온 건 아니거든요. 제3국에 있을 때는 한국 땅만 밟으면 무엇이든 될 것 같았는데 정작 대한민국에서 무엇을 할지 몰랐던 거죠. 그래서 오래 전부터 하고 싶었던 공부를 하자. 이렇게 마음먹고, 꿈에 그리던 대학을 가게 됐습니다."
한국외국어대학에 입학한 백요셉은 북한인권단체인 탈북청년연합과 인연을 맺은 뒤 북한의 실상을 알리는 문화콘텐츠 기획에 열을 올렸다. 백요셉은 "아프리카 아이들을 돕기 위한 운동은 있지만 북한 아이들을 돕기 위한 운동은 없었다"며 말을 이었다.
"북한이라는 나라는 지리적으로는 가깝지만 심리적으로는 먼 나라죠. 그런데 전 북한을 직접 경험한 당사자고, 북한의 인권유린 실태를 잘 알고 있습니다. 이걸 외면한다는 게 마음 아팠어요. 그래서 영화든 연극이든 북한의 인권과 관련한 내용을 녹여보려 했는데 사람들은 다 정치적이라고 외면하더라고요."
이즈음 터진 게 그 유명한 '임수경 사건'이다. 백요셉은 당시를 회상하며 "임수경 의원도 처음에는 나를 허물없이 대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곁에 있던 사람들이 핸드폰을 뺏는 등 과잉충성을 하면서 사건이 꼬였다는 설명이다.
"그 무렵에는 연극을 준비하면서 진보적인 사람들과 주로 만났고, 정치도 전혀 몰랐는데 사람들은 '특정한 의도를 갖고 접근했다'며 매도했어요. 또 우리는 북한정권의 피해자인데 변절자라는 모욕도 당했죠. 참을 수 없었어요. 남한 국회의원도 탈북자라는 이유로 손가락질을 하는데 이젠 난 어디에 기대야 하나. 그 일이 있고 인권운동에 환멸을 느꼈었죠."
백요셉은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진보진영이 북한의 인권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안타깝지만 이런 한국의 상황을 이해는 하고 있다"고 씁쓸해했다.
"저는요. 지금까지 북한 인권을 모른척 했던 민주당도 '개새끼'지만, 이거 가지고 정치적인 이슈로 계속 이용해먹는 한나라당(새누리당)은 더 '개새끼'라고 생각해요. 오늘도 북한에서 사람들이 굶어 죽고 있는데 왜 사람 죽는 걸로 장난을 치냐 이거예요. 어떤 사람들은 북한인권법 제정하면 한반도 평화가 깨진다고 하는데, 그럼 북한사람 다 죽어도 북한정권 눈치만 보면서 북한 인권은 외면해야 하나요? 원래 진보정당이 가져가야 할 가치가 인권인데 한국에선 거꾸로 보수정당이 북한 인권을 외쳐요. 만약 민주당이 북한 인권을 말하면 탈북자들은 분명 민주당을 지지할 거예요. 우리 얘기를 대변하는 정당을 찍을 수밖에 없잖아요?"
고향 생각에 밤새 '이리 뒤척 저리 뒤척'
다 잘될 줄 알았는데…방황하는 실향민들
백요셉은 남한의 뿌리 깊은 지역갈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밝혔다. 그는 "탈북자들이 왜 지역갈등에 편승하겠냐"며 편견을 경계했다. 또 그는 "대부분의 탈북자는 남한에 정착하기 전에는 어떤 정치적 성향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왜 우리가 영호남 갈등에 개입해요. 이건 사실상 이념 갈등이죠. 홍어니, 보수꼴통이니 비하하는 것 말이에요. 그런데 이념 갈등이 아닌 사회 갈등은 나쁜 게 아니에요. 갈등을 통해 기득권을 견제할 수 있는 거고요. 그런데 제가 양보할 수 없는 건 북한이라는 괴물이 가운데 있는데 대한민국의 시스템 자체를 부정하고 이런 건 아니라는 거죠. 물론 한국사회도 부의 편중 등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요. 그렇다고 붕괴시킬 나라는 아니에요. 대통령을 끌어내려야 한다고 말할 수 있는 자유가 탈북자 입장에서는 놀라운 거죠. 무슨 부당한 일이 있으면 촛불을 들고, 자신의 의견을 당당히 말할 수 있는 사회, 이런 사회는 충분히 지켜야 할 가치가 있는 겁니다. 그래서 자유민주주의라는 우리 체제의 근간이 흔들리는 건 묵과할 수 없어요."
백요셉은 군부대의 초청을 받아 간간이 안보강사로 활약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윗세대처럼 '종북좌빨' '빨갱이 척결'과 같은 과격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했다. 대신 백요셉은 자신이 북에서 겪은 얘기를 가감 없이 들려준다고 했다. 본인이 직접 듣고 판단하라는 것이다.
"남한 사람들은 남한이 싫어서 자살도 하지만 북에 있는 사람들은 이런 남한에 오기 위해 지금도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나들고 있어요. 그리고 그들은 남한에 가면 우리 남녘 동포들이 따뜻하게 맞아 줄 거라 믿고 있어요. 그 믿음을 무너뜨리고 싶지 않아요. 그러려면 지금 남한에 있는 탈북자들이 조금 더 적극적으로 사회와 동화돼야 해요. 여기까지 와서 우리끼리 '미니 북한'을 만들면 안 된다는 거죠."
그러나 백요셉의 바람과는 다르게 아직까지 탈북자를 바라보는 많은 사람들의 인식은 옹색하다. 일례로 그는 "이주노동자 광고는 있는데 탈북자 광고는 없다"고 강조했다.
"탈북자는 대한민국 국민이긴 한데 이 사회에서 아무 것도 아닌 거예요. 애매한 위치죠. 이걸 볼 때마다 너무 가슴 아파요. 그래서 탈남하는 사람도 적지 않고요. 심지어는 저도 캐나다에서 이민제의를 받은 적이 있어요. 하지만 거절했죠. 내가 택한 조국이니까 도망치고 싶지 않았어요. 제가 잘한 거겠죠?"
내가 택한 조국
백요셉은 "탈북자들에게 어떤 위로도 되지 않는 날이 1년에 3일 있다"면서 설날과 추석, 생일을 꼽았다. 특히 지난 설에는 사람들이 다 떠나고 남은 텅빈 도시를 바라보면서 자신의 마음도 텅 빈 것 같았다고 말했다.
"그날 통일전망대에 가서 북한하고 가장 가까운 소나무에 소주만 냅다 들이부었습니다. 그런데 옆에서 어떤 할아버지가 울고 계시더라고요. 그걸 보면서 '우리도 언젠가는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런 날이 올까'라는 생각도 들었고요. 잊지 말아야 할 건 실향민이나 탈북자나 분단의 희생양이라는 거예요. 이런 불행은 우리 세대까지 유전됐지만 다음 세대로 넘겨주고 싶은 생각은 없어요. 남북 문제는 더 이상 우리가 외면할 수 없는 반드시 건너야 할 다리라고 생각합니다."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