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남선녀’ 스타커플 열전

  • 최현경 mw2871@ilyosisa.co.kr
  • 등록 2013.11.19 11:30:51
  • 댓글 0개

“올 가을 사랑에 빠졌어요”

[일요시사=사회팀] 유난히 추웠던 올가을 수많은 연예인 커플들의 열애 소식에 연예계가 뜨거웠다. 옆구리 시린 솔로들을 부럽게 만든 연예인들엔 누가 있을까.




지난 1일 ‘국민 여동생’ 배우 문근영의 열애 소식이 연예가를 뜨겁게 달궜다. 상대는 배우 김범. 둘은 MBC 드라마 <불의 여신 정이>에 함께 출연해 서로에게 호감을 갖기 시작했다.

열애설 시인

문근영과 김범은 열애설이 나자 소속사를 통해 곧바로 10월 초부터 만남을 갖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열애를 고백한 시점에 두 사람은 지인들과 유럽 여행 중으로 알려졌고, 네티즌들에 의해 여행 중인 두 사람의 다정한 모습이 공개돼 많은 이들의 부러움을 샀다.

두 사람의 열애설이 화제가 되자, 김범이 과거 이상형에 대한 발언을 한 영상이 다시 관심을 모았다.

2008년 SBS <한밤의 TV연예>에서 이상형을 묻는 질문에 김범은 “귀엽고 애교많은 여성이 좋다. 나이는 중요하지 않고 위로 10살까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이 말이 문근영을 연상시켜 눈길을 끌었다.


25살인 김범보다 2살 연상인 문근영은 KBS 드라마 <가을동화>에서 귀여운 외모로 주목을 받았다. 이후 수년간 익명으로 8억여원을 기부하는 등 연예계의 선행스타로 알려졌다.

문근영과 김범의 열애설이 보도된 지난 1일 개그맨 양상국과 탤런트 천이슬의 열애 또한 화제를 모았다. 지난 10월부터 지인의 소개로 만난 이들은 경상도 출신이라는 공통점으로 가까워지면서 연인으로 발전했다. 양상국은 평소 지인과의 모임에 천이슬을 여자 친구라고 소개하는 등 공개 데이트를 즐겨 개그맨 동료들 사이에서 이들의 교제 사실은 익히 알려진 상태였다.

뜨거운 만남 문근영-김범 
경상도 커플 양상국-천이슬

열애 소식이 전해진 다음날, KBS <연예가중계>에 출연한 양상국은 “천이슬이 예뻐서 고백했다”며 “오래오래 사랑할게. 사랑한다”는 영상편지를 남기는 등 행복한 모습을 보였다.

양상국은 2007년 KBS 22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해 <개그콘서트>에서 순박한 경상도 ‘촌놈’ 캐릭터로 인기를 끌었다. 천이슬은 KBS2 <사랑과 전쟁2>에 철없는 20대 엄마로 출연해 귀여운 외모와 볼륨감 넘치는 몸매로 주목을 받았다. 

반면 수년 동안 만남을 이어온 연예인 커플들의 열애 소식이 뒤늦게 알려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지난 9월 23일 인기그룹 클릭비였던 가수 오종혁과 티아라 멤버 소연이 열애를 인정했다.

3년째 연인관계를 지켜오고 있는 이들은 지인들과 1000일 파티를 하는 장면이 한 언론에 의해 포착됐다. 일부 팬들 사이에서는 이들의 열애가 공공연히 알려진 상태로 결혼설까지 돌았다. 


2010년 11월 KBS <스타 골든벨>에 출연해 과거 오종혁의 팬임을 고백했던 소연은 MBC <꽃다발>에 함께 출연하면서 연인으로 발전했다. 만난 지 4개월 만에 오종혁이 입대하는가 하면 소연은 ‘왕따’ 논란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서로를 격려하면서 만남을 이어왔다.

KBS <학교2013>에서 카리스마 있는 반항아의 모습을 보여준 모델 겸 배우 김우빈 또한 모델 유지안과의 열애를 고백했다. 김우빈은 모델 활동 중 만난 유지안과 연인으로 발전해 2년째 열애 중이다.

두 사람의 열애는 지난 9월 25일 김우빈이 영화 <친구2>를 촬영하기 위해 찾은 울산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이 같은 시간에 온라인에 올라오면서 밝혀졌다.

신·구 아이돌 오종혁-소연
벌써 2년 된 김우빈-유지안

털털한 성격의 두 사람은 평소 주변을 의식하지 않고 애정을 과시해 패션계에서는 이미 연인 관계로 유명했다.

모델 출신인 김우빈은 2011년 KBS 단막극 <화이트 크리스마스>로 데뷔했다. 이후 SBS <신사의 품격>과 KBS2 <학교2013> 등에서 반항아로 출연해 많은 여성팬들의 사랑을 받은 그는 영화 <친구2> SBS <상속자들,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의 주연배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유지안은 가수 브라운 아이드 소울의 데뷔 10주년 기념 디지털 싱글 앨범인 <Always be there>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지난 10월23일 개그맨 나상규와 서은미 또한 열애 사실을 인정했다. 앞선 20일 tvN <코미디 빅 리그>에서 서은미가 새 코너인 ‘겟 잇 빈티’로 톱4에 오르자 동료 개그맨들이 기립 박수와 함께 ‘나상규’를 외쳐 이들의 열애가 밝혀졌다. 이에 MC 신영일이 “시청자들이 왜 동료들이 나상규를 외쳤나 궁금해할 것”이라고 말하자 개그맨 유상무는 “혹시 개그맨끼리 사귀니?”라고 말해 이들의 열애를 확인시켜줬다. 

핑크빛 로맨스

개그계 선후배로 지내던 나상규와 서은미는 개그 아이디어를 함께 공유하던 중 2008년 11월 연인으로 발전했다. 이후 두 사람은 MBC <하땅사>의 ‘좀비’ 코너에서 헌터와 좀비로 출연했다.

열애가 공개되자 나상규는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연인 서은미에 대해 “착하고 예쁜 친구다. 저와 성격도 잘 맞는다”며 “무엇보다 이것저것 계산하지 않는 단순함이 마음에 든다”고 말해 애정을 과시했다.


최현경 기자 <mw2871@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커플 아냐?’수상한 스타들
물증 있는데도 시치미

연예인들의 사랑 고백이 이어지던 때, 일부 연예인들은 데이트 현장이 포착됐음에도 불구하고 열애를 부인하기도 했다. 가장 많은 의혹이 제기된 열애설은 14살 차이의 걸그룹 에프엑스의 설리와 다이나믹듀오의 최자다. 지난 9월26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최자, 설리 맥주 한잔 하는 중’이라는 제목의 사진이 올라왔다. 야외 테이블에 앉아 맥주를 마시고 있는 설리와 최자가 비슷한 디자인의 신발을 착용해 커플 운동화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앞서 한 언론에 의해 최자와 설리가 오전 중 서울숲 인근 주택가에서 손을 잡고 걷는 모습의 사진과 영상이 공개돼 열애설이 불거졌다. 이에 두 사람의 소속사는 “친남매처럼 사이좋게 지내는 오빠와 동생 사이일 뿐 연인은 아니다”며 입장을 밝혔다.

KBS 드라마 <구가의 서>에 함께 출연한 미쓰에이의 멤버 수지와 배우 성준 또한 지난 10월 열애설에 휩싸였다. 이들의 열애는 지난 9월 청담동의 한 일식집과 인근 술집에서 함께한 이들이 찍힌 사진에 의해 제기됐다. 사진 속의 이들은 어깨동무를 하고, 손을 잡는 등 자연스러운 스킨십을 하는 연인같은 모습이었다.

열애설이 불거지자 “친한 사이일 뿐 절대 사귀는 것이 아니다”며 열애설을 부인했다. 그러나 <구가의 서>의 한 관계자가 SNS에 수지와 성준의 열애 사실을 암시하는 듯한 글이 주목을 받으면서 네티즌들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 <경>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단독] 한의대 졸업준비위 ‘강제 가입’ 논란

[일요시사 취재1팀] 안예리 기자 = 전국 한의과대학교에는 ‘졸업준비위원회’가 존재한다. 말 그대로 졸업 준비를 위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이다. 하지만 내부에서는 “명목상 자발적인 가입을 독려하는 듯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강제로 가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졸업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는 졸업앨범 촬영, 실습 준비, 학번 일정 조율, 학사 일정과 실습 공지, 단체 일정뿐 아니라 국가시험(이하 국시) 대비를 위한 각종 자료 배포를 하고 있다. 매 대학 한의대마다 졸준위는 거의 필수적인 조직이 됐다. 졸준위는 ‘전국한의과대학졸업준비협의체(이하 전졸협)’라는 상위 조직이 존재한다. 자료 독점 전졸협은 각 한의대 졸업준비위원장(이하 졸장)의 연합체로 구성돼있으며, 매년 국시 대비 자료집을 제작해 졸준위에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의텐’ ‘의지’ ‘의맥’ ‘의련’ 등으로 불리는 자료집들이다. 실제 한의대 학생들에게는 ‘국시 준비의 필수 자료’로 통한다. 국시 100일 전에는 ‘의텐’만 보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졸준위가 없으면 국시 준비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말이 정설이다. 한의계 국시는 직전 1개년의 시험 문제만 공개되기 때문에 시험 대비가 어렵기 때문이다. 국시 문제는 오직 졸준위를 통해서만 5개년분 열람이 가능할뿐더러, 이 자료집은 공개자료가 아니라서 학생이 직접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사실상 전졸협이 자료들을 독점하고 있는 셈이다. 이 자료집을 얻을 수 있는 경로는 단 하나, 졸준위를 결성하는 것이다. 졸준위가 학생들의 투표로 결성되면 전졸협이 졸준위에 문제집을 제공한다. 이 체계는 오랫동안 유지돼왔고, 학생들도 졸준위를 통해 시험 자료를 제공 받는 것이 ‘관행’처럼 받아들여왔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반드시 결성돼야만 한다는 기조가 강하다. 학생들의 반대로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시 전졸협은 해당 학교에 문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은 모든 학생들의 가입 동의를 얻어야 가능하다. 졸준위 가입 여부는 실질적으로 선택이 아니다. 자료집은 전졸협을 통해서만 제공되기 때문에, 졸준위에 가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는다는 인식이 학생들 사이에서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학생들은 “문제를 얻기 위한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한다. 졸준위가 결성되지 않을 경우 현실적으로 문제집을 받아볼 수 있는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졸준위는 학생들의 해당 학년 학생들을 모두 가입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실제 한 대학교에서는 졸준위 결성을 위한 투표를 진행했는데 익명도 아닌 실명 투표로 진행됐다. 처음에는 익명으로 진행했지만 반대자가 나오자 실명 투표로 전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기 어렵다. 실명으로 투표가 진행되는 데다, 반대표를 던질 경우 이후 자료 배포·학년 일정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졸준위 결성, 실명 투표로 진행 가입시 200만원 이상 납부 필수 문제는 이 졸준위 가입이 무료가 아니라는 점이다. 졸준위에 가입하면 졸업 준비 비용(이하 졸비) 명목으로 학생들에게 돈을 걷는데, 그 비용이 상당하다. <일요시사> 취재 결과 한 대학교의 졸비는 3차에 걸쳐 납부하도록 했는데 1차에 75만원, 2차에 80만원, 3차에 77만원 등 총 232만원 수준이었다. 이는 한 학기 등록금에 맞먹는 금액이다. 금액 산정 방식은 졸준위 가입 학생 수에 따라 결정되는데, 한 명이라도 빠지게 되면 나머지 인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된다. 심지어 2명 이상 탈퇴하게 된다면 졸준위가 무산될 수도 있다. 이 모든 사안은 ‘졸장’의 주도 하에 움직인다. 졸장은 학년 전체를 대변하며 전졸협과 직접 소통하는 역할을 맡는다. 실제 졸장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한 명이라도 탈퇴하면 안 된다”는 취지의 발언이 오갔을 정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졸준위가 결성되면 가입한 모든 학생들은 졸준위의 통제를 받는다.<일요시사>가 입수한 한 학교의 규칙문에 따르면 졸준위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두고 있었다. ▲출석 시간(8시49분59초까지 착석 등) ▲교수·레지던트에게 개인 연락 금지 ▲지각·결석 시 벌금 ▲회의·행사 참여 의무 ▲병결·생리 결 확인 절차 ▲전자기기 사용 제한 ▲비대면 수업 접속 규칙 ▲시험 기간 행동 규칙 ▲기출·족보 자료 관리 규정 등이다. 학생들이 이 규정을 어길 시 졸준위는 ‘벌금’을 부과해 통제하고 있었다. 금액도 적지 않았다. 규정 위반 시 벌금 2만원에서 50만원까지 부과할 수 있도록 정해져 있었다.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병결이다. 졸준위는 병결을 인정하기 위해 학생에게 진단서 제출을 요구하고, 그 내용(질병명·진료 소견·감염 여부 등)을 직접 열람해 판단했다. 제출 병원에 따라 병결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공지도 있었다. 한 병원의 진단서가 획일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단체가 학생의 개인 의료 정보를 열람해 병결 여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방식은 학생들 사이에서 부담과 압박으로 작용했다. 질병이 있어도 벌금이 부과될 수 있고, 병결을 얻기 위한 절차가 학습보다 더 어렵다는 말도 나왔다. 규정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 졸준위는 대면 면담을 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3:1로 면담을 진행하는 등 학생이 위축될 수 있는 방식을 행하기도 했다. 전자기기 사용 불가 규칙 어기면 벌금도 이 같은 문제로 탈퇴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A 대학 졸준위 전체 학번 회의에서 밝혀진 내용에 따르면 한 학생은 규정에 문제를 느껴 졸준위 측에 탈퇴를 의사를 밝혀왔다. 이 회의에서는 그간 탈퇴 의사를 밝힌 학생과의 카톡 대화 전문이 학생들에게 공개됐다. 공개된 카톡 내용에는 탈퇴 과정이 담겨있었는데 순탄하지 않았다. 졸준위 측은 탈퇴 의사를 즉각적으로 승인하지 않았고, 재고를 요청하거나 면담하는 방식으로 요청을 지연했다. 해당 학생이 다시 한번 탈퇴 의사를 명확히 밝힌 뒤에도, 졸장은 “만나서 얘기하자”며 받아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 대화를 공개한 뒤 학우들에게 ‘졸준위에서 이탈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서약서를 받아내기도 했다. 졸준위 운영이 조직 이탈 자체를 문제로 판단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압박을 가한 정황이 확인되는 대목이다. 해당 학우는 탈퇴 확인 및 권리 포기 동의서에 서명한 뒤에야 졸준위를 탈퇴할 수 있었다. 탈퇴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됐다. 목격자에 따르면 시험 기간 중, 강의실 앞을 지나던 탈퇴 학생은 졸준위 임원 두 명에게 “제보가 들어왔다”며 불려 세워졌다. 임원들은 이 학생이 학습 플랫폼 ‘퀴즐렛’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며, 그 자료 안에 졸준위에서 배포한 기출문제가 포함돼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졸준위에서는 퀴즐렛에 학교 시험 내용이 있다며 탈퇴자가 보지 못하도록 사용자를 색출하기도 했다. 한편, 전졸협은 10년 전 자체 제작한 문제집으로 논란된 적이 있다. 당시 한의사 국가고시 시험문제가 학생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예상 문제집과 지나치게 유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시험이 끝난 직후 시험장 앞에서 수험생 60여명을 상대로 참고서와 문제집을 압수했고, 국가시험원까지 압수수색해 기출문제와 대조 작업에 들어갔다. 기형적 구조 문제가 된 교재는 ‘의맥’ ‘의련’ 등 졸준위 연합체인 전졸협이 제작·배포해 온 자료들이다. 학생들은 교재에 일련번호를 붙이고 신분증을 확인한 후 배포하는 등 통제된 방식으로 유통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는 “학생들이 전졸협을 통해서만 기출문제를 구할 수 있는 구조는 기형적”이라며 “국가고시를 위해 몇백만원씩 돈을 받고 문제를 제공하는 건 문제를 사고파는 것”이라고 말했다. <imsharp@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