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경제1팀] '기업은 망해도 기업주는 산다.'
잘 나가던 기업이 망했다는 소식은 심심찮게 들려온다. 그런데 망한 재벌이 '깡통'을 찼다는 소식은 들어본 적이 없다. IMF 이후 내로라하는 대기업들이 줄줄이 공중분해 됐지만 해당 기업에서 중책을 맡았던 경영진과 그 가족들은 멀쩡히 잘 살고 있다. 미리 '주머니'를 채워놔서일까. <일요시사>가 연속기획으로 잘 먹고 잘 살고 있는 '망한 기업' 수뇌부들의 현주소를 조명해봤다.
기아자동차의 역사는 국내 자동차회사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아차의 전신인 경성정공이 해방 전이던 1944년 8월에 설립됐기 때문이다. 경성정공을 설립한 고 김철호 기아그룹 창업주는 일본 현지에서 볼트와 너트 제조기술업체로 명성을 날렸던 삼화제작소를 이끌며 일본은 물론 국내까지 이름을 날리던 전문경영인이었다.
김 창업주는 이때 모은 재산 500만엔을 갖고 귀국해 경성정공을 설립했다. 45년 1월 경성정공은 자전거 부품을 생산하다가 50년 6·25 전쟁 발발로 인해 사업을 잠시 멈췄다가 52년 부산공장에서 국내 최초 국산 자전거인 '3000리호'를 완성했다. 이때부터 경성정공의 상호는 '기아산업'으로 변경됐다.
자전거→자동차
이후 기아산업은 59년 일본 혼다와 동양공업(현 마쯔다) 등과 2륜 모터싸이클 및 3륜차 생산을 위한 기술제휴를 체결하고 자동차산업에 진출했으며 3년 뒤 기아혼다 C-100과 기아마스타 K-360을 생산했다.
이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국내 최초로 일관공정 시스템을 갖춘 소하리 공장을 완공하고 기업을 공개했다.
70년대 정부는 생산은 되지만 개발은 못하던 국내 자동차업계 국산화를 위해 집중 육성시켰다. 이를 통해 기아차 '브리사'가 탄생했다. 브리사는 83년까지 총 3만1017대가 생산됐다.
같은 시기 기아산업은 대기업으로 발돋움했다. 73년 김 창업주의 타계에 따라 장남 김상문씨가 대를 이어 2세 경영인으로 등장했고 경쟁업체였던 아시아자동차공업을 인수, 군수차량 부문에 진출했으며 기아기공을 설립해 정밀부품 생산의 발판을 마련했다. 79년에는 프랑스의 푸조 604와 이탈리아의 피아트 132를 한국에 들여와 생산했다. 기아차의 시작이 됐던 자전거 사업은 이때쯤 분리됐다.
80년대를 덮친 '오일쇼크'와 정부의 '자동차공업 합리화 조치'로 인해 승용차 생산을 중단하게 된 기아차는 정부의 지시에 의해 타이탄 2.5톤과 봉고 1톤 등의 화물자동차만을 생산했다. 당시 18개사에 이르던 계열사 중 5개사를 매각할 정도로 심각한 경영상 어려움을 겪었다. 이때 등장한 인물이 기아기공 사장이던 김선홍 전 기아그룹 회장이다. 기아차는 83년 유상증자를 단행하고 일본의 마쯔다와 이토츄의 자본으로 자본금을 확충했다. 또한 봉고 코치를 통해 '봉고신화'를 이뤄냈으며 농촌 차량인 세레스 역시 성공해 어려움을 이겨냈다.
87년 '자동차공업 합리화 조치'가 일부 해제되자 기아차는 국내 최초의 월드카인 '프라이드'를 만들었다. 프라이드는 현재도 생산 중에 있으며 엔트리모델로도 사용되고 있다. 91년에는 독자모델인 '세피아'와 '스포티지' 등을 개발해 도쿄모터쇼에 출시했으며 미국에 수출하기도 했다.
기아차는 이후에도 아벨라와 크레도스 등을 내놓으며 승승장구했지만 방만한 경영과 노사갈등, 아시아자동차에 대한 투자 실패 등으로 97년 외환위기 당시 부도를 냈고, 이후 현대-대우-삼성-포드 등의 인수경쟁 속에서 98년 현대차에 합병됐다.
'구원투수' 김선홍, 집까지 날리고 철저한 은둔생활
2·3세 삼천리자전거 대주주…차 부품 회사 경영도
현대차와 가족이 된 기아차는 카렌스-카니발-카스타 등 세가지 SUV차량을 내놓으며 폭발적인 호응을 받았으며 이어 내놓은 쏘렌토와 옵티마 등도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재기의 날개를 펴기 시작했다. 현재는 세계 자동차 디자인 트렌드를 주도하는 메이커로 대변신에 성공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가장 독창적이면서 트렌드한 브랜드란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김 전 회장은 98년 부실계열사 지급보증과 회사 공금횡령 등 혐의로 4년형을 선고받아 2년을 복역한 후 2000년 형집행정지로 출감했다. 이후 마지막 재산이었던 잠실 J아파트에 살면서 북한 남포공단의 자동차 조립, 생산 기업인 평화자동차 고문으로 활동하기도 했지만 이도 곧 접었다. 이후 2004년 하반기 예금보험공사의 압류 조치로 서울 미아리 인근 북한산 자락의 32평형 아파트에 살고 있다.
김 전 회장은 어지간해선 바깥 출입을 하지 않는 편이다. 자동차 전문가 김 전 회장에게 외부 강연 요청도 간간히 들어오지만 일절 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교회장로 활동만 하고 있을 뿐이다. 올해 그의 나이 81세. 김 전 회장 측근에 따르면 건강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한다.
그의 명의로 된 모든 재산은 가압류되어 있고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도 그의 차남 명의로 되어 있다. 그의 차남 명식씨는 서강대학교 자연과학부 물리학부교수로 있다가 기아 부도 직후 영국의 한 대학으로 직장을 옮겼다. 김 전 회장의 부인 윤옥중씨는 S교회 최초의 여성 장로로 주목받았다.
김 창업주가 세상을 떠나고 김 전 회장이 취임하기 전 잠시 회사를 이끌었던 김 창업주의 장남 상문씨는 기아산업 자동차 사업부에서 분리되어 나온 삼천리자전거에 적을 두고 있다. 상문씨의 아들 석환씨가 삼천리자전거 대표를 맡고 있으며 이들 부자의 지분을 합치면 28.26%에 달한다. 석환씨는 기아차가 현대에 매각되기 전 기아차에서 경영수업을 받은 바 있다. 그의 동생 영환씨는 삼천리자전거 계열사인 참좋은레져 연구소장을 맡아 기술개발(R&D)부문을 책임지며 형에게 힘을 보태고 있다.
어디서 뭘 하나
김 창업주의 외손자 배석두씨는 자동차부품 전문기업인 세코그룹을 이끌고 있다. 세코그룹은 기아차의 부도로 위기를 맞아 지분 전부를 미국계 타워오토모티브사에 넘기고 클러치, 캠샤프트 등 다른 자동차 부품 사업에 집중했다. 세코그룹 계열사 중 캠샤프트를 생산하는 서진캠의 경우 2001년 67억원이던 매출이 2011년 1705억원으로 증가했으며 또 다른 계열사 서진오토모티브 역시 같은 기간 3배 정도 매출이 성정했다.
2010년에는 프라코가 보유한 코스닥 상장업체 에코플라스틱을 인수하고 2011년에는 현대위아로부터 아이아를 사들였다. 세코그룹은 2011년 연결기준 매출 8874억원, 영업이익 165억원을 각각 올렸다.
한종해 기자<han1028@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