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경제1팀] 검찰이 이금열 다원그룹 회장을 쫓고 있다. 지명 수배령이 내려졌고 인력이 총동원됐다. 1000억원대 넘는 회사자금을 챙기고 잠적했기 때문인데 일각에서는 '제2의 함바비리'로 비화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다원그룹이 90년대 철거 현장에서 악명을 떨쳤던 (주)적준의 계보를 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1000억원이 넘는 회삿돈을 빼돌려 달아난 이금열 다원그룹 회장은 철거용역업계 대부로 통한다. 이 회장은 철거 사업을 하며 종자돈을 마련한 뒤 시행사와 시공사를 설립, 도시개발과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뛰어들어 온갖 불법을 자행하며 거액을 챙겼다.
국내 철거용역 회사의 시초는 1986년 설립된 입산개발로 알려져 있다. 입산개발은 사당동, 돈암동, 동소문동의 철거권을 따내면서 대표적인 철거용역 회사로 성장했고 1990년 입산개발에서 일했던 용역들이 나와 적준을 세웠다. 적준은 90년대 철거용역 회사로 이름을 날렸다.
입산→적준→다원
적준에 대해서는 도시빈민여성연합,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인권운동사랑방 등 12개 업체가 모인 '적준 사법처리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가 1998년 만든 '적준 철거범죄 보고서'에 상세히 나와있다. 무려 155페이지에 달할 정도로 적준이 철거현장에서 보여준 폭력은 충격적이었다.
적준의 사원은 10여 명 안팎이지만 상시 동원 능력은 100여 명에 달했다. 여기에 300여 명 정도를 각자의 인맥을 통해 일용직으로 고용했다. 현장에는 50∼60명이 선봉대와 기습조로 편성됐다. 30∼50명씩 몰려다니며 폭력을 행사한 실행조는 철거민들이 가장 두려워했던 존재다.
1991년부터 1998년까지 적준이 서울 등 철거현장 31곳에서 저지른 폭력 사례는 밝혀진 것만 83건. 이 과정에서 2명이 숨졌고 490여 명이 부상당했다. 피해자는 모두 철거민이다. 또 주거침입, 성폭행, 성추행, 재산손괴, 방화 등은 90여 차례 저지른 것으로 나와 있다. 특히 1995년 4월 봉천6동 철거현장에서는 당시 철거대책위 위원장이던 주부 전모씨를 집단 폭행 후 팬티를 벗기는 등 성추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이 회장은 20대 초이던 1980년대 후반 철거용역의 길로 들어섰다. 이후 서울·경기 지역 재개발 예정지에 용역으로 투입됐고 적준 모 회장의 눈에 들었다. 적준 회장의 운전기사를 하던 이 회장은 1998년 적준이 다원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대표직에 올랐다. 철거용역업계 계보를 이어온 셈이다.
이후 이 회장은 폐기물업체를 추가로 만들어 철거현장 한 곳에서 많게는 수십억원에 이르는 잔재 등을 맡아 처리했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부터는 시행사와 시공사를 설립해 도시개발,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뛰어들었다. 서울 주요 개발지역 중 그의 손이 닿지 않은 곳이 없었다. 한때 국내 철거시장의 80%를 싹쓸이했을 정도다.
2006년 이 회장은 재개발 조합 및 건설사, 정치권 등에 로비를 한 혐의로 2006년 서울중앙지검 조사를 받았지만 특별한 혐의점이 나오지 않아 풀려났다. 그리고 이 회장의 범행이 시작됐다.
온갖 불법으로 거액 챙겨 '제2 함바비리?'
전방위 로비 의혹…검찰 인력 총동원 추적
지난 14일 수원지검 특별수사부(김후곤 부장검사)는 횡령·배임·사기 등의 혐의로 다원그룹 자금담당자 김모씨 등 7명을 구속 기소하고 달아난 이 회장과 동생 이모씨 등 3명을 전국에 수배했다. 검찰은 또 다원환경 운영자 정모씨를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 회장은 친동생, 처남, 육촌형 등 친·인척들을 회사의 자금담당자와 회계담당자로 앉혀 2006년부터 폐기물업체를 포함한 계열사들과 서로 세금계산 명세서를 허위로 발행해주거나 회계장부를 조작하는 등의 수법으로 회사자금 968억원을 빼돌렸다. 경기 평택가재지구 도시개발사업에서는 계열 시행사 새날을 통해 군인공제회로부터 빌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2700억원 중 134억원을 빼돌렸다. 이 회장은 이 돈을 자신의 빚을 갚는 데 사용했다.
자금 중 일부는 2007년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건설업체 청구를 인수하는 데 쓰였으며 이 회장은 청구를 인수한 뒤 청구의 자금 372억원을 횡령했다. 이 돈은 골프장 업체 인수 등에 썼다.
또 청구 직원 90명 명의로 경북 포항의 아파트 90채를 허위로 분양 받아 중도금 명목으로 은행에서 168억원을 대출받은 뒤 갚지 않은 사기 혐의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새날은 사업자금 부족으로 토지조차 구입하지 못한 상태이며 군인공제회는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청구도 자금난에 빠져 파산절차를 받는 상황이다. 명의대여자들도 대출금 채무로 신용불량자가 되거나 실종된 사람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 회장의 배임으로 새날이 자금부족에 시달리면서 다원그룹의 경기 김포신곡6지구 도시개발사업에 6500억원 상당의 PF자금을 대출해준 농협 등 금융기관 11곳이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 사업에 연대보증을 한 시공사 남광토건과 신동아건설은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새날은 조합 설립과정에서 위법행위가 드러나 결국 2011년 2월 인천지법으로부터 도시개발사업조합 설립인가처분 무효 판결을 받고 지난해 8월 도시개발구역지정이 해제됐다.
"국내에 있을 것"
이들의 범행은 다원환경 운영자 정씨가 전·현직 세무공무원 3명에게 5000여만원의 뇌물을 준 사실이 드러나면서 꼬리를 잡혔다. 정씨는 2008년 12월 이 회장 철거업체에 대한 세무조사를 원만하게 해달라며 돈을 건넸다. 검찰은 지난해 말 이 사건을 수사하는 와중에 다원그룹의 횡령 사실 등을 파악했다. 당시 돈을 받은 세무공무원들은 지난 5월 실형을 선고 받고 수감 중이다.
검찰은 지난 3월 달아난 이 회장 등 3명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취했으며 이들의 뒤를 쫓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들이 변호사를 통해 '불구속 수사를 해주면 임하겠다' '사업을 정리할 시간을 달라'는 등의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미뤄 국내에 있을 것으로 보고 검거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종해 기자<han1028@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