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강남구의 갤러리 ‘오에이오에이’는 일상의 경험이 작가의 고유한 예술 정신과 공명하는 작품을 소개하는 공간이다. 작가의 내면이 직관적으로 표현된 작품에 주목한다. 오에이오에이가 이번에 준비한 전시는 작가 안주은의 첫 개인전 ‘남을 것 What Remains’이다.

안주은의 첫 개인전 ‘남을 것 What Remains’는 생업을 위해 만든 도구나 구조물을 매개로 생의 의지와 염원에 주목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조명하는 전시다. 안주은은 기능을 다한 뒤에도 남아 있는 구조물과 도구에 스며든 삶의 흔적을 포착하고 이를 새로운 상상력으로 재구성해 ‘살아가려는 흔적’의 물리적 증거로 삼았다.
세대를 거친
안주은이 포착한 작물 지지대, 그늘막, 리어카 등의 대상은 대부분 본래 용도를 다한 뒤 기능을 잃었거나 자연의 순환 속에서 점차 해체되며 구조적인 흔적만 남은 것들이다. 시간과 환경을 견디며 스며든 노동의 흔적이자 세대를 거치며 지속된 생을 유지하려는 의지의 자취라고도 할 수 있다.
안주은은 이 같은 구조물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변형하고 구성하며 그들이 놓인 환경을 새롭게 창조했다. 거센 바람과 강렬한 태양 등 사물이 있던 실제 상황과 상관없이 극적으로 연출된 배경은 쉽지 않은 삶의 여정을 은유한다. 작가는 이를 통해 대상에서 받은 인상과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안주은이 학부 시절부터 탐구해 온 사물의 시간성과 그것을 둘러싼 관계를 기록한 16점의 작품을 소개한다. 단순 재현을 넘어 시간이 남긴 흔적을 발견하고, 그 위에 상상력을 더해 형상화하는 과정에 집중했다.
지지대·그늘막·리어카
수성 유화물감과 붓질
또 도구나 구조물이 지닌 물리적 형태뿐만 아니라 그것이 존재하게 된 배경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담아냈다.
안주은이 주목하는 것은 결국 생의 의지와 염원이 어떻게 일상의 사물을 통해 형상화되고, 또 얼마나 밀접하게 우리 삶에 맞닿아 있느냐다. 작가는 오래된 사찰이나 손때 묻은 유물뿐만 아니라 한철 버티기 위해 세웠던 가림막이나 작물 지지대에 남은 흔적에서도 동일하게 보편적인 생의 의지를 찾는다.

그리고 과거와의 접점을 통해 그것이 어떻게 진화하며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지를 탐색한다.
이런 접근은 작품의 재료와 표현 방식서도 드러난다. 수성 유화물감의 얇고 가벼운 텍스처는 구조물이 지닌 임시적이고 연약한 특성을 반영한다. 유기적이고 과감한 붓질로 표현한 주변환경은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진 가상의 공간으로 재구성됐다. 재현을 넘어 시간이 남긴 흔적과 기억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의지의 자취
오에이오에이 관계자는 “전시 제목이 암시하듯 이번 개인전은 삶의 의지나 염원이 시간이 지나도 흔적으로 남아 다른 이에게 전해지고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있다”며 “무엇이 남아 우리를 이어가게 하는가, 무엇을 남기게 될 것인가. 안주은은 이번 전시를 통해 사물에 내재된 시간성과 존재 의미를 다시금 환기한다. 앞으로 그의 작업이 삶을 바라보는 시선과 함께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할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오는 5월17일까지.
[안주은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서 서양화를 전공했다.
현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에 재학 중이다.
2022년 WWW SPACE서의 단체전 ‘커미션일지’를 시작으로 ‘TOMATO’ ‘ㅇ-ㅇ-ㅇ’ 전시 등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