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코오롱그룹 핵심 계열사인 코오롱글로벌이 보릿고개를 보내고 있다. 그룹 계열사에 알짜 자산을 매각해야 할 만큼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다. 원가 상승과 금융비용 부담으로 선순환 고리를 만드는 데 애를 먹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달 21일 ‘서초 스포렉스 토지 및 건물’을 코오롱인더스트리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총 매각 대금은 4310억원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계약금 431억원을 지급 완료했고, 오는 24일 잔금 3871억원을 납부해 부동산 매입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유동성 어려움
코오롱글로벌이 부동산 양도를 결정한 건 14년 만이다. 코오롱글로벌 전신인 코오롱건설은 2010년 11월 ㈜코오롱에 경기 과천시 코오롱타워 본관의 지분 20%를 180억원에 넘긴 바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던 코오롱글로벌이 자산 매각 카드를 꺼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코오롱글로벌은 지난달 12일 유형 자산 양도를 결정하면서 ‘재무구조 개선과 유동성 확보’를 이유로 들었다.
현재 코오롱글로벌은 불안정한 재무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말 연결기준 5538억원이었던 자기자본은 올해 3분기 기준 4537억원으로 1000억원가량 감소했다. 같은 기간 부채는 1조6670억원에서 2조5864억원으로 1조원 가까이 급증했다.
자본 감소와 부채 증가가 맞물리면서 재정건전성은 크게 악화됐다. 지난해 말 384%였던 부채비율은 올해 3분기에 559.6%로 뛰어올랐고, 차입금의존도는 34.8%에서 46.5%로 높아진 상황이다.
수익성 부진도 계속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올해 3분기 연결 매출 7098억원, 영업손실 21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7% 증가했지만 영업손익은 적자 전환했다. 비주택 부문 매출 증가가 확연했음에도 주택원가 및 금융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룹 계열사에 넘긴 금싸라기
실적·재무 동반 뒷걸음질
올해 3분기까지 누적된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손실은 각각 2조2085억원, 205억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000억원 증가한 반면, 456억원이었던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말 91.5%던 원가율이 올해 3분기 기준 94.8%로 3.3%p 높아졌다.
코오롱글로벌은 당분간 높아진 원가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창수 한국기업평가 연구원은 지난달 초 건설산업점검 보고서를 통해 “코오롱글로벌 진행 사업장들의 높은 예정원가율과 준공 스케줄을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저하한 수익성이 이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코오롱글로벌의 부진한 행보는 그룹의 후계자인 이규호 부회장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이 부회장은 올해 초 코오롱글로벌 사내이사에 공식 선임됐다. 이 부회장은 코오롱모빌리티 출범 전 코오롱글로벌 자동차부문장을 맡다가 코오롱모빌리티로 옮긴 후 1년여 만에 다시 코오롱글로벌에 복귀했다.
이 부회장은 지주사를 비롯한 그룹 계열사 지분을 전혀 갖고 있지 않아 경영 능력을 입증하는 게 필요하다. 부친인 이웅열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은 2018년 경영 일선에서 퇴임하면서 “경영 능력을 인정받지 못하면 후계자에게 주식을 한 주도 물려주지 않을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다.
언제쯤 정상화?
코오롱글로벌 경영을 총괄하는 김정일 대표이사 사장도 어깨가 무겁긴 마찬가지다. 김 사장은 코오롱인더스트리 부사장 시절 투명 폴리이미드필름(CPI) 사업총괄로서 폴더블폰 시장을 공략한 점 등을 인정받아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에 선임됐다. 코오롱그룹은 2021년 말, 김 사장을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로 내정하면서 “성과에는 반드시 보상이 따른다는 성과주의 원칙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heaty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