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최윤성 기자 = 최근 일부 지자체서 황톳길을 만들어 달라는 민원이 쇄도하면서, 맨발 길 조성작업이 최우선 정책으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도봉구청은 이달 황톳길을 조성하고 서울시 최초로 쿨링포그를 설치했으나 작동하는 건 볼 수 없었다. 황톳길 조성에 일부 주민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내비치고 있지만, 좋지만은 않은 시선도 있다.
전국적으로 맨발 걷기 열풍이 부는 가운데 ‘어싱(Earthing)’이라는 이름이 붙으면 건강에 좋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구청이나 시청에 황톳길을 만들어 달라는 민원이 쇄도하고 있다. 황톳길은 2년 새 17개서 48개로 늘었고, 서울 25개 구 중 18곳이 맨발 걷기 관련 조례를 만들었다. 서울 도봉구도 지난 19일, 창동 지역 초안산근린공원에 왕복 134m의 황톳길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어싱족 유행
도봉구는 이 황톳길에 서울시 최초로 황토의 질감을 유지하기 위한 바닥 분사형 쿨링포그를 설치했다. 폭 2m, 왕복 134m로 조성된 황톳길에는 황토족욕장과 황토볼장 등이 마련됐고, 토사·낙엽·빗물 등 이물질 유입 차단을 위한 캐노피도 설치됐다. 이 외에도 이용 편의를 위한 세족장, 앉음벽 블록, 신발장 등이 설치됐다.
앞서 도봉구는 완성도 높은 황톳길 조성을 위해 철저한 준비 과정을 거쳤다고 밝혔다. <일요시사>는 지난 24일,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 이용객들은 얼마나 있는지 등의 확인을 위해 초안산근린공원에 조성된 황톳길을 찾았다.
이날 만난 주민들은 “공원 안에 새로 조성한 황톳길 이용 편의 시설물엔 만족한다”고 입을 모았는데, 쿨링포그 작동 여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는 듯했다.
오후 3시께 창원초교 오거리에 있는 초안산근린공원 입구는 부쩍 선선해진 날씨로 잠시 산책 나온 주민들과 반려견을 데리고 나온 주민이 눈에 눈에 띄었다. 입구 안쪽으로 들어서자 안내표지판과 함께 오르막길로 형성된 산길이 나왔다.
안내표지판에는 새로 조성된 황톳길에 대한 표시가 없어 도봉구청 누리집에 나와 있는 ‘창동 677번지’라는 정보만으로 찾아야만 했다.
오르막길 중간에 도달했을 때쯤 입구로 내려가고 있는 한 주민에게 황톳길 위치를 묻자, 고개를 갸웃거리며 “처음 들어본다” “그런 곳이 있는지 몰랐다”는 등 반응을 보였다.
도봉구 첫 쿨링포그 설치
“작동하는 건 본 적 없어”
해당 공원서 산책 중이던 몇몇 주민들에게 추가로 물어봤지만 돌아오는 답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조성된 지 얼마 되지 않아 모르는 이들이 있었다. 결국, 인터넷 포털 검색을 통해 창골 운동장 옆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창골 운동장에 다다르자 황톳길 입구에는 ‘초안산근린공원 맨발 황톳길’ 표지판이 세워져 있었다. 도착한 시각에는 주민들의 발길이 드문드문 이어졌다. 이미 황톳길을 걷는 주민이 보이는가 하면, 세족장서 발을 씻고 들어갈 준비를 마친 주민도 하나둘씩 보였다.
기자도 세족장서 발을 씻은 뒤 직접 황톳길에 진입했다. 하지만, 황토 특유의 질퍽한 느낌을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딱딱한 아스팔트 도로 위를 걷는 듯했다.
특히 햇볕이 드는 구간은 열기로 인해 물기가 증발한 탓에 돌처럼 굳어 있었다. 앞서 도봉구가 황토의 질감을 유지하기 위한 바닥 분사형 쿨링포그를 설치했다고 밝혔지만, 이날은 작동하고 있지 않았다. 쿨링포그가 작동되는 시간 정보는 안내돼있지 않아 알 수 없었다.
이후 그늘진 곳의 황토는 달랐는데, 질퍽한 물기로 인해 미끄러워 한 발 한 발 조심히 내디뎌야 했다. 앞에 걸어가던 한 부부는 손을 꽉 부여잡고 서로 지탱해주며 조심스레 발걸음을 옮기는 모습이었다.
황톳길 앉음벽서 휴식을 취하고 있던 주민 A씨는 “(황톳길이)조성되고 나서부터는 매일같이 나오고 있다”며 “맨발로 걸으니까 건강해지는 듯한 기분이 들어 좋다”고 말했다. ‘쿨링포그가 설치된 건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설치된 건 알고 있는데, 작동하는 건 본 적 없다”고 답했다.
공원 인근에 거주한다는 B씨도 “황톳길이 만들어졌다고 해서 자주 찾고는 있는데, 쿨링포그가 언제 나오는지는 모른다”고 말했다.
이날 공원서 만났던 주민들은 황톳길 조성에 대체적으로 만족한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쿨링포그가 작동되는 모습은 본 적 없다고 이구동성했다.
도봉구청 한 관계자는 “쿨링포그는 기본적으로 시간이나 온도를 고려한 타임로그에 맞춰 작동하고 있다”며 “주민들의 민원이 들어오거나 변수가 생기면 그때마다 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평상시 관리 어려워
“폭우 때 이용 못해”
황톳길 조성에 주민 대다수가 긍정적이지만, 조성 비용 및 시설 유지 관리에 만만찮은 돈이 들어가 좋지만은 않은 시선이다. 황톳길을 만드는 데 비용이 수십억원가량 들어가는 데다 침수나 폭우 때마다 유실된 황토를 다시 채워 넣어야 하는 탓이다.
동대문구는 황톳길을 550m 까는 데 10억원이 들었고, 마포구는 추가경정예산 5억원을 확보해 부엉이근린공원에 황톳길을 조성할 예정이다. 서대문구는 8억5000만원짜리 인공 황톳길을 만들려다 “멀쩡한 흙을 왜 뒤엎느냐”는 인근 주민의 반대로 사업을 취소하기도 했다.
황톳길은 평상시 관리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덮개를 덮어도 비만 오면 빗물에 쓸려나가며, 반대로 너무 건조하면 황토는 바람에 날아간다. 담당 공무원이 비나 눈이 내릴 때마다 비닐이나 방수포로 덮어두지만, 양이 많을 경우는 그야말로 속수무책이다.
반대로 수분이 증발해 황토가 딱딱하게 굳어지면 맨발 접촉 시 부상의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도 있다. 또 습진이나 무좀 등 피부병 질환을 막기 위해 주기적인 소독 및 황토를 갈아줘야 한다는 번거로움도 존재한다. 이를 위한 황톳길 전담 인력 및 예산 확보는 덤이다.
일각에선 건강에 좋다는 뚜렷한 의학적 근거도 없는데 민원 요청에 등 떠밀려 추진된 사업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막대한 비용
도봉구청 관계자는 “현재 황톳길 관리는 비가 오면 직원들이 비닐을 치는 작업을 하고 있고, 폭우로 너무 심하면 이용을 잠깐 멈추고 있다”며 “주민들 수요가 점차 많아지고 있고, 건강이나 정신적으로 도움이 많이 된다고 해서 건강 관리 측면서 조성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yuncastle@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