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대구 중구 소재 봉산문화회관은 2008년부터 ‘유리상자-아트스타’ 전시공모 선정 작가전을 진행하고 있다. 동시대 예술의 새로운 시각과 담론을 보여주겠다는 취지다. 올해 유리상자 전시공모 첫 번째 전시는 신예진 작가의 ‘열 명의 나무 가운데 한 아이가 있어요’다.
신예진 작가는 2022년 공모 주제 ‘공간으로부터’에 대해 숲속 생명체와 교감하던 어린 시절 자연에 관련된 기억을 바탕으로 현대 도시의 산업화, 재개발 등 폭력적인 환경서 진화하게 될 미래 자연의 형태를 글라스 큐브에 박제하는 방법으로 표현했다.
산업 문명
전시실 바닥, 제기 형태를 가진 백자 더미는 나무나 돌과 같은 원석으로 보이고 그 위에 개구리, 나비 등을 전사한 후 돌 위에 나무, 나무 위에 돌을 쌓아 산을 만들었다. 세라믹 탑은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을 그리며 열주를 이루고 그 중심에 우직하게 서 있는 나무 한 그루는 기계장치를 밑동에 품어 스스로 진화해 수천년의 세월을 버티도록 했다.
엔진 장치를 이식받아 위협적인 모습을 한 미래의 나무는 양분을 저장하고 퍼트리는 일을 더 잘하는 우월한 ‘어머니 나무’가 됐다.
수잔 시마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삼림생태학 교수의 “어머니 나무는 자신의 자녀가 유리한 위치서 시작하도록 출발선을 당겨주지만 자손을 위해 마을이 번창하도록 가꾸는 일도 잊지 않는다”는 말을 시각화했다.
또 전시 공간 안에 우드 와이드 웹을 설계해 숲을 조성했다.
전체적인 모습은 장승과 노거수를 옆에 두고 돌무더기에 서낭신을 모시는 서낭당과 닮아 다음 세대에도 취람이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제단을 쌓은 듯했다.
폭력적 환경서 진화할
미래 자연의 형태 박제
내부에는 산란기의 개구리 울음소리가 번성을 기원하는 주술처럼 퍼지고 관람객은 리모컨을 이용해 전시 공간 안 여백을 안개로 채워 신성한 공간을 감상하는 방법으로 제단 쌓기에 동참할 수 있다.
신예진은 “전시장 한가운데에 거대하게 박제돼 명확히 어떤 것인지 설명할 수 없는 존재를 마치 실재하는 나무의 형상으로 보이다가도 생물의 한 부분 같기도 한 알 수 없는 형태로 설치했다”며 “자연사 박물관에 있던 공룡의 뼈대를 감상하며 그 뼈대 위에 살을 붙이고 생명을 불어넣던 어린아이의 마음으로 설치한 대형작품은 가동을 기다리며 숨죽이고 있는 미지의 생명을 연상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김성호 미술평론가는 “신예진이 구현한 자연풍경은 ‘산업 문명을 받아들인 자연’을 가정하고 그것이 어떻게 변화할지를 무한대로 상상하고 실험하는 사회생태학적 사유의 장”이라며 “자연목, 자연의 디지털 이미지가 새겨진 세라믹, 도형과 입방체로 전환된 자연, 나무의 심장처럼 자리한 자동차 엔진, 조명, 안개 장치와 더불어 신묘한 사운드 장치로 구현된 숭고한 제단 형식은 이 같은 사유를 상징적으로 드러낸다”고 말했다.
자연의 수긍
신예진은 이번 전시를 통해 “‘자연이 인간과의 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계문명을 받아들인다면?’이라는 질문을 던지고 현재의 우리가 자연과의 미래를 생각할 때 근본적인 문제와 답을 함께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jsjang@ilyosisa.co.kr>
[신예진은?]
▲학력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조소과 졸업
국립 창원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개인전
‘자연선택…∩하게 진화했다’ 박수근미술관(2023)
‘자연13BL 지역 재개발. 정비사업 프로젝트 : Pre-Design’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2022)
‘자연(自然)스러운 설계’ 김해문화의전당 윤슬미술관(2021)
‘감촉의 또 다른 시선’ 갤러리 이즈(2013)
‘감각의 시간 - 감촉으로 재구성한 사물’ 갤러리비원(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