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치 어려운 ‘만성 신부전증’

당뇨·고혈압 있다면…

만성 신부전증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돼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병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세계 콩팥의 날(3월10일)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만성 신부전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19만1045명에서 2020년 25만9694명으로 6만8649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8.0%로 나타났다.

70대 최다

남성은 2016년 11만7449명에서 2020년 16만1138명으로 37.2%(4만3689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7만3596명에서 2020년 9만8556명으로 33.9%(2만4960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만성 신부전증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5만9694명) 중 70대가 29.4%(7만637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3.8%(6만1900명), 80세이상 22.0%(5만7039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7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9.7%로 가장 높았고, 60대 25.2%, 80세 이상 19.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70대 28.9%, 80세 이상 26.7%, 60대 21.6%를 차지했다.

박경숙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7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만성 신부전증은 노화 및 당뇨,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의 진행이 주요 원인이다. 우리나라에서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년인구가 증가하고, 65세 이상의 고혈압 및 당뇨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70대 만성 신부전증 환자의 증가를 야기시켰다고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인구 10만명당 만성 신부전증 질환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506명으로 2016년 376명 대비 34.6% 증가했으며, 남성은 2016년 461명에서 2020년 626명으로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291명에서 2020년 385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만성 신부전증 질환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이 3216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80세 이상이 5025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3063명, 60대 273명 순이며, 여성은 80세 이상이 2265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1512명, 60대 631명 순으로 나타났다.

만성 신부전증은 당뇨병과 고혈압, 비만, 흡연, 50세 이상의 고령, 다낭성신증 및 만성 사구체신염, 반복되는 신장 감염, 신장절제술의 과거력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만성 신부전증의 주요 원인은 당뇨, 고혈압, 만성 사구체신염 순이며, 당뇨환자의 경우 약 40%에서 만성 신부전증으로 진행이 될 수 있다.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어 병을 인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자각 증상이 생겨 만성 신부전증을 진단받은 후에는 상당히 진행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환자 4년 새 36% 증가
4명 중 3명 60대 이상


만성 신부전증의 특징적인 증상을 꼽기는 어렵지만 첫 번째, 소변에 거품이 보이거나, 소변에 많은 양의 단백이 보이면 신장병을 의심해야 한다. 또한, 혈뇨가 보인다면 방광염 등의 요로 감염, 요로 결석, 종양, 사구체신염 등의 원인 질환이 숨어 있을 수 있으므로 빠른 시간 내에 신장내과 진료를 받길 권고한다. 다만 거품뇨와 모든 단백뇨를 동일시하면 안 된다. 붉은색 소변도 약물복용, 색소가 포함된 음식 섭취, 근육 세포 손상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변 색의 변화만으로 너무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두 번째, 갑자기 소변 보는 횟수가 증가하거나 야간뇨가 있을 때 여자의 경우 방광염, 남자의 경우 전립선 질환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진행된 만성 신부전의 경우에도 야간뇨 및 빈뇨를 보일 수 있어 신기능의 확인이 필요하다.

세 번째, 간헐적인 옆구리 통증은 신장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증상은 아니다. 다만 신장 혹은 요로의 염증이 있는 경우 신장 결석, 신장동맥 또는 정맥의 폐쇄, 종양 등이 연관 있을 수 있다. 통증의 부위나 양상 및 정도에 따라 다른 질환인지 감별을 요하므로, 전문의와 상의하도록 한다.

네 번째, 부종의 경우 드물지 않은 현상으로, 부종을 유발하는 원인에 따라 다양한 대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전신이 붓는 경우라면, 신장·심장·간·갑상선 질환 및 복용 약제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신체 일측의 부종의 원인으로는 혈액·림프관 순환 장애 등이 원인일 수 있다. 전신 부종의 정도가 심하고, 지속된다면 신장 기능의 확인이 필요하다.

당뇨, 고혈압, 비만, 흡연으로 만성 신부전증의 위험이 증가하는 만큼 저염 및 규칙적 식사, 주 3회 30분 이상의 꾸준한 운동, 금연, 절주를 하는 생활 습관으로 만성 대사성 질환이 발생할 위험을 줄이는 게 만성 신부전증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미 만성 신부전증의 발생원인 인자(당뇨, 고혈압, 만성 사구체신염)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신장 기능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것이 신장 건강 관리를 하는 첫걸음이다. 발생 원인 질환이 없다 하더라도, 위에 열거한 증상이 발생했을 경우 적극적인 신장내과 진료 및 신기능 확인을 통해 신장 건강을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저염, 운동…

초기에는 거의 나타나는 증상이 없고, 자각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이미 신기능 악화가 상당히 진행됐을 확률이 높다. 잔여 신기능이 10% 미만으로 만성 신부전이 진행되었을 경우 약물치료만으로는 호흡 곤란 및 전해질 불균형, 빈혈 악화로 인한 전신 쇄약을 개선할 수 없어 일상생활의 유지가 어렵다. 이런 경우에는 신대체요법(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을 진행해야만 한다.

<webmaster@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단독] ‘채 상병 사건’ 사단장 수상한 메시지 내막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김철준 기자 = ‘채 상병 사건’의 핵심 관계자인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여러 차례 연락을 취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신의 사건을 언급하면서 사실관계를 확인하려 한 게 핵심이다. 임 전 사단장과 연락이 닿은 인물들은 대부분 이해관계자다. 자칫하면 회유 정황으로 보일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임성근 전 해병대 제1사단장은 ‘채 상병 사건’의 핵심 피의자다. 수사외압 논란의 시발점이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직접 챙긴 인물이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의 수사 대상인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사건을 물밑에서 알아보기 시작했다. 시종일관 침묵을 지키다 왜 움직이기 시작했을까? 침묵 지키다… 임 전 사단장은 최근까지 복수의 해병대 간부들과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는 간부 A씨에게 “(공수처)수사가 종결되지 않은 상황서 괜한 오해를 살 수 있어서 연락하지 못했다”며 “어떻게 지냈는지 궁금하다”고 했다. “미안하다”는 사과의 말은 없었다. 다만 “모두가 상상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도 겪고 있지만 아들을 잃은 채 상병의 유족 특히 모친의 고통을 생각하면서 버티고 있다. 진실을 밝힐 때까지는 고통스러워도 견딜 생각이다. 후배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은 다 하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전했다. 임 전 사단장은 A씨에게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하 대령)의 변호인이었던 김경호 변호사에게 내용증명을 보낸 것과 관련해 민·형사 소송을 준비 중이라며 도움을 요청하는 뉘앙스로 연락을 취했다. 김 변호사가 자신을 고발한 게 무고에 해당하는지와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한 것이다. 그는 타 간부들에게도 비슷한 도움을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간부는 <일요시사>와의 연락서 “난감해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모셨던 사람이긴 한데 임 전 사단장에 대해 개개인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모든 사람이 채 상병 사건 진상규명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전 사단장은 과거 박 대령에게도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바 있다. 자신은 물속 수색을 하지 말라는 지시를 수차례 했고 작전통제권이 육군 50사단장으로 넘어간 상황서 자신의 책임과 범위 내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했다며, 이에 대한 박 대령의 기억과 판단을 요청하는 내용이었다. 공수처 수사 대상인데… 사건 연루자들에 연락 당시 임 전 사단장은 “상급지휘관(임 전 사단장)에게 작전통제권은 없지만, 부대를 방문해 전술토의할 수 있고 효율적인 작전이 되도록 유도할 권한은 있다”고 했다. 작전통제권이 없어 안전 책무가 없다면서도, 자신이 현장서 ‘수변을 수색하라’고 지휘한 건 직권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취지다. 이런 이유로 임 전 사단장은 자신의 직권남용 문제를 언급한 해병대수사단의 조사 결과 보고서가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해병대 수사단은 임 전 사단장의 직권남용 혐의를 적시하지 않았다. 수사단은 ‘작전통제권과 상관 없이’ 임 전 사단장을 실질적 수색작전 지휘관으로 보고, 안전지침을 부대에 하달하지 않아 채 상병 순직사고가 일어났다고 판단했다. 임 전 사단장은 김 변호사와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법적 대응까지 예고했다. 김 변호사가 SNS에 게시한 글 중 허위 사실이 포함된 내용이 있다는 게 임 전 사단장의 주장이다. 그는 김 변호사에게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한계 속에서 해석과 이해를 거쳐 어떤 주장을 하는 것에 관해서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도 같은 주장을 반복하는 것은 악의적이라고 생각한다”며 “해병대 수사단 자료의 문제점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발견됐고, 제가 사안의 진상을 밝히면서 그걸 뒷받침하는 자료를 제시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허위가 여론을 조작하고 진실을 가리는 불의한 상황을 시정하기 위해 나 자신의 안위는 돌보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을 공수처에 세 번째로 고발했다. 이번 혐의는 군형법 제79조 무단이탈죄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임 전 사단장은 지난 1월 말 서울 노원구에 있는 화랑대연구소가 아닌 영등포구에 위치한 해군 관사 ‘바다마을아파트’에 거주하며 인접한 해군 재경근무지원대대 사무실로 출근 중이다. 마음 급해졌나…어떤 의도? 갑자기? 특검 압박 느꼈나 이 사실은 그가 여러 곳에 자신이 결백하다는 취지의 문서를 내용증명, 등기우편 등으로 보내면서 드러났다. 등기 봉투의 발신지는 화랑대연구소였으나 배송 조회 결과 실제 발신지는 서울 신길7동 우편취급국이었다. 임 전 사단장이 거주 중인 서울 관사 인근이다. 발송 시간도 대부분 일과시간 직전이나 일과 중이었다. 임 전 사단장은 언론을 통해 “연수 초기에 육사에서 주로 근무했으나 장거리 출퇴근 비효율적이라서 최근엔 해군재경대대서 근무 중이다. 근무 장소 중 하나가 해군 재경대대”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김 변호사는 “정책 연수의 일시와 출퇴근 시간 및 장소가 명령으로 특정된다. 인사명령의 지정된 장소서 지정된 출퇴근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며,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 인사명령이나 상급기관의 지휘관에게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최근 자주 번호를 변경하는 임 전 사단장의 핸드폰을 압수수색해 무단이탈한 장소와 상급지휘관인 해병대 사령관에게 정식으로 사전에 허가를 받았는지에 관한 진실을 밝혀 강력히 처벌해 달라는 취지”라고 전했다. 김 변호사는 “임 전 사단장이 해병대 간부들에게 연락을 취하는 행동이 증거인멸 시도로 볼 수 있다”며 “자신의 책임을 부정하기 위해 메시지를 보내며 같이 책임을 면하자는 회유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공수처는 지난 1월부터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와 경찰 이첩 과정서 외압이 있었는지에 대해 강제수사를 착수해 왔다. 박 대령에게 사실확인요청서를 보낸 것에서 임 전 사단장이 적극적인 책임 회피에 나섰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현재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정치권서 ‘채 상병 특검’ 목소리가 커지자 조용했던 임 전 사단장이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적절한 처신 한 해병대 간부는 “전우의 죽음 이후 형평성에 어긋나거나 석연치 않은 윗선의 처리는 진상규명 문제를 떠나 정치권 개입을 불렀다”며 “도의적 책임도 지지 않고 자리를 지키는 일부 작자들의 행동으로 인해 해병대 전체의 명예가 실추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임 전 사단장은 <일요시사>가 사건 관계인에 연락한 이유에 관해 묻자 "사건 관계인에게 연락한 것은 사실 확인을 위한 것일 뿐"이라고 답했다. <hounder@ilyosisa.co.kr> <kcj512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