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충북 청주시 소재 쉐마미술관에서 이명화(대전시실)·손미량(소전시실)의 개인전을 준비했다. 이명화는 식물 ‘엉겅퀴’를 소재로 자연의 순리를 표현했다. 손미량은 본질을 찾기 위한 독자적인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중이다.
쉐마미술관은 서양화가 김재관 교수가 설립한 충북 1호 미술관이다. 지역 내 젊은 작가에게 다양한 현대미술의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와 함께 사업을 추진하는 공공미술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무위자연
▲이명화 ‘The age flowers’= 이명화는 주로 자연 속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을 두고 구상적 풍경과 정물을 주제로 작업했다. 그러다 수많은 잡초 중 하나인 ‘엉겅퀴’를 보게 된다. 엉겅퀴는 모든 꽃이 그렇듯 흙에서 싹트고 자라나 꽃을 피우고 자신의 홀씨를 날려 보내 다시 흙에 정착, 한 해의 생명을 다하는 생태적 과정을 갖는 식물이다.
이명화는 이런 엉겅퀴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고 외형적 이미지의 표현에서 내면적 시각의 관점으로 다시 관찰하면서 표현 방법도 변화시켰다. 엉겅퀴의 생성과 소멸이라는 자연의 순리를 삶의 모습에 대입해 표현한 것.
그의 초기 작품은 대상의 사실적 묘사에서 시작해 대상의 이미지를 미적으로 실현하는 방식으로 구성됐다. 그리고자 하는 대상을 통해 자신의 생각과 삶의 현상을 엉겅퀴에 투영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재현하고자 했다.
잡초 소재로 자연 순리
“생명성 느낄 수 있어”
스위스 화가 파울 클레는 “예술이란 눈에 보이는 것의 재현이 아니며,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화는 자신의 눈으로 볼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를 재현한 것은 물론 마음으로 느낀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있다.
그의 표현 기법과 형식은 ‘사실적 표현’ ‘드로잉적 표현’ ‘이미지의 해체적 표현’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전통적인 서양화의 사실주의와 신인상파 표현기법에 얽매이지 않고 이미지의 배경과 공간을 소중하게 처리한다.
한영애 큐레이터는 “마치 동양사상의 무위자연 정신을 차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실주의 회화가 입체적으로 보이는 시각적 진실의 환영을 만들려고 시도했다면, 이명화의 작품은 환영적 이미지의 표현보다 ‘일루전’으로 해석된다”며 “동양화의 관념적 산수화처럼 여백의 미를 중시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중시하는 자연의 생명성을 엿볼 수 있게 하는 특징이 발견된다”고 덧붙였다.
이명화와 엉겅퀴는 작가와 대상이라는 대립적 대상이 아니라 엉겅퀴라는 자연 속에 존재하는 주제와 자아를 동양의 예술 정신과 합일함으로써, 삶의 본질과 나아가 존재의 물음에 관해서도 이야기하고 있다.
쉐마미술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는 올해 마지막 전시로 이명화의 독자적 양식으로 표현되는 엉겅퀴를 통해 작가만의 주관적 생명과 감정으로 새롭게 표현된 생명성을 느껴볼 수 있는 전시”라고 밝혔다.
▲손미량 ‘Reverse-마음을 움직이는 순간’= 한영애 큐레이터는 “현대미술 작가는 자기 작품을 특정한 언어의 구조로 재구성해야 한다. 예술가의 능력은 대상 또는 생각을 직관으로 인식하고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며 “예술은, 특히 미술은 외부적 현실과 작가 자신의 내면적 세계를 순화하고 단순화시키면서 내적 세계의 법칙에 의해 새롭게 구성하고 그 본질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미량은 이 같은 본질을 찾기 위한 독자적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는 중이다. 그는 스마트폰 같은 매체가 등장하기 이전까지 흔히 볼 수 있던 사진의 원판이나 카메라 필름의 네거티브 한 이미지에서 작품의 형식을 캡처한다.
반대로 보이는 명암
“몽환적 세계 감상”
필름의 원판은 인화된 사진과는 정반대의 명암으로 이미지가 보이게 된다. 손미량의 작품은 구성적 이미지이지만 네거티브로 구성됐기 때문에 전통적 구상 회화에서의 원근법, 명암 등이 모두 불필요하다.
손미량은 명암을 보기 위해 컴퓨터로 흑백 전환을 했다가 우연히 네거티브된 화면의 신비한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정반대로 보이는 명암의 현상’ ‘보색으로 뒤바뀐 이미지의 회색 현상’을 목도하면서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한 기쁨 같은 즐거움에 빠졌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이런 네거티브 작업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나름의 기법을 창안하려 고심했다.
예를 들어 보색의 색상을 제한해 회색빛이 발산하는 세계를 구현하려 했다. 또 기법적으로 그레이징, 스푸마토, 스컴블링, 그리자이유 같은 전통적인 타블로 기법을 그대로 적용해 이미지를 살리려 했다.
보색의 세계
쉐마미술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 손미량이 순화하고 단순화시킨 네거티브의 몽환적 세계를 감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다음달 23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