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현대화랑이 ‘문자도, 현대를 만나다’ 전시를 준비했다. 이번 전시에서 현대화랑은 조선시대 문자도 11점과 문자도를 새롭게 재해석한 현대미술가 박방영, 손동현, 신제현 3인의 작품 13점을 선보인다.
현대화랑은 2018년 ‘민화, 현대를 만나다’ 전시에서 ‘화조’를 재조명해, 민화계와 일반 애호가에게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현대화랑은 그 후속으로 ‘문자도, 현대를 만나다’ 전시를 소개한다.
효제충신
조선시대 선조들의 삶 깊숙이 스며들었던 문자도는 그들의 염원과 희로애락이 고스란히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이번 전시는 한자를 활용한 동아시아 문자도 중에서도, 유교의 덕목인 ‘효제충신예의염치(孝悌忠信禮義廉恥)’ 8자를 그린 독특한 문자도에 주목했다.
효제충신예의염치의 유교 윤리를 바탕으로 제작된 다양한 문자도는 18세기 성행하며 서민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유교 덕목을 알리기 위한 교화적인 목적으로 제작됐지만, 각 지방의 문화와 결합돼 지방의 예술로 확산됐다.
19세기 후반에는 장식화의 경향을 보이며 점차 조선시대 생활미술을 대표하는 장르로 자리 잡았다.
이번 전시는 대부분 작자미상으로 알려진 민화 중에서도 ‘갑오춘서’(1984년)라는 제작 시기와 ‘조선 의주에 사는 장인선’이라는 제작자가 정확하게 명시돼있어 주목받는 ‘백수백복도’로 시작한다. 복(福)자와 수(壽)자를 번갈아 100번을 반복해 구성한 이 작품은 ‘오래 사시고 복을 누리시라’는 수복의 의미를 담고 있다.
10폭으로 이뤄진 이 병풍은 기존의 다른 백수백복도보다 모던한 파스텔톤을 써 폭마다 다르게 구성했다. 작가와 제작연대, 그리고 제작지를 명확하게 밝힌, 민화사에 중요한 획을 긋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조선시대 작품 11점
3인의 재해석 13점
각 글자는 수복을 상징하는 동물이나 기물을 기하학적으로 도안해 그려 장식성뿐만 아니라 수복의 상서로운 의미를 나타낸다. 색판화의 느낌을 강하게 주고 있지만 실제 그린 것으로도 보인다. 글자를 이용해 뜻을 전달하는 것과 더불어 회화로서도 완성도가 높다.
이어지는 작품은 조선시대 민화임에도 현대적인 화조화 패턴의 타이포그래피를 연상시키는 문자도로, 이번 전시의 대표작이자 풍부한 회화성과 세련된 미감이 돋보이는 명작으로 평가된다.
김기창, 김종학 등 전통 미감을 현대적으로 살린 대표 작가들이 소장했을 정도로 탁월한 회화 미감을 보여준다. 자획을 상형으로 꾸미던 전형적인 양식을 탈피해 소재의 상징 내용보다 꽃의 장식성을 한 폭의 추상화처럼 단순화시켰다.
문자 내부에는 모란, 연꽃, 국화, 매화, 해당화 등 전통 꽃그림의 대표 상징들이 빠짐없이 표현돼있어, 효제충신예의염치라는 유교 윤리를 아름답게 구성했다.
각 글자는 전형적인 문자도와 달리 도자기를 연상시키는 매끄러운 유엽전과 날렵한 건축물 같은 상방대전의 전서를 조합해 전통시대의 조화로운 상상력을 시대를 관통하는 미감으로 구현했다.
2층 공간에는 기본적인 효제문자도를 바탕으로 제주도의 자연과 토속적인 문화가 적극 반영된 ‘제주문자도’가 걸려 있다. 제주문자도는 바다와 섬, 하늘을 연상시키는 3단 구성을 취하고 있다.
상단과 하단에 제주도의 자연환경이 담긴 건물과 기물이, 중앙에는 새나 물고기의 형상을 띤 문자가 배치됐다. 제주도식으로 변용된 제주문자도는 조선시대 유교문자도가 전국으로 확산되고 각 지역의 토속적인 문화와 결합해 지방예술로 자리매김한 양상을 보여준다.
꽃과 2층 사당, 식물과 새, 일월과 대나무, 모란과 색, 황색과 적색모란으로 상단을 꾸미고, 효제충신예의염치 8자 안을 화조·초충·물고기 등으로 꾸며 형식의 화려함을 재단한 제주문자도가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민화, 현대를 만나다’ 후속
백수백복도·제주문자도 공개
물고기와 대화하는 듯한 충 자의 새는 글자를 장식한 화훼초충도와 획 사이를 날아다니면서 제주가 지닌 섬의 자유 미감을 표출하고 있다. 하단에는 제주도의 바다를 상징하는 물고기들이 따로 혹은 함께 어우러져 화폭 안을 자유롭게 유영하며, 양 끝단에는 각각 나비와 모란을 새와 함께 배치해 화폭 중간의 주가상, 초충도 등과 어우러지게 했다.
오방색을 크레용으로 끄적거려 놓은 듯한 제주도 특유의 천진난만함을 구조적 안정감 속에서 보여주는 빼어난 작품이다. 해서체의 자유로운 변용을 통해 육지문자도에 비해 형식의 독특함을 추구하고 있으며, 오방색을 다채로운 변용을 통해 사물과 문자를 대등한 듯 다르게 배치한 선적 예술의 극치를 보여준다.
각 전시공간에는 문자도의 창의적인 해석을 모색한 3인3색의 작업이 조선시대 문자도와 함께 펼쳐진다. 손동현은 문자도라는 전통적인 소재와 그래피티와 같은 현대적인 주제를 결합시켜 동양화의 관습적인 경계를 허물고 동시대적으로 재해석했다.
박방영은 인간 삶의 이야기를 일필휘지의 필법과 상형그림으로 그려냈다. 또 이번 전시의 대표작인 화조문자도를 오마주하고 천하게 여겨지던 민화의 가치를 새로운 인식 속에서 다시금 생각하게 하는 신제현의 작업이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예의염치
미술평론가 안현정 박사는 “이번 전시는 문자도를 개념적으로 이해하던 방식에서 탈피해 눈의 직관에 따라 근대 미술의 독특한 미감을 보여주는 창의적 스타일을 강조했다”며 “형태와 재미에 있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신비하고 독특한 개성미를 제시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현대화랑 관계자는 “문자도, 현대를 만나다 전시를 통해 한국 미술사에서 소외됐던 민화의 시대성과 예술성에 주목하고, 한국 현대미술의 모태로서의 민화를 재확인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이달 말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