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정성윤 작가는 기계 장치로 고정되지 않은 형태를 연구하며 재료가 가진 표면의 특성과 통제되지 않는 불확정적인 효과에 관심을 가져왔다. 서울 서초구 소재 페리지 갤러리가 정성윤의 개인전 ‘포도의 맛’을 준비했다.
정성윤 작가는 우리 눈에 드러나지 않는 기계 내부 장치 프로세스에 관심을 갖고 있다. 기계의 구동 방식에 머무르지 않고 그 표면과 내부 장치 사이의 상호 관계에 주목한다. 이는 작품을 바라보는 관람객들과의 소통으로 연결된다.
끈끈하고
정성윤이 관심을 보이는 기계의 표면은 장치가 만들어내는 결과물이 통제되지 못하고 비정형적인 형태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이다. 그의 작품이 우리가 인식하는 경직된 기계에 유연함을 부여하는 조각적 퍼포먼스로 보이는 이유다.
이번 전시 ‘포도의 맛’은 ‘두 개의 타원’ ‘뱀과 물’ ‘래빗’ ‘아말감’ 등 4개의 작품으로 구성돼있다. 전시 제목인 포도의 맛은 미끈한 포도 껍질이 가진 질감과 입에 넣고 벗겨냈을 때 과육의 맛, 냄새가 유발하는 감각들을 의미한다.
정성윤의 작업에 대한 은유다. 반면 영문 제목인 ‘a mucous membrane’은 끈끈하고 투명한 점막이라는 직접적인 의미를 드러낸다.
통제되지 못한 상황에 관심
잠재적인 무언가 생산 행위
정성윤의 작품은 기계 장치가 드러나기도 하고 숨겨져 있기도 하며, 외양의 모습은 끊임없이 움직여 변하면서도 고요하다. 이 같은 움직임은 기계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돼 상호 간의 균형을 잡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기계에 의해 상호작용 되는 표면은 작가가 의도한 입력값이 수행되는 조작으로 발생한다. 정성윤은 작가의 의도에서 벗어나 완벽하게 통제하지 못하는 상황에 관심을 갖는다. 이 같은 작가의 태도는 기계 장치를 통해 무엇인가를 재현하는 게 아니라 아직 나타나지 않은 잠재적인 무언가를 생산하기 위한 행위로 보인다.
작품의 결과물은 물질적인 표현으로 존재하지만 언제나 가변적이다.
정성윤이 이야기하는 점막은 내부와 외부 사이에 존재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굳어진 견고한 틀은 아니다. 점막은 하나의 기계와 나뿐만 아니라 수많은 대상이 서로 접속하고 분리하는 과정을 매개한다.
가변적인 결과물
새로운 상상력 필요
이전까지의 작업이 어떤 상황을 유발하고 이를 사람들에게 관찰하고 인식하기를 유도했다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업은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사유를 위한 명상적 몰입의 시간을 요구한다.
점막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무형의 것이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는 시공간을 일시적으로 드러나게 한다. 정성윤이 만들어낸 시공간에 공감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몸과 마음이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며 사유할 수 있는 가벼운 상태가 돼야 한다.
그가 만드는 장치로 인해 나타나는 점막은 수동적인 질료로 기능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움직이는 유동적인 상태를 촉발하는 능동적인 도구다. 인간과 기계, 마음이라는 관념과 실재하는 몸, 외부와 내부, 통제와 오류 사이의 이율배반적인 아이러니를 횡단하는 자유로움을 통해 새로운 세상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투명한 점막
페리지 갤러리 관계자는 “정성윤은 하나의 특정한 세계에서 벗어나 넓고 수평적인 시선으로 나를 포함한 부분으로 기능하는 모든 다양한 층위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우리를 사유의 시간으로 유도한다”면서 “이를 통해 그는 우리에게 인식적 전환을 위한 새로운 상상력이 필요한 시기가 도래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시는 8월7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정성윤은?]
1973년생
▲개인전
‘포도의 맛’ 페리지갤러리(2021)
‘thing’ 갤러리 조선(2018)
‘사소한 위협’ 김종영미술관(2016)
‘Heart-Less’ 토마스 파크(2015)
‘이클립스’ MMMG 이태원(2014)
‘무거운 점’ 갤러리 조선(2013)
‘Hello Motors’ 김진혜 갤러리(2009)
‘불가능한 미디어’ 아트 스페이스 휴(2007)
▲단체전
‘루트메탈리카’ 을지예술센터(2020)
관객의 재료‘ 블루메미술관(2020)
‘The Wider’ 아트센터화이트블럭(2020)
‘Emotion in Motion’ 부산현대미술관(2020)
‘웹-레트로’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2019)
‘미적 일상의 물리적 가능성’ 수애뇨339(2019)
‘UFEROPEN’ Uferhallen(2018)
‘키네틱 아트, 투데이’ 김종영미술관(2018)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