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제70회 베를린 영화제서 은곰상 감독상을 수상한 홍상수 감독의 신작 <도망친 여자>가 베일을 벗었다. 불분명하고 불친절하게 설명하지만, 인간 내면을 정확히 꿰뚫는 홍 감독의 역량이 <도망친 여자>서도 빛난다. 베를린 영화제를 비롯해 유수의 영화제가 ‘웰컴 홍상수’를 외치며 이 영화에 환호한 이유를 짚어봤다.
홍상수 감독 신작은 언제나 영화광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받아왔다. 그의 작품 속 인물들이 던지는 대사는 교묘하면서도 불친절하게 나열된 듯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인간 내면을 통찰한다.
통찰
인간 군상 사이서 벌어지는 사건은 공감이 갈 뿐 아니라, 그가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 역시 시대와 정확히 맞닿아 있다. 지난 9일 베일을 벗은 <도망친 여자>도 일맥상통한다.
남편과 결혼한 후 5년 동안 단 한 번도 떨어진 적 없는 감희(김민희 분)는 남편의 출장으로 인해 처음으로 혼자만의 여행을 떠난다. 먼저 오래전부터 알고 지낸 영순(서영화 분)을 만난다. 도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곽서 작게 농사를 지으며 살아가는 영순이 반갑기만 하다. 고기와 술을 사서 먹는 과정서 영순과 함께 살고 있는 영지(이은미 분)도 알게 된다.
영순과 영지는 어딘가 닮아있다. 채식주의자인 영순을 위해 고기를 먹지 않는 영지나, 평소 술과 고기를 입에도 대지 않는 영순이 오랜만에 찾아온 감희를 위해 즐겁게 자리를 기울여주는 면이 그렇다. 그러면서도 자기의 신념을 포기하지 않는 것도 공통점이다. 감희는 마치 웃는 가면을 쓴 것 같은 두 사람과 헤어진다.
이튿날 감희는 친한 언니 수영(송선미 분)을 만난다. 감희는 10억원을 모아뒀으며, 5억원가량의 전셋집을 4억원에 계약한 수영이 부럽기만 하다.
그러다 갑자기 수영을 찾아온 술에 취한 한 남자(하성국 분)를 보게 된다. 수영을 좋아한다고 밝히는 이 남자를 수영은 거부한다. 남자가 사라지고 수영은 26세인 이 남자와 잠자리를 가진 적이 있다며 치부를 드러낸다. 감희는 수영의 치부가 반갑기만 하다.
다음날 우연히 간 커피숍서 우진(김새벽 분)을 만난다. 우진은 감희가 한때 사랑했던 정 선생(권해효 분)과 결혼한 옛 친구다. 작은 영화관을 운영하고 있는 우진은 오랜만에 만난 감희에게 정 선생과 만나게 된 과거를 사과한다. 감희는 괜찮다며 우진의 사과를 받는다.
우진은 작가로서 세간의 관심을 받는 정 선생이 불안하다고 털어놓는다.
그리고 흡연구역서 정 선생을 만난 감희는 우진을 외롭게 만든 그에게 일침을 쏟아낸다. 마치 자신이 오랫동안 생각해왔던 것처럼, 정 선생이 듣기에 거북할 만한 말들을 내뱉는다. 기분이 나빠진 감희는 유일하게 힐링의 기분을 주는 영화를 보면서 남은 휴가를 즐긴다.
영화는 감희가 세 집단의 사람을 만나는 과정을 통해 화자 역할을 맡고 있는 감희를 설명한다. 남편과 이혼하고 비로소 자유를 찾은 영순, 결혼하지 않았지만 당당하게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는 수영, 예술적 감각을 지닌 작가 정 선생을 통해 감희가 얼마나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지 보여준다.
가면 쓴 현대인에 던지는 일침
꾸준히 성장하는 ‘홍상수 월드’
하지만 현재 감희의 삶이 희망적이지만은 않다. 새벽에 일어나 낮 12시까지 번역 일을 하고 일주일에 두 세 번 강의를 하며, 사랑하는 사람은 떨어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는 남편은 감희의 자유를 통제하는 듯 보인다. 감희가 운영하는 꽃가게는 손님이 끊겨 지겹기만 하다.
그럼에도 감희는 이 남자를 사랑한다고 말하고 현실이 만족스럽다는 듯 속내를 감춘다. 제목이 ‘도망친 여자’라는 건, 감희가 진심 혹은 본질로부터 도망친 여자임을 의미하는 듯하다.
그러면서 이 영화는 진심에 대해 이야기한다. 감희가 세 집단의 사람들을 만나는 과정은 반복적인 리듬을 갖는다. 감희와 그를 만난 사람들은 마치 가면을 쓴 듯 포장된 얼굴로 상대를 대하다가, 헤어질 무렵 각자의 진실한 순간을 마주하는 방식이다.
본심을 감추는데 익숙한 감희는 특정한 순간 격정을 뿜어내며 민낯을 드러낸다.
3층 방이 지저분하다는 이유로 공간을 공개하지 않은 영순에게 진짜 서운함을 드러내고, 치부를 밝힌 수영에게는 아낌없이 응원한다. 가면을 쓰고 있다가 진실을 마주했을 때 찰나의 순간, 진심을 표출하는 감희의 모습이 반복된다.
이 반복을 통해 감희가 감정을 뿜어내는 그 찰나의 순간이 인간이 추구해야 할 진심이라고 강조한다.
감희는 사람들을 만나 똑같은 말을 내뱉는다. 남편과 5년 동안 한 번도 떨어진 적이 없고, 남편이 사랑하는 사람과 떨어져 지내선 안 된다는 말을 한다는 것을, 마치 그게 자신의 신념인 양 포장하듯이 말한다.
그런 감희가 인기 작가가 돼 여러 매체와 인터뷰를 하며 같은 말을 반복하는 정 선생에게 “같은 말을 반복하는 걸 봤는데, 그럴 땐 진심인가 의심이 간다”고 비판한다. 이전 사람들을 만나면서 끊임없이 같은 말을 반복한 감희의 얼굴과 겹친다.
이 대사는 정 선생을 향한 비판으로 보이지만, 감희 본인에게 던지는 비판이기도 하며, 나아가 현시대에 다소 거짓된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전하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처음의 감희처럼 본질에서 도망치지 말고, 후반부의 감희처럼 본질의 자신을 찾으라는 의미를 감독은 전하고 싶었던 게 아니었을까.
여러 새로운 인물을 만나면서 펼쳐진, 미로처럼 복잡한 인간 세계가 감희와 정 선생의 대화를통해 정확하게 한 길로 이어진다. 베를린 영화제가 왜 그를 감독상으로 선택했는지 알 수 있는 놀라운 영화다.
또 홍 감독 작품 속 인물들이 대체적으로 지질했던 반면, 이번 영화에서는 남자들만 지질하다. 모든 인물이 지질했던 것과 사뭇 다른 방식이다. 유수의 영화제에서는 이를 두고 홍 감독이 여성 중심의 서사를 만들었다고 응원하고 있다.
극중 화자인 김민희를 비롯해 송선미, 서영화, 이은미, 김새벽, 권해효 등은 홍상수 감독 영화 특유의 연극적인 자연스러움을 추구한다. 출연진 모두 어색한 듯 자연스러운 듯 묘한 연기를 펼치는데, 모두 그 세계에 빠져들게 한다.
본질
홍 감독과 김민희를 한 자리서 볼 수는 없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기자간담회는 취소됐다. 그럼에도 두 사람이 추구하는 예술은 스크린을 통해 느낄 수 있었다. 김민희가 홍 감독의 뮤즈가 되고 이번이 일곱 번째 작품이다. 그 동안 홍 감독과 김민희의 예술적 감각이 점점 더 농익어가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