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2팀] 함상범 기자 = 올해 최대 기대작은 단연 <반도>였다. <부산행>의 연상호 감독이 연출하고 약 200억원이 투입됐으며, 강동원과 이정현, 이레, 김민재, 구교환 등이 출연하는 영화니, 기대를 안 하기란 쉽지 않다. 영화는 지난 15일 개봉하며 베일을 벗었다. 완성도 높은 한국형 좀비 영화 <부산행>을 탄생시킨 연상호 감독은 이번에는 장르적 성격보다 오락적 성격을 짙게 부여했다. 현재 평단과 관객 사이서 호불호가 갈리는 상황이다. 연 감독을 직접 만나 제작 의도를 들어봤다.
연상호 감독은 국내 최고 이야기꾼으로 꼽힌다. 사회 내에 만연한 구조화된 폭력을 밀도 있게 그려낸 애니메이션 <돼지의 왕> <사이비> <창> 시리즈나, 죽음 앞에 선 인간의 나약함을 표현한 웹툰 <지옥> 시리즈, 혐오로 점철된 사회의 단면을 끄집어낸 드라마 <방법>, 용산참사를 전면으로 짚은 영화 <염력>, 좀비보다 무서운 인간의 악을 그린 애니메이션 <서울역>과 영화 <부산행>까지, 그가 쌓아 올린 업적은 눈부시다.
포스트 아포칼립스
그리고 <반도>를 꺼내 들었다. 좀비가 발발한 후 약 4년이 지난 뒤의 대한민국이 배경이다. 할리우드 영화 <나는 전설이다> <매드맥스:분노의 도로>와 같은 결을 지닌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다. 좀비 영화와 포스트 아포칼립스 사이서 연 감독은 많은 고민이 있었다고 털어놨다.
“사실 애초에 좀비물로 갈 것인지, 다른 포인트로 갈 것인지는 처음부터 기획됐던 부분이다. 변종 좀비가 아닌 이상, <부산행>을 따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배경을 아포칼립스로 했고, 액션을 강화하려 했다. <반도>는 좀비가 변화하는 <레지던트 이블> 류가 아닌 <랜드 오브 데드>에 가까운 영화다.”
<부산행>이 열차라는 한정된 공간서 사람들과 좀비가 맞물리는 충격적인 상황을 그려냈다면, <반도>는 망가진 폐허서 달려가는 카체이싱이 가장 핵심이 되는 영화다. 무려 23분이나 할애한 카체이싱은 엄청난 속도감으로 흥미를 이끈다.
“처음에는 확실한 액션 콘셉트가 카체이싱이었다. 어린아이가 덤프트럭을 모는 이미지를 그렸다. 명확한 스토리라인에 이런 카체이싱이 얹어진다면 괜찮겠다고 생각했다. 그런 측면서 군인 집단이 타락한 광기를 보이는 것이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이 영화는 체험형 액션 영화의 느낌이 강하다. 그런 면이 극장과 더 잘 맞을 것이라 생각했다.”
연 감독이 호평을 받은 애니메이션 작품 대부분은 마이너한 성격이 짙다. 학교 폭력, 종교집단, 군대, 용산, 무당 등 누구에게나 관심 있는 소재가 아닌, 독특한 영역에 있는 사람들을 조명했다. 그리고 촘촘하게 이야기를 풀어냈다. 그 재능이 널리 인정받아 여기까지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반도>는 연상호라는 이름에 얹어져 있는 기대치와는 전혀 다른 오락물이 나온다.
“제 전작에 대한 기대감이 크신 분들은 웹툰 <지옥>을 보라고 말씀드리고 싶다. 다들 각자마다 기대한다. 다 충족시키고 싶긴 하나, 다 충족시킬 수는 없다. 작품은 플랫폼이랑 맞아야 한다는 게 내 생각이다. 극장용 작품은 모든 사람이 보고 즐길 수 있는 나들이성 작품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지극히 대중성을 의식한 것이 엿보인다. 보편적인 가상의 관객들을 설정하고, 이들이 볼 만한 영화를 만들었다는 게 그의 발언의 요지다. 그래서 신나는 카체이싱과 함께 가슴을 울리는 엔딩으로 마무리된다. 일각에선 전형적인 한국 영화라고 푸념을 하기도 한다. <부산행>도 부성애라는 보편적인 감성에 기댔듯, <반도> 역시 모성애와 인류애에 기댄 측면이 있다.
“영화를 많이 접한 사람들만 알 수 있는 코드, 영화를 잘 안 본 사람은 잘 모르는 코드를 넣는 건 불평등하다고 생각한다. 대중 예술은 누가 봐도 비슷한 느낌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첫 이미지 ‘덤프트럭 모는 어린아이’
“군인들 광기 현대사회 사람들과 닮아”
멸망한 한국을 그리다 보니 완전히 타락한 인간 군상이 나온다. 군인 집단이었고 어떻게든 탈출하려고 했으나, 번번이 실패해 결국은 완전히 이성이 끊긴 집단이다. 이들은 새로운 사람들을 좀비 사이에 풀어놓고 약 3분 동안 도망치게 하는 등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동을 벌인다.
“631부대는 삶의 목적이 없는 존재들이다. 자극적인 쾌락만 좇는 존재다. 좀비들이 출몰하는 상황서도 항상 출동한다. 목숨을 건 스릴을 게임처럼 즐긴다. 후반부에 주인공 집단을 황 중사가 쫓는데, 뭔지도 모르고 그냥 쫓는다. 본질은 그저 향락이다.”
“아마 황 중사에게 있어서 그날이 최근 몇 년간 가장 즐거운 날이지 않았을까 싶다. 먹이를 던져주면 침 흘리면서 달려가는 사냥개로 표현하고 싶었다. 광적인 자극을 즐기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했고, 일부는 현대 사회의 사람들과도 닮았다고 봤다. 일종의 우화로 그리고 싶었다.”
연상호 감독 작품의 특징 중 하나는 인간의 악에 대한 묘사가 탁월하다는 점이다. 이기심으로부터 출발한 분노와 욕심을 자연스럽고 그럴 듯하게 표현해낸다. <부산행>의 용석(김의성 분)이 그랬고, 웹툰 <지옥>의 화살촉 집단과 수많은 군상, <사이비>의 교회 장로 등이 대표적인 예다. <반도>에서도 광기에 사로잡힌 군인 집단의 군상들이 악의 표본으로 나온다.
“악을 표현할 때 내 마음에 있는 것들이 주요 도구가 된다. 내 안에도 나쁜 마음이 존재하는 것 같다. 사람이 살다보면 많은 일들을 겪고, 부딪히고 하는데, 그때 많은 생각이 든다. 실제로 사람들의 악한 모습을 포착하는데 관심이 있기도 하다. 정확히 의식적이지 않을 때도 있는데, 내 안에 혹은 내 주변으로부터 보고 느낀 무의식이 적절히 표현되는 것 같다.”
일각에선 <반도>가 서사적으로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워낙 다양한 작품서 뛰어난 핍진성을 보여준 그이기에 이러한 지적자체가 놀랄 만한 일이기도 하다. 반대로 해외에선 <반도>를 두고 호평이 많다. 이 차이에 대해 연 감독만의 생각이 뚜렷했다.
“국내서 평론하시는 분들은 서사적인 개연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여긴다. 그게 잘못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해외에서는 이미지적 상징성을 좀 더 짙게 보는 것 같다. 예를 들어 후반부 구세주로 등장하는 존재가 말레이시아인인 점이나, 이야기가 여성 주도적인 측면처럼 기존 레퍼런스를 따르지 않은 표현들이 있다. 이걸 감독이 구구절절 말하는 건 좋지 못하다고 생각해서 말을 아끼고 있다. 알아주면 고마운 것이고, 안 알아줘도 괜찮다. 다만 이번에는 서사적인 개연성보다는 이미지적 상징성에 더 치중했다.”
연 감독은 다른 감독들과 달리 다양한 플랫폼서 활약 중이다. 이른바 ‘플랫폼 트랜스’를 실현 중이다. 애니메이션과 영화, 웹툰, 드라마에 더불어 넷플릭스 연출도 준비 중이다. 그가 집필한 드라마 <방법>은 영화로도 개봉할 준비를 하고 있고, 웹툰 <지옥>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로 나온다. 플랫폼에 어울리는 이야기를 선택하고, 확장시키는 능력이 탁월하다.
플랫폼 트랜스
“내가 다양한 플랫폼으로 한다는 것이 알려지니까, 모든 플랫폼이 나를 만나러 와서 뭔가 제시를 한다. 내가 가진 아이템 중엔 마이너한 것도 있고, 블록버스터도 있다. 어울리는 것들끼리 진행한다. 플랫폼마다 진행되는 성격도 다르고, 보는 사람들도 다르다. 아직 다 성공한 건 아니어서 잘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최규석과 함께 하는 웹툰이 나와 가장 잘 맞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