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글와글net세상] 한국인들 ‘명품사랑’ 찬반 논란

‘명품공화국’ 대한민~국 “샤넬?구찌?루이비통 없인 못살아!”

[일요시사=김설아 기자] 한국 사람들의 ‘명품 사랑’은 실로 대단하다. 오죽하면 한국에서 루이비통 가방은 ‘3초 백’, 구찌 가방은 ‘5초 백’으로 불린다. 거리를 걷다 보면 3초, 5초에 한 번씩 마주친다고 해서 붙은 별명. 지난해에는 ‘샤테크’라는 신조어까지 탄생했다. 샤테크는 샤넬 백을 이용한 재테크를 뜻한다. 10년 전 일본에서 명품이 한창 유행할 때 ‘빚내서 명품 사는 풍토’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 우리가 딱 그 모습이다. 명품업계에선 “한국은 온 국민이 VIP”라는 이야기도 떠돌 정도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네티즌들도 ‘한국인들의 명품사랑 과연 바람직한가’를 두고 온라인 설전을 벌이고 있다.

명품을 소유함으로써 “나도 명품이 된 것 같아”
명품 가치보다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과시”

최근 글로벌 컨설팅업체 맨킨지는 우리 소비행태를 되돌아보게 하는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들의 가계소득에서 명품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5%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4%)을 제칠 정도로 한국인에게 명품소비가 ‘일상화’됐다는 내용으로 풀이된다. 한국 명품시장은 2006년 이후 연평균 12%씩 성장해 지난해 45억달러(4조8000억원) 규모로 커졌고 이런 급신장세가 3~5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 연간 명품에 100만원 이상을 소비하는 소비자 10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명품을 갖는 것은 예전처럼 특별한 일이 아니다’라는 데 동의한 응답자가 지난해 21%에서 올해 45%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조사 대상자 가운데 명품을 연간 1000만원 이상 소비하는 ‘명품홀릭(중독)’ 수는 200명에 달했다.

못 말리는 명품사랑

어린 아이에서부터 어른까지 명품을 걸치고, 사는 게 그리 넉넉지 않아도 명품 하나쯤은 있어야 체면이 서는 세상이 되다보니 이제 명품은 그 제품의 사용목적보다는 한사람의 권력이나 부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표현되고 있다.

아이디 ji***는 “명품은 ‘나는 남들과 다르지만 남들과 다르지 않다’라는 묘한 부러움과 안정감을 동시에 안겨준다”며 “돈 있으면 허세 부리고 싶고 나름 돈값 한다고 착각하면서 즐기는 걸 왜 방해하는지 명품사랑도 각자의 개성 아니겠냐”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아이디 oops***는 “월급이 100만원이지만 가방으로라도 달래고 싶은 게 명품을 좇는 사람들의 마음이다”며 “명품은 사회적 박탈감에서 벗어나 사회의 일부분이라는 안도감을 찾을 수 있게 해주고 더나가 자신감을 찾게 해주며 나를 부러워하는 듯한 주위의 ‘시선’으로 외로움을 잠시나마 잊게 해준다”고 말했다.

명품은 고가이지만 세월이 지나도 그 가치를 오래도록 유지하고 더욱 빛을 발하기 때문에 명품사용을 지향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명품을 써 보면 왜 명품을 명품이라고 하는지 알게 될 것’이라는 아이디 flyl***는 “명품 가방은 한 번 사서 오래 쓰는데 종류에 따라서 10년, 20년 넘게 사용 한다. 유행을 타지 않는 제품은 어머니랑 딸이 함께 쓰기도 한다”며 “사람에 따라서는 과시욕 같은 것 때문에 사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명품의 가치를 종합해서 따져 보면 명품은 결코 비싼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와 반대 입장에 선 네티즌들은 문제는 명품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명품에 목을 매는, 빚을 지면서까지 구입하려는 맹목적인 현상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아이디 total-mis***는 “20대 초반 여대생들까지 명품백 하나 들고 다니지 못하면 없어 보이는 지경까지 온 나라가 되었다”며 “혹시나 젊은이들이 자기 용돈에서 커버할 수 있는 금액이라면 이해의 심정이라도 보이고 싶지만 수 백만원을 호가하는 저런 된장상품을 몸에 치장하기 위해 알바를 하고 친구들끼리 명품계를 든다는 자체가 말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한국인들의 명품사랑이 명품 자체에서 나오는 고급스러움보다는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자기과시’로 용도가 바뀌고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아이디 kkm***는 “한국 사람들은 주위시선에 무척 신경 쓰고, 그래서인지 허세가 심하다”며 “사람을 대할 때 내면보다는 외면으로 비추어지는 모습만을 중요하게 생각하다보니 명품으로 어떻게든 자신을 치장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삐뚤어진 명품사랑

또 다른 아이디 ts***는 “저도 여자이지만 몇 백만원짜리 명품 가방을 사서 할부 갚느라 월급 아끼는 사람들을 보면 이해가 안 된다”며 “남들이 얼마나 봐준다고 물질만능주의에 빠져 과시용으로 명품백을 들고 다니는지 참 한심하다”고 말했다.

명품의 가치도 중요하지만 자신 스스로의 가치도 가꿀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있었다. 아이디 dan***는 “너나 할 것 없이 명품을 걸치고 있으니 명품이 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라며 “흔해진 명품의 가치를 되살리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내면의 가치를 다지는 것, 진정으로 내실이 튼튼한 사람은 그 어떤 명품으로 치장한 사람보다 빛이 난다”고 전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후보 교체?<br>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후보 교체?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후보 교체를 강행한 데 대해 10일, 김문수 후보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하겠다”며 강력히 대응을 예고했다. 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선거캠프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 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아 정당하게 선출된 저 김문수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불법적으로 박탈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서 선출하게 돼있는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는 제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예비후보를 정해 놓고 저를 압박했다”며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할 것”이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 온 자유민주주의의를 반드시 지키겠다. 국민 여러분, 저 김문수와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김 전 후보 측은 이날 중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후보가 시간 끌며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며 “당원들의 신의를 헌신짝같이 내팽개쳤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독재를 저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해서 기호 2번 국민의힘 후보로 세워야 한다는 게 당원들의 명령이었다”며 “우리 당 지도부는 기호 2번 후보 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께 단일화 약속을 지켜주실 것을 지속적으로 간곡히 요청드렸고 저를 밟고서라도 단일화를 이뤄주십사 부탁했다”는 권 비대위원장은 “하지만 결국 합의에 의한 단일화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 단일화는 누구 한 사람, 특정 정파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미리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의힘 비대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비대위는 모아진 총의와 당헌·당규에 따라 김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롭게 후보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비대위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한 예비후보를 대선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진행되는 당원 투표를 거쳐 오는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대선후보 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선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이뤄졌던 이번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선후보 교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등의 다양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있는 공당의 후보를 두고, 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소속의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하려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후보 접수도 이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 받았던 점, 한 후보가 32개에 달하는 서류를 꼭두새벽에 접수했다는 점 등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김 전 후보와 한 후보는 후보 단일화 문제로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왔다. 지난 1차 회동에 이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모처서 가졌던 2차 긴급 회동서도 단일화 방식 등 룰에 대해 논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끝내 결렬됐다. 그러자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 없이 승리는 없다”며 국회 원내대표실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권 원내대표는 “두 후보 간의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며 “후보 등록이 11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늘(7일)은 선거 과정서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가 불과 27일 남았다. 이제 남은 시간이 없다”며 “이재명 세력은 공직선거법상의 허위 사실 공표죄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법원장 탄핵까지 공언하면서 대한민국 헌정 질서의 마지막 숨통까지 끊어버리려고 한다. 반면 우리는 단일대오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고 자평했다.